• 제목/요약/키워드: Aspiration

검색결과 1,698건 처리시간 0.039초

흡입 후 견 봉합사 거치를 통한 만성 주두 점액낭염의 치료 (The Effect of Indwelling Silk Suture Following Aspira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Olecranon Bursitis)

  • 이봉진;이성락;김성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1호
    • /
    • pp.31-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rainage effect of silk suture following aspiration of the bursa as an early treatment of chronic olecranon bursitis. Eleven cases, which have over two weeks of history and over one year of follow-up,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17.5 months. The average symptom duration was 1.8 months. With an aseptic technique, the aspiration of the bursa was done with 18gauge needle and syringe and then the insertion of silk suture through the aspiration needle was performed. The amount of drainage was regularly checked $2{\sim}3$ days interval and stitch out was done at the cessation of drainage. At the follow-up, recurrence, infection, pain, and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were investigated by telephone interview. Redness around the insertion site of silk suture was found in all cases, but there was no active infection or recurrence.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all cases and the average time for recovery was 10.5 days. The drainage with silk suture following aspiration of the bursa is less invasive and very effective method in the early treatment of chronic olecranon bursitis.

시경반하탕가미를 포함한 한방치료를 항생제 치료와 병용하여 호전된 뇌경색 환자의 반복되는 흡인성 폐렴 치험 1례 (Case Study of a Cerebral Infarction Patient with Recurring Aspiration Pneumonia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Shigyungbanha-tang-gami Combined with Antibiotics)

  • 양지수;조은채;유재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06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ddressed the case of a cerebral infarction patient with recurring aspiration pneumonia. Methods: A patient diagnosed with cerebral infarction with recurring aspiration pneumonia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herapies, including herbal medication (Shigyungbanha-tang-gami),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mbined with antibiotics for 31 day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we checked chest X-rays, lab evaluations, the number of night suctions, and body temperature. Results: After treatment, chest X-rays and inflammation markers improved. In addition, the number of night suctions decreased, and the body temperature was normalized. Aspiration pneumonia recurred. However, the intensity of the symptoms gradually weakened, and the recovery speed in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edicine therapies, including Shigyungbanha-tang-gami combined with antibiotics, have a beneficial effect on recurring aspiration pneumonia, an additional disease related to cerebral infarction.

태변 흡인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과 기관 내 삽관 후 조기 태변 흡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Clinical observation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effect of suctioning through endotracheal intubation on prognosis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윤용호;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59-964
    • /
    • 2007
  • 목 적 : 태변 흡인 증후군에 이환된 환아의 임상적 고찰과 분만 직후의 기관내 삽관을 통한 태변 흡입이 태변 흡인 증후군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2년 6개월 동안 제일 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출생 직후 활발하지 않아 신생아 소생술 지침에 따라 기관 삽관을 통하여 태변 흡인을 시행하였으나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군(12명)과 출생 직후 활발하여 기관 삽관을 하지 않았으나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군(32명)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임상적 특징, 산과적 위험인자, 동반 질환, 치료 방법, 입원 기간 등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 태변 흡인 증후군으로 이환된 환아에서 조기 흡인군과 조기 비흡인군에서 평균 재태 연령, 평균 출생 체중, 성별, 분만 방식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아프가 점수는 조기 흡인군에서 1분, 5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반 질환으로는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13.6%), 신생아 경련(9.1%), 기흉 및 기종격(6.8%)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는 35예(79.5%)에서 시행하였고, 고빈도 진동성 환기법으로 치료 받은 환아는 조기 비흡인군에서 1예 있었으며 폐계면 활성제 치료를 받았던 환아는 조기 흡인군에서 1예(8.3%), 조기 비흡인군에서 5예(15.6%)로 조기 비흡인군에서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기계적 환기 요법의 치료 기간과 입원 기간은 조기 비흡인군에서 길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 산소 치료 기간은 조기 비흡인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길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태변 흡인 증후군 환아의 조기 비흡인군에서 폐 계면 활성제의 사용이 많았고, 기계적 환기 요법 치료 기간, 입원 기간 등이 길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총 산소 치료 기간은 통계적으로 조기 흡인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태변 착색아 중에서 활발한 군에 대한 더 세부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신경학적 후유증의 장기 예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기도 흡인 위험도에 따른 성인의 기도 내 이물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in Adults according to the Risk of Aspiration)

  • 김이형;최천웅;최혜숙;박명재;강홍모;유지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56-361
    • /
    • 2008
  • 연구배경: 국내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에 의해 기도 내 이물이 확인된 성인 환자에서 흡인의 위험도에 따른 임상적 특징 및 이물 제거 방법 및 결과에 대한 보고가 없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1994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시행하여 기도 내 이물이 확인되었던 29명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면밀한 의무 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4명은 흡인의 위험인자가 없었던 반면 15명은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 환자 중, 7명(24.1%)은 흡인에 대한 과거력이 없었다. 22명의 환자가 호흡기 증상이 확인되었는데, 기침(62.0%), 호흡곤란(44.8%), 발열(20.7%), 천명(13.8%), 흉통(10.3%) 및 객혈(0.4%) 순이었다. 흡인의 위험인자가 없는 환자의 92.8%가 증상이 발생한 반면 흡인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60%에서만 증상이 발생하였다(p=0.005). 또한 진단이 되기까지 증상 발생 기간이 각각 4일과 2일로 흡인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에서 더 길었고(p=0.007), 3일 이내의 급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 경우가 더 적었다(p=0.048). 6명(20.9%)의 환자가 단순 흉부 방사선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던 반면 23명에서는 이물의 음영(11명), 폐렴(8명), air trapping(5명) 및 무기폐(3명)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흡인의 위험도에 따른 기도 내 이물에 의한 방사선학적 특징에는 차이가 없었다. 흡인 위치로는 우측 기관지가 16예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우측 하엽 기관지가 가장 흔한 위치였다. 흡인 이물의 종류로는 치아가 11예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에서 의학적 처기가 기도 내 이물 흡인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경우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기도 내 이물은 큰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모두 제거되었으며 alligator jaw biopsy forceps이 이물 제거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이물 흡인의 과거력이 명확하지 않고 비전형적인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지연되거나 간과될 가능성이 높고 특히 의학적 처치 시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흡인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서 이물 흡인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티그라피를 이용한 연하곤란증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Dysphagia Using Scintigraphy)

  • 박석건;현정근;이성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6-289
    • /
    • 1998
  • 목적 : 인두기 연하곤란증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도신티그라피와 비디오투시검사를 이용하여, 연하곤란증의 객관적인 진단을 하고 이를 정량화하며, 흡인이 나타난 연하곤란증환자에서 자세변화와 음식물의 성상변화가 연하곤란증을 개선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군 35례와 대조군 21례를 대상으로 각각 묽은 액체와 된 액체, 고체의 세 가지 성상의 검사식을 이용하여 비디오투시검사와 신티그라피검사를 시행하였다. 비디오투시검사상에서 관찰되는 흡일여부에 따라 환자군을 기도흡인군과 후두홉인군, 비흡인군으로 구분하였고, 기도흡인군과 후두흡인군은 이상소견에 따라 적절히 자세를 변화시킨 후 검사를 반복하였다. 신티그라피검사에서 7가지의 정량적인 연하지표(구강배출시간, 인두통과시간, 윤상인두개구기간, 구강잔량, 인두잔량, 인두연하효율, 구강연하효율)들을 산출하였다. 결과: 비디오투시검사 상에서 기도흡인이 관찰되었던 환자들은 신티그라피검사 상에서 인두통과시간이 증가되고, 인두연하효율이 감소되었다 기도흡인이 관찰되었던 7례 모두에서 적절한 자세변화로 흡인증상이 개선되었으며, 후두흡인도 82%에서 개선되었다. 이 환자들은 자세변화 후 인두통과시간이 단축되고, 인두연하효율이 증가되었다. 기도흡인과 후두흡인은 된 액체와 고체보다도 묽은 액체 연하시에 빈발하였다. 결론 : 연하곤란증환자에서 자세와 음식물의 성상을 바꿈으로써 흡인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신티그라피검사의 인두통과시간과 인두연하효율이 연하곤란증으로 인한 기도흡인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 두 지표는 자세변화에 따른 효과를 정량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연하곤란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관찰되는 정성적인 이상소견과 신티그라피에서 산출되는 정량적인 연하지표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이용하여야한다.

  • PDF

과배란 처치시 우세난포 조절에 의한 한우 수정란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I. 우세난포 처리에 따른 난소반응 (Superovulation Response after Follicular Wave Synchronization with Follicular Aspiration by Ultrasonography in HanWoo I. Effect of Follicular Aspiration on Ovarian Response Following Superovulation)

  • 이병천;이동원;신수정;박종임;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10
    • /
    • 1999
  • In this stuyd, the effect of the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for the superovulatory response in HanWoo was investigated. The criterion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examination. The dominant follicle was aspirated 48hr before the onset of superovulation treatment by 6.5MHz convex probe connected with a carrier and superovulation induced by FSH (Super-Ov Tyrer, Texas, U.S.A) adminstered twic a day s.c. over 4 day in a decreasing regimen. From 13 HanWoo scanned daily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growth of the dominant follicle, its an average diameter of 15.4mm was measured and an average diameter of corpora lutea was 18.7mm on day of follicular aspiration. In the experiment, a follicular remove by ultrasound-guided aspiration, the ovarian response was significantly enhanced when animals were superovulated in the aspiation of a dominant follicle compare with animals superovulated non-aspiration of a dominat follicle. In the aspiration of a dominant follicle donors yieleded more corpora lutea(14.4$\pm$4.7 vs 8.6$\pm$3.4) and transferable embryos(8.9$\pm$4.2 vs 5.4$\pm$2.7) than control. In cows in which the dominant follicle had been aspirated under sonographical control 2 days before superovuation, the number of corpus lutea and transferable embryo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with animals superovulated in the presence of a dominant follicle (14.4$\pm$4.7 vs 6.9$\pm$2.7, ; 8.9$\pm$4.2 vs 3.3$\pm$1.6). After 7 days of artificial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insemination, the embryos at 7 days were collected by uterine flushing after dominant follicle aspiration and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evaluated their quality by morphological criteria. Sixteen embryos with excellent and good grade were transferred into 8 recipient cows. Six pregnancies were identified at 60 and 120 days of gestation by rectal palpation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ominant follicle signficicnatly affects superovulatory responses, and 2) ultrasound-guided follicular aspiration of the dominant follicle and superovuation treatment provides an accurate and procedure to increase ovarian responses in HanWoo.

  • PDF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학교 밖 경험이 중학생의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Science Career Aspiration)

  • 손지현;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447-46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8개의 변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 변인만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진로를 희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성 뇌내혈종의 음압배액술 (Negative Pressure Aspiration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atoma)

  • 김일만;손은익;김동원;임만빈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38-743
    • /
    • 2000
  • Objectives : The less invasive stereotactic surgery of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atoma has been preferred. Many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facilitate aspiration of a dense blood clot in acute stage. Authors describe a method for evacuation of putaminal hematoma via computerized tomography(CT)-aided free-hand stereotactic infusion of urokinase and frequent negative pressure aspiration. Patients and Methods : A total of ten patients with spontaneous putaminal hematoma underwent surgery with negative pressure aspiration in the three-year period.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in 12 hours of insult. A silicone ventricular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hematoma through a burr hole at the Kocher's point under local anesthesia. In a typical case of putaminal hematoma, the trajectory of catheter was pointed the center of hematoma parallel to sagittal plane vertically and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posteriorly. Immediately after the first trial of hematoma aspiration low-dose urokinase solution(2,000IU/5ml saline) was administrated through the catheter and drain was clipp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the partially liquified hematoma was manually aspirated using a 10ml syringe with a negative pressure of less than 2 to 3ml. The procedure was carefully repeated every 1 hour until the hematoma was near totally evacuated. Results : The patients population consisted composed of 4 men and 6 women with a mean age of 61.6 years. All had major neurological deficits preoperatively. The mean hematoma volume was 44.3 ml and hematoma was drained for 20 to 48 hours. No complications such as rebleeding, meningitis, or malplaced catheter were noted. Outcome was moderately disabled in four patients and good recovery in three patients. Conclusion : Although the frequent negative pressure aspiration and low-dose urokinase infusion has the disadvantage of possbility of rebleeding and infection, it is consisdered to be an effective method because it allows a simple, safe, and complete removal of hematoma.

  • PDF

Suitable Food Textures for Videofluoroscopic Studies of Swallowing in Esophageal Cancer Cases to Prevent Aspiration Pneumonia

  • Sonoi, Mika;Kayashita, Jun;Yamagata, Yoshie;Tanimoto, Keiji;Miyamoto, Ken-ichi;Sakurama, Kazufum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259-3263
    • /
    • 2016
  • Aims: To determine suitable food textures for videofluoroscopic study of swallowing (VFSS), in order to predict and prevent subsequent aspiration pneumonia in esophageal cancer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5 hospitalized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3.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3 patients treatmed from January 2010 until December 2011 and were not examined by VFSS. Test foods, which were presented in order of increasing thickness, included thin barium sulfate (Ba) liquid (3 or 10 ml), slightly thickened Ba liquid (3 or 10 ml), a spoonful of Ba jelly, and a spoonful of Ba puree. Results: Patients could most safely swallow puree, followed by jelly. The 3-mL samples of both the thin and thick liquids put patients at risk for aspiration pneumonia, with incidence rates of 13% and 11%, respectively. While 64.4% of patients could swallow all test foods and liquids safely, 35.6% were at risk for aspiration pneumonia when swallowing liquids. Even though >30% of patients were at risk, only 1 (2.2%) in the VFSS group developed aspiration pneumonia, which occurred at the time of admission. Following VFSS, no incidence of aspiration pneumonia was observed. However, aspiration pneumonia occurred in 4 (9.3%) control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Conclusions: Postoperative esophageal cancer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aspirate any kind of liquid than solid foods, such as jellies. VFSS is very useful in determining suitable food textures for postoperative esophageal cancer patients.

후두기관 분리술로 치료한 만성 흡인 15례 (Laryngotracheal Separation in Patient with Chronic Intractable Aspiration)

  • 공일규;안수연;김봉직;정은정;이명철;;성명훈;김광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8
    • /
    • 2007
  • Background and Objectives: Since intractable aspiration in patients with impaired protective function of the larynx often results in multiple episode of aspiration pneumonia, repeated hospitalizations and expensive nursing care. The authors reported the preliminary results of laryngotracheal separation(LTS) in patient with chronic intractable aspi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follow up results of patient outcome with the LT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15 patients who underwent LTS between 1996 and 2006 was conducted. Ages ranged from 3 to 72 years. Results: Eight patients had morbid aspiration as a consequence of acquired neurologic injuries and seven patients with congenital neurologic injuries. Two patients had a postoperative fistula, which was well controlled with local wound care. Following LTS, aspiration was effectively controlled in all patients and eight were able to tolerate a regular diet. Conclusion: LTS is a low-risk, successful, definitive procedure which decreases the potential for aspiration, pulmonary complications, duration of hospitalizations and increases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patent with irreversible upper airway dysfunction and poor speech potent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