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species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1초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6-284
    • /
    • 2008
  • 숙성된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종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1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5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AF1으로 명명하였고, 감수성 곰팡이는 ITS-5.8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picoccum nigrum KF-1으로 명명하였다. Dual culture overlay assay를 통한 Lb. plantarum AF1의 항진균 활성 실험 결과 A. ochraceus, A fumigatus, C. gossypiicola 등 식품 부패 곰팡이 및 병원성 곰팡이에 강한 생육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균 물질에 의한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 외에도 식중독균주를 포함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들에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Lb. plantarum AF1은 넓은 항미생물 활성 범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b. plantarum AF1의 생육에 따른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20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120시간까지 활성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항진균 물질의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AF1 항진균 물질은 산성의 pH(pH $3.0{\sim}4.0$)와 열에 안정한 물질이며, 단백분해효소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단백질성 물질이거나 단백분해효소의 영향을 받지않는 구조의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AF1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Lb. plantarum AF1의 배양액을 3,000 Da 이상과 이하의 분획으로 나누어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AF1 항진균 물질은 분자량 3,000 Da 미만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김치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은 넓은 범위의 항진균 활성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강력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Bacillus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Bacteriocin-Like Substances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Like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 양은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9-346
    • /
    • 2007
  • 메주로부터 항곰팡이 활성을 보이는 균주 1종과 이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곰팡이 3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균주 동정결과 Bacillus subtilis MJP1으로 명명하였고, 3종의 곰팡이는 ITS-5.85 rRNA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Aspergillus petrakii PF-1, A. ochraceus PF-2, 그리고 A. nidulans PF-3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MJP1은 곰팡이 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 뿐만 아니라 Candida 속 효모들과 그람 양성균에 대한 넓은 범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MJP1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진균 활성은 배양 16시간부터 최대 활성(3,200 AU/ml)을 나타내어 균이 사멸기에 접어든 후에도 활성을 그대로 유지한 반면, 항세균 활성은 대수기 중반인 12시간부터 25시간까지 가장 높은 활성 (1,600 AU/ml)을 보이다가 72시간 이후에는 활성을 상실하였다. pH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 모두 pH $6{\sim}10$ 구간에서 비교적 안정한 결과를 보였으나, 열처리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항세균 활성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결과를 보였다. 각종 효소에 대한 안정성 실험에서 항진균 활성은 어떠한 효소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항세균 활성은 단백분해효소 처리 후에 활성이 실활 됨으로써 항균 물질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C_{18}$ Sep-Pak column으로 부분 정제한 항균 물질이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소수성을 가지는 물질임을 알 수 있으며, Tricine-SDS-PAGE및 direct detection을 통하여 항진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2.4 kDa 정도이며, 항세균 물질의 분자량은 약 4.5 kDa으로_ 확인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MJP1은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 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 규명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쌀바구미의 생육에 미치는 Aspergillus spp.의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orage molds on the biology of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L.)

  • 현재선;유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1-75
    • /
    • 1974
  • 1. 쌀바구미류는 성충>유충>용의 순으로 체내에 곰팡이를 많이 갖고 있었다. 2. 무균소맥에서 사육하면서 체내 균류의 잔존상황을 조사한 바 10일후에는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고, 가장 오래 잔류하는 것은 A. candidus였다. 3. 곰팡이류의 산난수에 미치는 영향은 A. candidus 구가 가장 많았고 A. ruber 그리고 대조구의 순이고 A. niger구가 가장 적었다. 4. 유충의 생육은 A. candidus>A. ruber>대조구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A. niger구에서는 2-3령까지 밖에 발육을 하지 못하였다. 5. 생육이 가장 빠른 것은 A. candidus구로 제3주에용화개체를 볼 수 있었고 제4편에 성충 우화를 볼 수 있었다. 대조구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생육은 약간 늦었다. 6. A. niger구에서 생육이 불량한 것은 왕성한 균생장으로 쌀바구미의 활동이 저해되는 것과 동시에 불명의 원인이 있는 듯 하였다. 7. 저곡중의 쌀바구미와 곰팡이류간에는 진화과정을 통하여 원시적 협동작용이 있었다.

  • PDF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한 Pyocyanine의 항균활성 및 생리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yocyanine Produced by Pseudomonase aeruginosa KLP-2)

  • 박은희;이상준;차인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83-488
    • /
    • 2001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학적 제제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제제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하는 항균성 물질을 동정하고, 생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항균성 물질을 전제하여 FAB-MS로 확인한 결과 pyocyanine으로 동정되었으며, 진청색의 needles 성상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 methanol, ethyl acetate와 같은 용매에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yocyanine의 UV spectrum은 methanol에서 최대 흡광치(318 nm)를 보였고, FAB-MS로 확인한 결과 m/z 211에서 protonated molecular ion(M+H)$^{+}$ 이 관찰되었으며, 분자식은 $C_{13}$H$_{10}$ N$_{2}$O로 확인되었다. Pyocyanine 은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 R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E. coli. Kegionella peneumophila, Shigella flexneri, Shigela boydii, Shigella sonnei, NAG Vibr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Vibro vulnificus, Yersinia enterocolitica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의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여 비교적 넓은 항균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Legionella pneumophila에 대하여 0.5$\mu$g의 pyocyanine을 함유한 disk가 48mm의 억제환을 타나내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 PDF

국내 박물과 환경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분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Domestic Museum Environments)

  • 이상준;이재동;차미선;이나은;윤수정;조현혹;권영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8호
    • /
    • pp.793-800
    • /
    • 2005
  • We isolated and identified microorganisms from the aerial environment of domestic museums. The fungi, Penicillium spp., Alternaria spp., and Cladosporium spp. were isolated in many museums. It seems that these fungi are related to biological degradation of textile remains. A total of 14 kinds of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Neisseria spp., Alcaligenes spp., Shigella spp., Klebsiella spp., Corynebacterium spp., Aerococcus spp., Bacillus spp., Micrococcus spp., Citrobacter spp., Erwinia spp., Salmonella spp., and Providencia spp.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Neisseria spp., and Alcaligenes spp. were the predominate bacteria found in samples with a variety of bacteria.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 and the damage of textile remains. In the museum, we isolated Alternaria spp, Geotrichum spp., Penicillium spp.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Alcaligenes spp. from the entrance, exhibit hall and storage, but they were found in smaller number and species in the exhibit cases and paulownia cases. We concluded that paulownia cas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microorganisms because of quality of care provided by the museum staff. Corynebacterium spp., and Bacillus spp. were not detected at the entrance and exhibit hall but were detected in paulownia cases. It is presumed that those bacteria did not flow in from outside, but resulted from contaminants in paulownia cases. In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textile remains, more fungi were detected than bacteria.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and Neisseria spp., were isolated from silk items. Penicillium spp. and Cladosporium spp. were isolated in the silk and hump items.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cotton items.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no fungi strains in the wool items. Most of the isolated strains from textile remains were aerial microorganisms from the museum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xtile remains were apt to contaminated by contact with the air.

연작재배지토양(連作栽培地土壤)의 식물독소(植物毒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작물근권토양(作物根圈土壤)의 미생물분포(微生物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hytotoxin in Intensively Cultivated Upland Crops -II. Popu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rhizosphere of upland crops)

  • 이상규;서장선;김영식;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3
    • /
    • 1987
  • 고추, 마늘, 화훼, 배추및 양파등(等)의 연작지(連作地)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세균(細菌), 사상균(絲狀菌) 및 이들 미생물(微生物)의 분포비율등(分布比率等)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추및 마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의 세균(細菌) 및 사상균수(絲狀菌數)는 일반답토양(一般畓土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적었다. 2.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 세균(細菌)은 당류(糖類)를 산화(酸化)하여 생육(生育)하는 당류자화성세균(糖類自化性細菌)과 질산환원(窒酸還元)을 가진 세균수(細菌數)가 많았다. 3. 마늘과 토마토 연작지토양중(連作地土壤中)에는 당(糖)의 산화작용(酸化作用)에 의한 Alkali 생성균수(生成菌數)가 많았다. 4. 작물연작지토양(作物連作地土壤)의 근권(根圈)에서는 대체(大體)로 Pseudomonas, Xanthomonas, Bacillus, Achromobacter 속(屬)의 세균(細菌)이 그리고 사상균(絲狀菌)은 Penicillium속(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Phoma, Humicola 및 Aspergillus속(屬)의 균주(菌株)였다. 5. 전공시토양(全供試土壤)에서 식물독소생성균(植物毒素生成菌)인 Stachybotris속(屬)의 사상균(絲狀菌)이 분리(分離)되었다.

  • PDF

우유 및 유제품에서 Aflatoxin M1 발생현황과 대책 (Occurrence and Countermeasures for Aflatoxin M1 in Milk and Milk Products: A Review)

  • 천정환;배동렬;송광영;정동관;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
    • /
    • 2019
  • 일반적으로 우유는 필요한 영양분이 풍부한 식품으로 사람의 건강 증진, 유지 등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우유와 유제품에 Aflatoxin M1의 존재는 20~30년 전부터 알려져 왔다. Aflatoxin M1으로 오염된 우유와 유제품은 특히 지난 10년에서 2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이 제품들에서의 미코톡신의 존재는 특히 성인보다 더 민감한 어린이와 유아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이 총설에서는 최근의 자료를 검토하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유 및 유제품에서 발생한 Aflatoxin M1의 현황, 관련 규정, 감소 전략, 검출 방법, 향후 연구과제 등을 정리하였다. 우유 및 유제품의 Aflatoxin M1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분석 기법을 이용한 엄격한 규제와 우수한 우유 처리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 나아가서, 우유 및 유제품에 존재할 수 있는 Aflatoxin M1이 인체 건강의 미치는 영향을 올바른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ynamics of fungal community during silage fermentation of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produced in northern Vietnam

  • Vu, Viet Ha;Li, Xiyang;Wang, Mengyuan;Liu, Rongmei;Zhang, Guojian;Liu, Wei;Xia, Baixue;Sun, Q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96-1006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gain deeper insights into the dynamic changes in spoilage fungi populations during fermentation and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additives on silage quality. Methods: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was prepared without any additive (control), and with the addition of 0.5% salt, and 0.5% salt-0.2% sugar mixture. The fungal community was then determined using a classic culturing method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at 0, 5, 15, and 60 days after ensil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ngal community of elephant grass silage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the natural fermentation without any additive and the two additive groups. The diversity and relative abundance of spoilage molds in the control group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two treatment groups (p<0.05). Three species of yeasts (Candida sp., Pichia sp., Trichosporon sp.) and four spoilage molds (Fusarium sp., Aspergillus sp., Muco sp. and Penicillin sp.) were the predominant fungi in elephant grass during natural fermentation from 0 to 60 day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alt and sugar additive groups (p<0.05). Meanwhile, the diversity and relative abundance of undesirable molds in the 0.5%-salt additive group were the lowest among all groups. Conclusion: Adding salt and sugar, particularly 0.5% salt, is a promising effective approach to reduce the amount of undesirable fungi thus, improving the silage quality of elephant grass in northern Vietnam.

알코올성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발효울금의 간세포 보호 효과 (In Vitro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by Aspergillus oryzae against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 성혜미;이유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12-818
    • /
    • 2016
  • 본 연구는 발효울금 추출물에서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발효울금을 열수 추출, 냉수 추출, 80% 에탄올 추출 및 메탄올 추출하여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과 추출물을 함께 처리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생존율이 가장 높은 냉수 추출물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ROS) 함량, 항산화 지표와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72.8%로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을 함께 처리 시에 세포생존율이 86.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100{\mu}g/mL$, $250{\mu}g/mL$, $500{\mu}g/mL$ 농도 처리군 모두 알코올만 처리한 군과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ROS level을 감소시켰다. 항산화 지표에서 효소적 항산화인 catalase, glutathione-S-transfer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 reductase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500{\mu}g/mL$ 농도 처리군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항산화 효소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GSH 함량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250{\mu}g/mL$, $500{\mu}g/mL$ 농도 처리군 모두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GSH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MDA 함량은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고농도 처리군($500{\mu}g/mL$)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울금 추출물 중 냉수 추출물에서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발효울금을 냉수 추출하는 것은 발효울금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키고 ROS 생성을 억제, 항산화 효소와 GSH 함량의 감소 억제 및 MDA 함량의 증가 억제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발효울금을 냉수로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은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은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피부 병원성균에 대한 오배자 천연 복합물의 시너지 항균 효과 (Antimicrobial Synergistic Effects of Gallnut Extract and Natural Product Mixture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김주희;최연선;김왕배;박진오;임동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1
    • /
    • 2021
  • 본 연구는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소재를 검색하고 화장품의 보존제로써 적용을 위해 진행되었다.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을 통해 피부 병원성균 3 종(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C. albicans))에서의 천연 항균 소재 9 종을 검색하였다. Inhibition zone 크기를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Rhus Semialata gall (Gallnut) extract), 참나무 목초액 (Oak vinegar) 그리고 폴리리신(ε-polylysine)은 10 mm 이상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병원성균 3종과 효모균, 곰팡이균(Aspergillus brasiliensis (A. brasiliensis))에서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은 5 종의 병원성균에서 10 ~ 20 mg/mL와 20 ~ 40 mg/mL, 폴리리신의 경우 진균류에서 0.5 ~ 2 mg/mL으로 살균 작용에 의한 항균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Checkerboard 방법에 따라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오배자 추출물과 폴리리신의 혼합 비율에 따른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 부가 효과(additive effect), 무관함(indifferent) 그리고 상쇄효과(antagonistic effect)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복합물은 E. coli, C. albicans, A. brasiliensis를, 오배자 추출물과 폴리리신 복합물은 C. albicans, A. brasiliensis를 4 배 낮은 농도에서 99.9% 억제하며 항균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복합물은 S. aureus와 P. aeruginosa를 2 배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며 부가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로써, 오배자 천연 복합물은 항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천연 방부 시스템으로써 화장품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