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parasiticu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반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emi-Synthetic Media)

  • 전홍기;박건영;조영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8-294
    • /
    • 1986
  • 반합성 배지인 yeast extract sucrose (YES) 배지에서 인삼 saponm 및 그 관련 물질이 Aspergillus parasilicus의 AF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AF생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AF생성은 배양 9일째에 최고치을 나타내였으며 전 배양 기간을 통해 AF B1이 AFG1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배지내에 여러 농도의 인상 saponm을 첨가했을 때 모든 농도의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AF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aponin 0.05% 첨가시 균체량과 AF 생성량이 매우 감소하였고 saponin 5.0% 첨가시 균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F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배지내에 saponindiol 맺 triol을 놓도별로 첨가한 경우 diol 0.05, 1.0 및 triol 0.1, 0.5, 1.0 %첨가군에서 AF생성이 감소되었다. 배치내에 saponin fraction를 첨가한 경우 fraction 1, 2, 4. 5. 6은 AF 생성을 상당히 저해하였으나 fraction 3과 7은 AF 생성을 자극하였다 0.05%의 adenosine, guanosine, caffeine 및 xanthos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이 저해되었으나 0.05%의 adenosine 및 cv-tosine을 첨가한 갱우에는 AF생성을 증가시켰다. 5.0%의 sapon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은 전혀 일어 나지 않은 반면 total lipid의 합성과 균쳐1량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ynthetic Medium)

  • 전홍기;조영배;박건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2-356
    • /
    • 1986
  • 합성배치인 Glucose-Salts 배지에서 인삼 saponin과 그 관련 물질이 A~$\psi$ergillusρ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 는 영힘뼈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증식은 배양 5 일째 이후가 최대였고 Aflatoxin 생성은 배영 9 일째가 최대였다. 인상 saponin O. 05% 첨가시 율처l 증식과 Aflatoxin 생성이 대조군보다 상당량 감소되었고, 5.0% 첨가시 균체 증식은 대 조눈보다 증가하였으나 Aflatoxin 생성은 매우 감소되었다. S Saponin diol 및 triol의 농도별 첨가시 diol 0.01, 1. 0%와 triol O. 5, 1. 0%가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였다. S Saponin fraction 첨 가시 fraction 1이 Aflatoxin 생성 저해에 가장 효과적 이 었고 fraction 2, 4, 6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핵산 관련 물질 첨 가시 Adenine, denosine, Guanosine, Caffeine, Cytosine 및 Xanthosine 첨 가꾼 오우 대조군에 비 해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었으며, affeine의 경우 균체내에서만 Aflatoxin을 검출할 수 있었다. Saponin 5. 0% 챙까시 Aflatoxin 생성이 매우 저해된 반면 total lipid의 %뇨은 대조군의 10애, 균체 증식은 약 2 배 이상 증가되였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in Various Varieties of Soybeans)

  • 박건영;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85
  •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2$$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2)$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_1$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 (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양의 $AF\;G_1$ (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B_1+G_1$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B_1/G_1$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B_1/G_1$율을 나타내었다.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2$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다(p<0.05). $AF\;G_1$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 PDF

Re-Identification of Aspergillus Subgenus Circumdati Strains in Korea Led to the Discovery of Three Unrecorded Species

  • Anbazhagan Mageswari;Yunhee Choi;Le Dinh Thao;Daseul Lee;Dong-Hyun Kim;Myung Soo Park;Seung-Beom Hong
    • Mycobiology
    • /
    • 제51권5호
    • /
    • pp.288-299
    • /
    • 2023
  • Aspergillus is one of the largest and diverse genera of fungi with huge economical, biotechnological, and social significance. Taxonomically, Aspergillus is divided into six subgenera comprising 27 sections. In this study, 235 strains of Aspergillus subgenus Circumdati (section: Candidi, Circumdati, Flavi, Flavipedes, Nigri, and Terrei) preserved at the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were analyzed and re-identified using a combined dataset of partial b-tubulin (BenA), Calmodulin (CaM) gene sequences and morphological data. We confirmed nineteen species to be priorly reported in Korea (A. neotritici, A. terreus, A. floccosus, A. allahabadii, A. steynii, A. westerdijkiae, A. ochraceus, A. ostianus, A. sclerotiorum, A. luchuensis, A. tubingensis, A. niger, A. welwitschiae, A. japonicus, A. nomius, A. tamarii, A. parasiticus, A. flavi, and A. oryzae). Among the studied strains, three species (A. subalbidus, A. iizukae, and A. uvarum), previously unreported or not officially documented, were discovered in Kore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We have give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hree species, which remain uncharted in Korea.

영남지방 농산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 (제1보) Aflatoxin 생성균의 분리 (Hygienic Studies on Agricultural Products in Yungnam District (part I) Isolation of Aflactoxin producing Strains)

  • 정덕화;강호조;하기수;김성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65-170
    • /
    • 1989
  • 영남지방의 농산물로부터 Aflactoxin 생성균을 분리하기 위해 쌀 59점, 메주 30점, 옥수수 32 점 , 보리 58점, 토양 33점, 땅콩 30점, 대두 45점 및 겉보리 60점을 1989년 3월에서 7월 사이에 수집하였다. 총 342 시료로부터 280종의 Asperigllus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에서 29균주가 형광성을 나타내었으나 4균주가 표준 Aflactoxin과 Rf치가 같은 물질을 생산하여 전체시료의 1.3%가 Aflactoxin 생성균에 오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균학적 성질을 관찰한 결과 4균주 모두 Asp. flavus group으로 추정되었다.

  • PDF

유산균과 그 발효유가 Asperigllus parasiticus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casei and a Fermented Milk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illus Parasiticus)

  • 김종규;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0
    • /
    • 1998
  • 발효식품이 유해곰팡이에 의한 발암물질(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산균 및 유산균 발효유가 Asper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발효유를 일정 농도별로 첨가한 YES 배지에서 Asperillus Parasiticus를 배양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건조 균체량, 배양물의 pH, 그리고 alftoxin 생성량 등이 낮게 나타났다(p<0.05). Aflatoxin B1은 48.6~58.1% 각 감소되었으며 G1은 29.8~34.2%가 감소되었다. 이 발효유의 발효에 사용된 유산간균(lactobacillus casei)과 Asperillus Parasiticus를 변형 APT 배지에 혼합 배양한 결과 Asperillus Parasiticus 단독 배양의 경우에 비하여 균체량이 배양 5일째까지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배양 말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배양 말기에 단독 배양의 경우보다 pH가 훨씬 감소되고 (p<0.05) aflatoxin의 생성량도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발효유는 유해곰팡이인 Asperillus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효에 관여한 미생물의 경쟁뿐만 뿐만아니라 유산균의 대사산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 PDF

길항미생물에 의한 된장 중 아플라톡신 제어 및 그 품질특성 (Control of Aflatox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ality in Doenjang(soybean paste) Prepared with Antifungal Bacteria)

  • 강길진;박종훈;조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58-1265
    • /
    • 2000
  • 본 연구는 아플라톡신 생성균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고 그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된장 제조시 아플라톡신 제어 효과와 된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플라톡신 생성균인 Asp. flavus와 Asp. parasiticus에 대해 길항력이 가장 강력한 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은 Bacillus 속의 특성을 보였다. 분리한 길항균과 아플라톡신 생성균을 처리하여 제조한 된장의 아플라톡신 함량은 Asp. flavus을 처리하였을 때 아플라톡신 $B_1$이 27.2 ppb에서 길항균과 함께 처리로 87.5% 감소한 3.4 ppb였으며 Asp. parasiticus을 처리하였을 때 아플라톡신 $B_1$이 30.3 ppb에서 길항균과 함께 처리로 87.8% 감소한 3.7 ppb였다. 길항균과 아플라톡신 생성균을 처리한 된장의 유리지방산, 유리당, 유기산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길항균과 아플라톡신 생성균 처리로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tryptophan이 감소하였다. 된장의 향기성분은 아플라톡신 생성균을 처리하였을때 대조구에 비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길항균 처리로 변향인 2-pentyl furan와 불쾌취인 butanoic acid류가 소멸되거나 감소하고 octadecene 화합물은 생성 되었다. 결국 분리된 길항균은 아플라톡신 생성을 억제시켰으며 된장의 품질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어성초의 화학성분 및 항미생물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근영;정동옥;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0-406
    • /
    • 1997
  • 어성초의 화학조성과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하였다. 어성초의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은 Asp, Glu, Gly, Arg, Ala, Pro, Val, Cys, Phe 등이 함유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주로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성분중에서는 K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성초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fraction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한 결과 basic fraction을 제외한 acidic, neutral, phenolic fraction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neutral fraction>acidic fraction>phenolic fraction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사용 미생물중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luteus, Bacillus subtilis에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spergillus parasiticus, Aspergillus flavu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활성이 인정된 각 fraction에 대한 MI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0075 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으며 그 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025{\sim}0.75g/mL$상당량의 다양한 MIC 값을 나타냈다.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은 $0.25{\sim}0.75g/mL$ 상당량으로 neutral fraction에 비해 높은 MIC 값을 나타냈다. ML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1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고 그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25{\sim}2.0g/mL$ 상당량의 MLC 값을 보였으며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의 경우 사용 미생물에 대하여 3.0g/mL상당량까지 치사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순창군 장류로부터 분리된 황국균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oryzae Isolated from Soybean Products in Sunchang County)

  • 임은미;이지영;모하메드;한갑훈;이보순;조용식;김현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2-28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순창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장류에서 곰팡이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보다 안전하고 기능성이 높은 발효제품을 위한 균주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순창지역에서 생산되는 장류 제품으로부터 곰팡이를 분리하여 ${\beta}$-tubulin 유전자 분석 통해 10개의 균주가 Aspergillus oryzae/flavus complex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아플라톡신 클러스터 유전자 중에 하나인 omtA의 염기서열을 증폭하여 A. oryzae와 A. flavus 표준 균주의 omtA 서열과 함께 계통 분류한 결과, A. oryzae의 표준 균주와의 유연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orB-cypA 사이의 염기서열을 증폭한 결과 500 bp이 증폭 산물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표준 균주인 A. oryzae의 norB-cypA 사이의 염기서열 증폭 산물과 동일한 크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oryzae로 확인된 10균주를 활용하여 코지를 제조하고 ${\alpha}$-amylase 활성과 prote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Protease 활성은 6, 13, 17, 27, 37, 그리고 38 균주로 제조된 코지는 대조구(시판되고 있는 종균으로 제작한 코지)보다 2배 정도 높은 protease 활성을 보였으며, ${\alpha}$-amylase 활성은 257~320 U/mL로 측정되었다. 식품안전성을 위한 아플라톡신 분비 확인 결과, 63번 균주로 제조된 코지를 제외한 모든 코지에서 아플라톡신을 만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순창에서 분리된 A. oryzae는 추후 메주 접종균으로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삼Saponin의 Aspergili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s on Growth and Synthesis of Aflatoxin by Aspeygillus parusiticus R-716)

  • 이광승;장진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20
    • /
    • 1986
  • 인삼 saponin의 첨가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공시균의 PH, 균체량의 변화, chloroform 추출액의 색상, 포자형성능, 그리고 saponin의 첨가량에 따른 aflatoxin의 생성 및 억제효과등을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공시균의 배지인 sucrose low salt의 PH변화는 crude saponin(CS)의 경우 PH3인 0.5%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aflatoxin 생성량을 보였으며, PH 2.2인 protopanaxatriol(PPT) 0.05%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생성량을 보였다. 2. 인삼 saponin첨가량에 따른 균체량의 변화는 PPT 0.01%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119%까지 증가하였으나 다른 saponin의 첨가농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고 CS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5.8%의 감소율을 보였다. 3. aflatoxin의 chloroforn 추출시 생성된 색상은 밝은 황색일수록 aflatoxin의 생성량이 많았다. 4. 포자형성은 각 인삼 saponin 농도가 0.02%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0.05%첨가구부터 형성이 줄어들어 0.5% 첨가구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5. aflatoxin총생성량은 PPD와 PPT 0.005%~0.02% 첨가구에서는 105%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를 보였으며, CS의 0.5% 첨가구에서는 91.7%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고 B1, B2, G1 및 G2에 대햐여는 9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PS에 대하여는 0.5% 첨가구에서 B1에 55.9%의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에 B2는 8.1%의 낮은 억제효과밖에 없었고, PPT 0.005% 및 0.5% 첨가구는 오히려 B2가 증가하였다. PPD에 대하여는 0.005%~0.02% 첨가구에서는 G1의 경우 오히려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