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illus flavu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2초

Aspergillus ochraceus와 다른 저장균간의 in vitro 상호작용 및 Niche Overlap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in vitro Interactions and Niche Overlap between Aspergillus ochraceus and other Storage Fungi)

  • 이향범;;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83-288
    • /
    • 1999
  • 옥수수에서 분리한 ochratoxin생성균인 Aspergillus ochraceus와 다른 균류 6종과의 in vitro 생장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 ochraceus를 6종의 균류와 각각 대치 배양한 후 그들의 상호작용에 수리점수(numerical score)를 주어 각 종의 우점지수($I_D$)를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A. ochraceus는 다른 종에 대하여 매우 경쟁력이 있는 우점종이었다. 그러나 높은 $a_w(0.995\;a_w)$에서는 Alternaria alternata와 A. niger에게 우점당하였으며, 낮은 $a_w(0.9\;a_w)$에서는 Eurotium amstelodami와 E. rubrum과 상호 길항 관계를 보였다. 공시균들의 생장율에 미치는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a_w$와 온도에 따라 생장율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높은 온도($30^{\circ}C$)에서 A. ochraceus는 $0.95\;a_w$에서 가장 생장이 빠른 반면에 A. flavus, A. niger 및 A. niger 및 A. alternata는 $0.995\;a_w$에서 가장 빠른 생장을 보였다. 낮은 온도($18{\sim}25^{\circ}C$) 높은 $a_w(0.995\;a_w)$에서는 A. alternata가 가장 생장이 빨랐으며 A. candidus, E. amstelodami 및 E. rubrum은 생장이 매우 느렸다. Biolog plates를 이용하여 옥수수 유래의 탄소원 이용패턴에 미치는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 ochraceus의 niche중복지수(NOI)를 구하였고 각각의 상호작용 균들의 NOI와 비교하였다. 높은 $a_w(0.995\;a_w)$에서는 A. ochraceus의 NOI 값이 보통 0.9 이상으로서 다른 종들과의 공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8^{\circ}C$에서 E. amstelodami와 E. rubrum과 비교할 때는 A. ochraceus의 NOI 값이 0.8이하로서 별도의 niche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a_w(0.95\;a_w)$에서 A. alternata 및 A. niger와 비교할 경우 A. ochraceus의 NOI 값이 0.8 이하로서 역시 서로 다른 niche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푸라졸리돈의 누에병치료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제1보)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Furazolidone to the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a Useful Remedy for Certain Silkworm Diseases (Report I))

  • 이장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5
    • /
    • 1973
  • 본인은 1972년 춘잠기와 추잠기에 걸쳐서 서울대학교농과대학 잠실에서 FZD의 누에병치료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한바 있다. 첫째로 FZD의 누에에의 경구적투약이 가능함을 알아낸 본인은 FZD의 4가지 누에병병원체 (Bacillus thuringiensis,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oryzae, Isaria farinosa)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측정, B.thuringiensis 로써 일으킨 실험적연화병에 대한 FZD의 발병억제효과 내지는 치료효과 관찰 등 일련의 실험을 거쳐, FZD은 실험적세균성연화병에 대해서 발병 억제효과와 치료효과를 겸해서 발휘한다는 기본적 사실을 밝혔다. 즉, 푸라졸리돈은 시험관내항균력측정에 있어서 세균성 연화병의 병원체인 Bacillus thuringiensis에 대해서는 시험관법으로써는 1$\mu\textrm{g}$/mι의 농도로써 그리고 한천평판법으로써는 $\mu\textrm{g}$/mι의 농도로써 완전한 발육억제효과를 발휘했으며, 한편 B. thuringiensis가 접종된 5령기 누에에 대해서는 잠정적인 용량인 누에 10마리당 150mg. 비율의 용량(누에체액 1ml당 약 2.2mg. 비율의 용량)에 있어서 1일 1회색 2일(2회)투여할 때 거의 완전한발병억제효과와 상당히 좋은 치료효과를 발휘했다. FZD의 임상적 응용에 따르는 용량, 투약시기, 제제형태 등의 여러가지 문제는 앞으로 세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안다.

  • PDF

배양 조건이 Aspergillus sp.의 독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ulture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Mycotoxin by Aspergillus sp.)

  • 이유나;김남연;이승은;지근억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1
    • /
    • 2016
  • Ochratoxin A와 aflatoxin은 곰팡이 독소 생산 균주가 자연 발효되는 식품에 오염되거나 발표식품의 종균을 분별없이 선택했을 때 검출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양 환경이 ochratoxin A와 aflatoxin의 생산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Aspergillus usamii KFRI 999와 A. awamori KFRI 983의 배양 온도, 배양 배지, 배양 시간을 달리하여 ochratoxin A생산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기 pH, 온도, 배양 시간, 배양 배지를 다르게 하였을 때 A. flavus KACC 41403와 A. oryzae KACC 46471가 생산하는 aflatoxin의 양을 평가하였다. Ochratoxin A와 aflatoxin의 양은 HPLC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곰팡이 독소는 배양 온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 oryzae KACC 46471는 aflatoxin을 생산하지 않았다. 곰팡이 독소를 생산하는 균주는 모두 $30^{\circ}C$에서 가장 높은 독소 생산량을 보였다. A. awamori KFRI 983은 PDA 배지에서 가장 적은 ochratoxin A 생산량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식품의 ochratoxin A와 aflatoxin 저감화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다.

Mycotoxin을 중심으로 한 전통식품의 위생학적 연구 (Hygienic Study of Traditional Foodstuffs Subjected to the Mycotoxin)

  • 정덕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5-114
    • /
    • 1996
  • Aspergillus flavus를 포함한 수종의 곰팡이들은 사람과 가축에 독성이 있는 저분자의 2차대사산물을 생산하며 이를 mycotoxin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여름과 같은 적당한 온도와 습도는 유해곰팡이의 성장이 가능하여 쌀, 보리, 옥수수, 메주, 된장, 간장 및 고추장과 같은 전통식품 및 그 재료와 같은 대부분의 유기물질에서 mycotoxin이 생산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사람들은 Aspergillus속, Penicillium속, Fusarium속 곰팡이를 전통식품과 그 재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그 중에서 여러 mycotoxin을 생산하는 곰팡이를 검색하였다. 또한 상기와 비슷한 시료에서 aflatoxin, ochratoxin, deoxynivalenol(DON) 및 zearalenone 등의 mycotoxin오염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실험조건과 방법에서 서로 상이하며 일관성이 결여되어있고, 특히 대부분의 실험들이 일과성으로 끝났기 때문에 곰팡이독소를 중심으로 하여 전통식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실험방법과 재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새로운 첨단기술을 응용하여 mycotoxin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히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하며, 또한 보다 지속적인 연구비 투자와 연구시설의 확충으로 연구의 활성화와 기술축적을 위한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이 같은 합리적인 노력으로 전통식품의 mycotoxin 오염여부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아울러 우리 전통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보다나은 전통식품의 보존과 개발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가금용 사료의 살균 (Decontamination of Poultry Feeds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조한옥;이재원;권중호;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03-408
    • /
    • 1987
  • 간접식품으로서 4종의 양계용 배합사료의 미생물 오염정도와 방사선조사에 의한 살균효과 및 화학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종의 양계용 배합사료의 총 세균의 오염은 $10^5{\sim}10^6g$ 범위였으며 7 kGy의 방사선조사로서 거의 완전 살균 되었고, 대장균 및 장내 병원성 세균도 전 시료에서 $1.2{\times}10^4{\sim}1.7{\times}10^5/g$$4.0{\times}10{\sim}2.6{\times}10^3/g$ 검출되었으며 이들은 방사선감수성이 높아 $3{\sim}5kGy$ 조사로서 완전 사멸되었다. 곰팡이의 오염은 $10^2{\sim}10^4/g$ 정도로서 이들의 대부분은 내삼투압성 곰팡이었으며 $5{\sim}10kGy$의 조사로서 검출한게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분리된 곰팡이의 대부분이 Aspergillus 속이었으며, 분리된 11종의 곰팡이중 Aspergillus flavus group을 포함한 6여종이 잠재적으로 독소를 생성하는 균이었다. 화학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은 방사선조사의 영향이 없었으나 TBA가는 다소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동물사료에 $5{\sim}10kGy$ 정도의 방사선 조사로서 화학적성분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유해 미생물을 충분히 사멸시킬 수 있어 간접식품으로서 사료의 위생적 생산과 장기 안전저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저장곰팡이 오염 현미에 대한 쌀바구미의 선호성 (Preference of the Rice Weevil (Coleoptera: Curculionidae) for the Storage Mold Contaminated Brown Rice)

  • 윤태중;윤은영;이승빈;박미경;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9-334
    • /
    • 2003
  • 쌀바구미와 저장 곡물 곰팡이간의 상호작용 분석의 일환으로 곰팡이 종에 대한 쌀바구미의 분포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쌀바구미는 비교 대상 4종 곰팡이(Aspergillus candidus, A. niger, A. flavus와 Penicillium spp.)에 오염된 현미를 살균된 현미보다 선호하였으며, 선호도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spp.에 대해서 가장 높았다. 차대 쌀바구미 우화수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오염미에서 가장 많았으며 A. flavus 오염미에서 가장 적었다. 쌀바구미의 곰팡이 오염미에 대한 선호와 쌀바구미 적합도간 불일치 현상은 쌀바구미의 분포 및 곡물 곰팡이 선호도가 알려진바 유사 니체에서의 장기적인 공진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종간 상호작용의 조정과 아울러 영양적 특성 등 단기적 서식환경의 적절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imate change and resilience of biocontrol agents for mycotoxin control

  • Magan, Naresh;Medina, Angel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1-41
    • /
    • 2018
  • There has been an impetus in the development of biocontrol agents (BCAs) with the removal of a number of chemical compounds in the market, especially in the European Union. This has been a major driver i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systems (IPM) for both pest and disease control. For control of mycotoxigenic fungi, there is interest in both control of colonization and more importantly toxin contamination of staple food commodities. Thus the relative inoculum potential of biocontrol agent vs the toxigenic specie sis important. The major bottlenecks in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formulations of biocontrol agents are the resilience of the strains, inoculum quality and formulation with effective field efficacy. It was recently been shown for mycotoxigenic fungi such as Aspergillus flavus, under extreme climate change conditions, growth is not affected although there may be a stimulation of aflatoxin production. Thus, the development of resilient biocontrol strains which can may have conserved control efficacy but have the necessary resilience becomes critical form a food security point of view. Indeed, under predict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diversity of pests and fungal diseases are expected to have profound impacts on food security. Thus, when examining th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biocontrol strains, production and formulation it is critical that the resilience to CC environmental factors are included and quantified.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physiological competence and the relative humidity range over which efficacy can occur, especially pre-harvest may be increase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We have examined the efficacy of atoxigenic strains of A. flavus and Clanostachys rosea and other candidates for control of A. flavus and aflatoxin contamination of maize, and for Fusarium verticillioides and fumonisin toxin control. We have also examined the potential use of fluidized-bed drying, nanoparticles/nanospheres and encapsulation approaches to enhance the potential for the production of resilient biocontrol formulations. The objective being the delivery of biocontrol efficacy under extreme interacting climatic conditions. The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factors on the efficacy of biocontrol of fungal diseases and mycotoxins are discussed.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from a Meju Contaminated with Aflatoxins

  • Jung, Yu Jung;Chung, Soo Hyun;Lee, Hyo Ku;Chun, Hyang Sook;Hong, Seung Beo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740-1748
    • /
    • 2012
  • A home-made meju sample contaminated naturally with aflatoxins was used for isolation of fungal strains. Overall, 230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on dichloran rosebengal chloramphenicol (DRBC) and dichloran 18% glycerol (DG18) agar plat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of a partial ${\beta}$-tubulin gene and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of rDNA we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The fungal isolates were divided into 7 genera: Aspergillus, Eurotium, Penicillium, Eupenicillium, Mucor, Lichtheimia, and Curvularia. Three strains from 56 isolates of the A. oryzae/flavus group were found to be aflatoxigenic A. flavus, by the presence of the aflatoxin biosynthesis genes and confirmatory aflatoxin production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predominant isolate from DRBC plates was A. oryzae (42 strains, 36.2%), whereas that from DG18 was A. candidus (61 strains, 53.5%). Out of the 230 isolates, the most common species was A. candidus (34.3%) followed by A. oryzae (22.2%), Mucor circinelloides (13.0%), P. polonicum (10.0%), A. tubingensis (4.8%), and L. ramosa (3.5%). A. flavus and E. chevalieri presented occurrence levels of 2.2%, respectively. The remaining isolates of A. unguis, P. oxalicum, Eupenicillium cinnamopurpureum, A. acidus, E. rubrum, P. chrysogenum, M. racemosus, and C. inaequalis had lower occurrence levels of < 2.0%.

Effect of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s on growth of Aspergillus species and biosynthesis of aflatoxin

  • Rashid, Faraz;Naaz, Farah;Abdin, MZ;Zafar, Shadab;Javed, Saleem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308-315
    • /
    • 2005
  • Aflatoxin contamination is a major problem in several food crops. Aflatoxin, a mycotoxin,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has gained immense concern in the scientific world because of its tremendous harmful effects. The study was focused to see the effect of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s on the growth of Aspergillus and production of aflatoxin by the mold. Various amounts of neem oil $(5\;-\;50\;{\mu}l/m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5 - 50 mg/ml) were used both in the broth as well as the solid medium. Fungistatic (MIC) and minimal fungicidal concentrations (MFC) were found to be $10\;{\mu}l/ml$ and $50\;{\mu}l/ml$ respectively for neem seed oil. At the concentration of $5\;{\mu}l/ml$ neem oil and 5 mg/ml of aqueous extrac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flatoxin content was found in broth medium. Aflatoxin production was totally inhibited at $50\;{\mu}l/ml$ and 50 mg/ml for neem oil and aqueous extract of neem respectively, in both treatments. There was significant inhibition of mycelium dry weight by the neem seed oil. Mycelial growth was totally inhibited at $20\;{\mu}l/ml$ of neem seed oil concentration in broth, whereas it was not affected at all by aqueous extract. It can therefore be inferred that the oil and extract from the neem seed leads to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while neem seed oil also significantly inhibits the mycelial growth. Neem seed oil thus can be used as potent, natural and easily available anti-aflatoxigenic agent.

솔잎 혹파리의 병원미생물에 관한 조사연구 I. 특히 가잠경화병과 관련하여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of Microbial Pathogen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e I. Pathogenecity of Silkworm Muscardine to Pine Needle Gall Midge)

  • 강석권;조용섭;박호용;고성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시험은 솔잎혹파리의 미생물학적 방제대책의 일관으로서 미생물의 분리동정과 병원성을 연구 조사하고자 행하여졌다. 1. 솔잎혹파리의 유충에서 분리동정 된 균은 Verticillium psalliotae, Aureobdsidium pullulansa, Streptomyces sp., Aspergillus sp.(2종), Ascochyt, sp.의 6종이었으며 6종 전부가 병원성이 있었다. 2. 추기 양잠농가로부터 Spicaria pracina, Isaria farinosa, Oospora destructor, Aspergillus oryzae, A. flavus의 5종의 누에 경화병균을 분리 동정하여, 솔잎혹파리유충에 대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5종 전부가 강력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3. 솔잎혹파리 유충에서는 29종의 colony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Bacillus 계통이 11, coccus 계통이 9개로 구분되었으며, 현재 병원성검정은 진행 중에 있으나 No.4와 No.9-1균주는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