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erger's Disord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 K-ASDS) 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F RELIABILITY & VALIDITY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 김주현;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98-105
    • /
    • 2005
  • 연구 목적 : 국내에서는 아스퍼거 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 구조화된 검사 도구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아스퍼거 장애에 대한 진단적 타당도의 검증 및 향후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척도(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s Syndrome Diagnostic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들 중 DSM-IV 진단기준과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아스퍼거 장애, 전반적 발달 장애(PDD)와 비전형 전반적 발달 장애(PDD NOS), 의사소통 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모들에게 한국어로 번역한 ASDS를 실시하였다. 총 55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아스퍼거 장애 15명, PDD와 PDD NOS 20명, 의사소통 장애 20명), 연령의 범위는 5세 1개월부터 15세 6개월까지였다. 공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또 다른 아스퍼거 장애 질문지와 자폐 증상을 평가하는 K-CARS를 함께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K-ASDS의 내적 합치도는 Chronbach's $\alpha=0.88$로 높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 또한 높았다. K-ASDS와 아스퍼거 장애 질문지 간의 상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하위 척도 상에서 Asperger disorder, PDD, Communication disorder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판별 분석 결과, K-ASDS가 자폐 장애와 의사소통 장애로부터 아스퍼거 장애를 유의미하게 구분해주는 판별 함수를 얻었으며, 이들 장애를 구분해주는 전체 정확 판별율은 $71\%$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한국판 ASD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perger씨 증후군 - 자폐증, 분열성 인격장애와의 연계성 - (ASPERGER'S SYNDROME - THE LINKAGE WITH AUTISM AND CHILDHOOD SCHIZOID PD -)

  • 이영식;조인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41-53
    • /
    • 1994
  • 1944년 Hans Asperger는 아동기에 사회적인 고립과 특이한 행동 양식을 보이는 400명의 증례를 보고하고 자폐적 병질(autistic psychopathy)이라 명명하였는데 이 아동들은 1943년 Kanner에 의하여 기술된 자폐 아동들과 여러 가지면에서 유사하였으나 임상적인 관찰에서 몇몇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정상 언어 발달과 지능 수준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이후에 이들은 Asperger's syndrome([CD-10) 혹은 Asperger's disorder(DSM-IV)로 명명되었는데 이들은 자폐증과 연속선상에 있는 높은 기능 수행을 보이는 경한 형태의 발달장애로 보는 시각, 아동기 인격 장애의 특수한 형태로 보는 시각, 혹은 성인 정신분열증의 초기 아동기 행태로 보는 시각등이 있는데, 모두 그들 나름대로 연구 방법의 타당성과 결과 해석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ICD-10(1992)과 DSM-IV(1994)에서 전반적 발달 장애의 영역내에 새로이 독립된 진단 체계로써 확고히 자리한 지금에 와서도 이들 질환과 완전히 분리된 개념으로 간주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는 이 질환의 현재 개념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고찰과 더불어 독립된 질환이냐의 논의점과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이 증후군이 큰 맥락에서 사회적 본능(social instinct)에 결함이 있는 장애라는 견지에서 연계 질환들과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요약해 보았다.

  • PDF

아스퍼거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as Mothers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 안윤정;현진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113-138
    • /
    • 2014
  • 본 연구는 아스퍼거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험의 본질과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6개월 동안 아스퍼거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아스퍼거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의 본질은 '다른 별에서 온 아이의 손을 잡고 희미한 빛이 세어 나오는 동굴 걸어가기'로 해석되었으며, 18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주제 묶음으로 도출되었다. 6개의 주제는 '다른 별에서 온 독특한 아이와의 만남', '다르지 않은 듯 다른 아이와 세상 속에 뛰어들기', '답을 찾고 계획 수정하기',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지나기', '힘든 여정 속의 작은 위안', '한계를 인정하고 함께 걸어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퍼거장애 아동 양육에 있어 필요한 실천적,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아스퍼거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비교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sperger's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황지희;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4호
    • /
    • pp.199-206
    • /
    • 2013
  • Objectives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sperger's disorder (AD) in children are associated with attentional problems, impulsivity, hyperactivity, and difficulties with social interactions. Pharmacological treatment may alleviate symptoms of ADHD, but seldom solves difficulties with social interactions. Social skills training (SST) may assist in improving their social interactions. We examined the effects of SST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general behavior, and ADHD symptoms. Methods : Thirty four children, aged 7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 behavioral SST program once a week at the outpatient division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ST was composed of 24 sessions (ninety minutes) for 6 months. Twenty-five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9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D. Parents of the children rated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Conner's rating scales, Korean-ADHD Rating Scale (K-ARS), 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 and Matson's Social Skill Rating Scale as an evaluation of the treatment effect, before the first session and after the final session of the training. Results : The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social and social competence of CBCL and SSRS. Further, scores of externalizing problems of CBCL, CRS, and A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sperger's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social competence of CBCL, SSRS, and M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improvement in CBCL's school and total behavior problem score, CRS between drug change group and no drug change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ST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ADHD and AD. In addition, SST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treating attentional problems for children with ADHD. To prove objective usefulness of SST, further studies with a more structured design and long-term duration along with a sufficient number of AD participants will be necessary.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아스퍼거 장애, 학습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Comparison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sperger's Disorder, and Learning Disorder)

  • 신민섭;김현미;온싱글;황준원;김붕년;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131-140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ficits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sperger's Disorder(AD), and teaming disorder (LD), an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mong three groups. Methods : The clinical group consisted of 4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15 (16 ADHD, 16 LD, 14 AD).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measuring cognitive functio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were individually administered to children, and their performance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ge norm for each test.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SIQ, VIQ, and PIQ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AD group tended to show higher scores on the subtests of Information, Vocabulary and Digit Span, and lower score on Comprehension subtest than the ADHD and LD groups, while the LD group tended to show the lowest scores on the Information and Vocabulary subtests. On ADS, the ADHD group showed the highest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s. All groups showed poor performances belonging to below 25 percentile ranks on executive function tests when compared to the age norms of normative group. The number of completed category on WCST was the smallest in the ADHD group, while the working memory score was the lowest in the LD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HD, LD, and AD children have executive function deficit in common. However, the specific deficit areas in executive function are different for each group.

  • PDF

아스퍼거장애와 비전형 자폐장애 아동의 KEDI-WISC와 BGT 수행의 비교 (COMPARISON OF KEDI-WISC AND BGT PERFORMANCE BETWEEN THE ASPERGER' DISORDER AND PDD NOS CHILDREN)

  • 양윤란;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65-17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장애와 비전형 자폐장애 아동의 인지기능과 시각-운동 협응능력을 비교하였다. 아스퍼거장애(13명)와 비전형 자폐장애(14명) 환아 27명의 인지기능과 시각-운동 협응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K-WISC와 BGT 수행결과를 비교하였다. 아스퍼거장애는 비전형 자폐장애보다 전체 지능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아스퍼거장애는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이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비전형 자폐장애는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아스퍼거장애는 비전형 자폐장애에 비해 상식과 이해 소검사에서 더 우수한 수행을 보였고, 토막짜기에서는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비전형 자폐장애와 비교할 때, 아스퍼거장애는 시각-운동 협응에 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퍼거 장애는 언어 및 학습능력이, 비전형 자폐장애는 시공간 기능 및 시각-운동 협응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WISC와 BGT가 이 두 장애를 구분하는데 유용한 평가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침치료에 대한 최근 임상 연구 동향 - RCT 중심으로 - (Recent Clinical Research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지나;이선행;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9-126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clinical studies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other countries. We have analyzed the studies on effect of acupunctu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in randomized controlled trail (RCT) for 6years (from 2010 to 2015). Methods The search database includes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and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To narrow the search, the following key search terms were used: 'autism or ASD or Asperger's Syndrome o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cupuncture'. The search was limited to the publication date from 2010 to 2015. 7 control studies in Medlin, Embase, Cochrane library and 5 control studies in CNKI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acupuncture and rehabiliation treatment is more effective than only acupuncture treatment. Especially, Retention of needling is helpful. 2. It is necessary to set up standard scale in assessment of ASD patients and serum arginine-vasopressin (AVP) can be substitution. 3. Head acupuncture and tongue acupuncture is effective for ASD.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의 임상적 이해 (Clinical Implications of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 신석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4호
    • /
    • pp.192-196
    • /
    • 2017
  •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SCD) is a new diagnosis included under communication disorders in the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ection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SCD is defined as a primary deficit in the social use of nonverbal and verbal communication. SCD has very much in common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language in context and following the social rules of language, despite relative strengths in word knowledge and grammar. SC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re similar in that they both involve deficits i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individuals with SCD do not demonstrate restricted interests, repetitive behaviors, insistence on sameness, or sensory abnormalities. It is essential to rule out a diagnosis of ASD by verifying the lack of these additional symptoms, current or past. The criteria for SCD ar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ASD and are not equivalent to those of mild ASD. It is clinically important that SCD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high-functioning ASD (such as Asperger syndrome) and 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The ultimate goals are the refinement of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ssessment tools and interventions, and obtain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hared and unique etiologic factors for SCD in relation to those of other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i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Compared to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 Lim, Yun Shin;Park, Kee Jeong;Kim, Hyo-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4호
    • /
    • pp.178-184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ordance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and DSM-5) diagnostic criteria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0 subjects (age range: 3-23, 140 boys) with developmental delay or social deficit from January 2011 to July 2016 at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Asan Medical Center. The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 and intelligence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subject. Diagnosis was reviewed and confirmed for each subject with DSM-IV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and DSM-5 ASD criteria, respectively. Results: Fifty-eight of 145 subjects (34.1%)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as having PDD in DSM-IV did not meet DSM-5 ASD criteria. Among them, 28 (48.3%) had Asperger's disorder based on DSM-IV. Most algorithm scores on ADOS and all algorithm scores on ADI-R were highest in subjects who met both DSM-IV PDD criteria and DSM-5 ASD criteria (the Convergent group), followed by subjects with a DSM-IV PDD diagnosis who did not have a DSM-5 ASD diagnosis (the Divergent group), and subjects who did not meet either DSM-IV PDD or DSM-5 ASD criteria (the non-PDD group). Intelligence quotient was lower in the Convergent group than in the Divergent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SD prevalence estimates could be lower under DSM-5 than DSM-IV diagnostic criteria. Further prospective study on the impact of new DSM-5 ASD diagnoses in Koreans with ASD is needed.

입원한 전반적발달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표경식;반건호;홍강의;박태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237-246
    • /
    • 1998
  • 요 약:소아 ${\cdot}$ 청소년 병동에 입원하였던 전반적발달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의 임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 법:최근 5년간 입원하였던 57명(남자 53명, 여자 4명)의 전반적발달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 아동초기 발달력, 공존 정신병리 및 신경심리학적 검사, 부모의 정신병리 및 가족력, 치료형태 및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1) 입원시 평균연령은 $96{\pm}28.2$개월이었으며, 대상아동이 처음으로 전문기관을 방문했던 평균연령은 $52{\pm}26.6$개월이었다. 평균 입원기간은 $43.7{\pm}31.3$일이었다. 2) 진단은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전반적발달장애’가 27명(47.4%)으로 가장 많았고, 자폐장애 15명(26.3%), Asperger증후군 9명(15.8%), 소아기 붕괴성장애 2명(3.5%) 순이었다. 3) 임신기간 동안 문제를 보고한 환자모는 33명(57.9%)이었고, 이들 중 21명(36.8%)은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문제를 보고하였다. 발달력상 특징적 소견으로, 34명(59.6%)에서 외인불안이 없었다 하였고, 30명(52.6%)에서 분리불안이 없었다고 하였다. 4) 공존병리로서는 13명(23.8%)에서 주의력결핍 ${\cdot}$ 과잉행동장애, 2명(3.5%)에서 틱장애, 3명(5.3%)에서 정신증이 있었다. 지능검사가 가능했던 28명의 평균 FSIQ는 $70{\pm}27.5$였으며, 이중 15명(53.6%)에서 70 이하였다. 벤더게스탈트검사(BGT)가 가능했던 28명 중 27명(96.4%)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5) 뇌파검사를 시행하였던 52명 중 11명(21.2%)에서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뇌영상검사를 시행했던 37명중 8명(21.6%)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6) 부모의 정신병리로는 환자모 8명(14%)에서 우울증을 보였다. 20명(35.1%)에서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었으며, 이중 3명(5.3%)에서는 전반적발달장애의 가족력을 보였다. 7) 입원전의 치료형태를 살펴보면, 62.5%에서 조기교육을 포함한 특수치료를 받았다. 62.5%는 정신과 외래치료를 받았다. 결 론:전반적 발달장애의 경우 발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므로 더더욱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의 필요성이 강조되야 한다. 치료시 다면적 접근이 필수적이므로 치료자간의 이해와 교류가 동반되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