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9초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전통 안동식혜의 성분 변화 (Changes of Ingredient in Traditional Andong Sikhe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김성;이선호;최희진;조국영;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88-1393
    • /
    • 1998
  •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하여 전통안동식혜를 제조하여 저장하는 동안 질소화합물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성기간동안 조단백질의 함량은 주발효 기간인 4일까지는 증가하였으며, 아미노태질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2일째 37.50 mg였으며 이때 식혜의 맛이 가장 좋았다.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고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 및 aspartic acid였으며 methio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lysine은 감소하였다.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총 17종이었고, 이 중 glutamine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경우 arginine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 PDF

GLC를 이용한 식품 및 생체 시료 중 아미노산 이성질체의 분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Racemic Amino acids in Food or Biological Sample with GLC)

  • 이재성;어연우;박현미;김택제
    • 분석과학
    • /
    • 제7권1호
    • /
    • pp.53-64
    • /
    • 1994
  • 아미노산의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식품이나 생체에 있는 광학이성질체를 분리 정량하여 영양학이나 생화학적 관계를 연구한다. 필수아미노산 20종을 포함하여 총 38종의 d, l-from 아미노산을 검색 대상으로 삼았다. 단백질은 한국산 콩, 된장, 고추장, 간장, 분유 및 환자의 백내장을 시료로 하여 산 가수분해 후 esterification과 acylation으로 TFA-IPA 유도체를 만들어 chirasil val GLC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이성질화가 일어나는 아미노산은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henyl alanine으로 식물성 시료인 된장에서는 d-alanine이 검출되었으나 동물성 시료인 백내장과 분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연령추정 등 생리적으로 이용이 가장 적적한 것은 분리능과 함량을 비교했을 때 aspartic acid였다. d-from 아미노산의 분율은 가정용 된장이 3~6, 시판용 된장이 약 3%, 간장이 2~4%, 콩이 약 1%, 백내장 시료에서 1~2%, 분유에서 1.0~1.5%로 검출되었으며, 숙성 발효시 광학이성질체의 변환이 현저함을 알 수 있다.

  • PDF

생양태와 염건양태의 조리과정 중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s in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of Raw and Salted-dried Flathead by Various Cooking Methods)

  • 신애숙;김우성;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5-260
    • /
    • 1998
  • 양태를 생으로 또는 염건하여 찜, 삶기, 굽기의 3종류의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 및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양태의 일반성분은 수분 74.9%, 회분 1.9%, 조 지방 0.9% 조단백질 21.6%로 나타났다. 2. 생양태의 지방산 조성은 lignoceric acid(52.4%), palmitic acid(21.5%), stearic acid(8.2%)의 순서였으며 조리과정 중의 함량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 한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생양태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14.8%), aspartic acid(12.2%), leuicine(8.4%), Iysine (9.8%), arginine(6.8%)으로서 주종을 이루었으며 염건 양태의 찌기, 삶기, 굽기의 조리 중에 유리아미노산의 함량변화는 별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생양태와 염건양태간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p<0.0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

  • PDF

Nutritional Analysis of Purple Com Husk Extract

  • Ki Yeon Lee;Song Mun Kim;Kyung Dae Kim;Jae Hee Lee;Eun Ha Jang;Jin Gwan Ha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7-317
    • /
    • 2022
  • Seakso 5, a maize hybrid, was applied for variety in 2021 by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This variety was bred to produce a purple extract of com husk. It shows purple color in the husk and cob and contains abundant anthocyanins. In this study, to obtain basic data on purple com 'Seakso 5' husk extract (PCHE), a husk extract was prepared and the contents of vitamin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analyzed. The Seakso 5 husks were extracted with 30% alcohol and concentrated, after adding dextrin to the concentrate, it was spray-dried to prepare an extract. The PCHE were analyzed for vitamin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by referring to the Food Code. As a result, three types of vitamins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s were vitamin B1 0.14 mg/100g, vitamin B2 2.30 mg/100g, and vitamin C 11.32 mg/100g. A total of 15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the PCHE, including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the content of aspartic acid was the highest at 3.02 mg/g. Simultaneous analysis of fatty acids Among 37 types, saturated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leic acid (C18:1(n-9)),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C18:2(n-6)c) and a-Linolenic Acid (C18:3(n-3)) were detected. Among the detected fatty acids, the content of palmitic acid was the highest at 40.75 mg/100g. In the future, These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emporary food ingredient applications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PDF

명일엽 전초 및 생즙의 영양성분 분석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erial Whole Plant and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 김옥경;궁성실;박원봉;이명환;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92-596
    • /
    • 1992
  • 명일엽의 일반성분중 지방과 단백질은 잎에서 가장 많았으며, 수분, 총당 및 환원당은 줄기에서 가장 많았고 회분과 섬유소는 전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K와 Ca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Na, P, Mg의 순으로 많았으며, Mn, P, Zn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잎에서 가장 많았다. Ascorbic acid, ${\beta}-carotene$, Thiamin, Riboflavin 등의 비타민성분도 잎에서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조성은 17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함량별로는 일반적으로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leucine 순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전초, 잎과 줄기에서 각각 39.74, 39.87, 37.10%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9종의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함량은 전초에서 leu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잎에서 alanine,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줄기에서 aspartic acid, methionine, glutamic acid, alanine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각 부위에서 14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margaric acid 등이 주성분이었고, 특히 전초와 줄기에서는 linoleic acid가 각각 31.14, 43.29%이었고, 잎에서는 linolenic acid가 35.14%이었다.

  • PDF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과 Minera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tasty constituents and minerals in Clavariaceae botrytis)

  • 서정희;조수열;이성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4
  • 싸리버섯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인 유리 amino acid 유기산 유리당과 무기성분의 종류를 검소(檢素)하고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리 amino acid로서 isoleucine valine threonine alanine methionine cysteine glutamine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싸리버섯의 amino acid를 aspartic 계로 보았다. 2) 유기산으로서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다. 3) 유리당으로서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等)이 존재하고 이 가운데서 glucose sucrose가 전(全) 당(糖)의 80% 이상(以上)이었다. 4) 무기성분으로서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에 의(依)하여 K Na Mg Ca Cu Mn Zn Fe을 검출 정량하였고, 발광분광분석으로 다시 Al B Bi Ag Ti Sr Cr Pb 등(等)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들 무기성분 가운데서 K가 가장 많았으며, Ca의 양(量)이 극히 적음이 주목되었다.

  • PDF

진도산(珍島産) 구기자(枸杞子)의 아미노산조성(組成)과 유리당(遊離糖)의 분석(分析)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Aimno Acids and Free Sugars in Lycii fructus)

  • 이명열;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9-252
    • /
    • 1986
  • 구기자(枸杞子)의 총(總)아미노산조성(組成) 및 유리(遊離)당을 각각 amino acid autoanalyzer, HP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7종(種)의 총(總)아미노산이 검출(檢出)되었다. 즉 aspara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r-lalanine, hisidtine, lysine, arginine인데 이중 threonine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는 가장 적었다. 2. 총(總) essential amino acid량은 총(總)아미노산량의53.93%로 양질(良質)의 아미노산을 함유하였다. 3. Glucose, fructose, saccharose 등 3종(種)의 유리(遊離)당이 검출(檢出)되었는데 이중 fructose를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 PDF

Alterations of Amino Acid Level in Depressed Rat Brain

  • Yang, Pei;Li, Xuechun;Ni, Jian;Tian, Jingchen;Jing, Fu;Qu, Changhai;Lin, Longfei;Zhang, Hu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5호
    • /
    • pp.371-376
    • /
    • 2014
  • Amino-acid neurotransmitter system dysfunct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amino acids as a source of neuro-specific biomarkers could be used in future diagnosis of depression. Only partial amino acids such as glycine and asparagine were determined from certain parts of rats' brain included hippocampi and cerebral cortex in previous studies. However, according to systematic biology, amino acids in different area of brain are interacted and interrelated. Hence, the determination of 34 amino acids through entire rats' brai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monstrate more possibilities for biomarkers of depression by discovering other potential amino acids in more areas of rats' brain. As a result, 4 amino acids (L-aspartic acid, L-glutamine, taurine and ${\gamma}$-amino-n-butyric acid) among 34 were typically identified as potentially primary biomarkers of depression by data statistics. Meanwhile, an antidepressant called Fluoxetine was employed to verify other potential amino acids which were not identified by data statistics. Eventually, we found L-${\alpha}$-amino-adipic acid could also become a new potentially secondary biomarker of depression after drug validation.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L-aspartic acid, L-glutamine, taurine, ${\gamma}$-amino-n-butyric acid and L-${\alpha}$-amino-adipic acid might become potential biomarkers for future diagnosis of depression and development of antidepressant.

특수미 품종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 및 열적 특성 (Fatty Acids, Amino Acids and Thermal Properties of Specialty Rice Cultivars)

  • 최인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405-1409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유색미, 향미, 거대배아미의 지방산 및 아미조산 조성과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이며, 특히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75~80%를 차지하였다. 아미노산은 품종 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분석되었으며, 적진주 품종인 경우는 cysteine과 GABA가 주요 아미노산이었고, 특히, 큰눈에는 cysteine과 GABA가 유의하게 높게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미의 호화특성을 DSC 분석한 결과, 찰성인 조생흑찰과 화선찰벼가 호화에 필요한 흡열 엔탈피(${\Delta}H$)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색미 품종인 흑진주와 적진주의 열적 특성인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및 호화종결온도가 일반 메성 쌀인 일품현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유색미 품종의 취반 특성이 일반 현미에 비하여 낮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o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 김봉순;최옥자;심기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81-686
    • /
    • 2005
  • 동백잎의 채취시기에 따른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catechin, chlorophyll 및 total polyphenol 등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동백 잎의 조단백과 조지방 및 ascorbic acid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 3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 당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총함량은 증가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총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동백잎의 주된 구성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총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동백 잎에 함유된 무기질은 P, Ca, K, Na, Fe등으로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동백 잎의 chlorophyll 함량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