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2초

곶감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과 저장성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and Storage Property in Dried Persimmons)

  • 문광덕;김종국;김준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0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hemical compositions of dried persimmons stored with plastic film at low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film packaging on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30 to 36% and alcohol contents were 264 to 318 mg/100g 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25 to 40mg/100g. Total lipid contents of dried persimmon were 626 to 869mg/100g and oleic, palmitic, linolenic, and palmitole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s.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cystine and aspartic acid. From the result of storage experiment, non-packed group was that hardness was high as decreased in moisture content. In case of film packed groups stored at 5$^{\circ}C$, self life was longer than non-packed and packed groups stored at room temperature. But, it need to develop available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method.

  • PDF

고온고압수 반응을 이용한 생선내장의 아미노산 생성거동 (Production Behavior of Amino Acid from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Reaction of Fish Entrails)

  • 강길윤;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95-499
    • /
    • 2003
  • 고온고압수 반응에 의해 생선 내장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성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회분식 및 반회분식 반응조작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25$0^{\circ}C$, 반응시간 60분에서 회분식 반응조작을 통해 얻었던 최적수율 (137nmg/g-dry fish)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30$0^{\circ}C$, 2분의 반회분식 조작결과 보다 높은 수율 (230mg/g-dry fish)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회분식 반응조작에서는 Ala, Gly과 같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아미노산 생성이 지배적이었으며 반회분식 조작에서는 Ser, Asp과 같은 고분자량의 아미노산 생성이 촉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반응 생성물의 조성은 각 반응조작 (회분식 및 반회분식)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생선 폐기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성을 위한 고온고압수 처리공정은 회분식 반응조작에서 얻을 수 있었던 최적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및 단시간 반응에서 조작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정 아미노산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반응조작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구기자의 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물 조성 (On the composition of free sugars,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in Lycium fructus)

  • 성창근;오만진;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22-27
    • /
    • 1994
  • 주로 생약식물로서 야용되어온 구기자의 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물 함량을 각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기자에는 3종의 당이 있었으며, 당 조성으로서는 건조 구기자(품종, 청양) 100g당 glucose, 5.36%:fructose, 5.81%:sucrose, 4.39이였다. 총 단백질은 일본 I이 11.3894%로서 가장 높았으며, Asp/Asn, Glu/Gln은 다른 아미노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구기자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oleic, palmitic acids이었으며, 이들은 총 지방산의 82.98~89.64%를 차지하였다. 구기자의 무기물 함량은 다른 가지과 식물과 비교할 때 $Ca^{{+}{+}}$량이 약간 적었다. 중국 II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Ca^{{+}{+}}$, $Fe^{{+}{+}}$함량이 높았다.

  • PDF

식물성(植物性) 유기물질(有機物質)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부후물질(腐朽物質)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V. 산야초(山野草)와 수목엽부식산(樹木葉腐植酸)의 산가수분해용액중(酸加水分解溶液中) Amino 산(酸)의 함량(含量)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ic Materials Extracted from Decomposing Plant Residues -V. Amino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Humic Acids Extracted from Wild Grass Hay and Forest Litters)

  • 김정제;이위영;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8
    • /
    • 1989
  • 식물성(植物性) 유기물질(有機物質)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채취(採取)한 다음 부식산(腐植酸)을 추출정제(抽出精製)한 후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한 액중(液中)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amino 산(酸)의 변화(變化)를 알기 위해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잎과 침엽수(針葉樹)잎 등 3가지 식물유체(植物遺體)를 가지고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모두 17종류(種類)의 amino 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식산(腐植酸) 가수분해액중(加水分解液中)에 함유(含有)하고 있는 amino 산(酸)의 함량(含量)과 그 분포(分布)는 식물체(植物體)에 따라, 또한 부숙정도(腐熟程度)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2. 전시료(全試料) 공(共)히 중성(中性) amino 산(酸)이 가장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산성(酸性) amino 산(酸) 염기성(鹽基性) amino 산(酸)의 순서였다. 3. 총(總) amino 산(酸)의 함량(含量)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많았다. 산야초(山野草)>활엽수(闊葉樹)잎>침엽수(針葉樹)잎 4. 부열화(腐熱化)가 진전(進展)됨에 따라 lysine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5. 부숙화(腐熟化)가 진전(進展)된 시료(試料)에서는 glycine과 glufamic acid의 amino 산(酸)의 공통적(共通的)으로 다량(多量) 함유(含有)하고 있었고 부숙화(腐熟化)가 되지 않은 식물유체(植物遺體)의 부식산(腐植酸)에는 alanine, gluf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leucine 등 5종(種)이 가장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6. 부숙화(腐熟化)된 시료(試料)에서는 argnine이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7. penylalanine과 tyrosin은 전기간(全期間)에 걸쳐 검출(檢出)되었으며, 부숙(腐熟)됨에 따라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

고추장의 맛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1보(報)) 전(全)아미노산(酸) 함양(含量)과 질소성분(窒素成分) - (Approach to the Taste Components of Kochuzang (Red Pepper Paste) - Part 1 : Content of Amino Acids and other Nitrogen Compounds -)

  • 이택수;조한옥;류명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1호
    • /
    • pp.43-48
    • /
    • 1980
  • In order to identify the taste components of Kochuzang (red pepper paste), glutinous rice Kochuzang were prepared with addition of Saccharomyces rouxii and Torulopsis versatilis respectively. The nitrogen compounds were determin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t intervals and the amino acid components of 210 days aged glutinous rice Kochuzang were measur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rement of amino-N and soluble-N of Kochuzang were increased remarkably during fermentation period untill 60 day but after that period, the increment was slowly changed. 2) Ammonia-N of Kochuzang was increased slowly during aging period but after that time, the amount was decreased slightly. 3) Amino-N ratio and Nitrogen solubility of 300 days aged Kochuzang were 23.71-25.38% and 54.12-56.19% respectively. 4) 17 Kinds of amino acid were identified at 210 days aged Kochuzang those were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e and Tyrosine. 5) Total amino acids were 3.5-4.1% which consists of Glutamic acid, 0.95-1.05%, Aspartic acid, 0.63-0.65% and Serine, Proline, Alanine, Valine, Leucine were 0.22-0.28% respectively but Methionine, Histidine and Arginine were below 0.1%, and Tyrosine, Tryptophane and Phenylalanine existed in Kochuzang in small quantities.

  • PDF

한국산(韓國産) 녹두(綠豆)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유리(遊離) Amino Acid 함량(含量)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Korean Mung 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 고무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50-154
    • /
    • 1980
  • 한국에서 생산된 녹두의 성숙 중에 아미노산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화 후 10일, 15일 20 일, 25일과 30일의 5단계로 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에 검출된 아미노산은 histidine, arginine, cystine, aspartic acid, threonine(Serine 포함), glutamic acid와 valine이었고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도 나타났다. 2) 15일에는 초기의 것에 gly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과 methionine의 5종(種)이 더 검출되었으며,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의 양이 감소하면서 methionine이 나타났다. 3) 중기에 leucine이 나타났고 성숙하면서 약간의 증가를 보였고 25일 이후에는 methionine sulfoxide와 methionine sulfone이 검출되지 않는 대신 methionine 앙이 증가하였다. 4) 개화 20일 이후의 아미노산은 완숙기까지 계속 존재하였고 증가된 아미노산은 leucine, valine, isoleucine과 methionine이었으며, 그 외 대부분은 감소 또는 그대로 남았다.

  • PDF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Silk-gland Powder of Silkworm)

  • 전정우;권해용;조유영;박명기;손용호;이희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3-169
    • /
    • 2012
  • 본 연구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트윈케이크 및 팩트용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아미노산 분석, 항산화, 보습 및 탄력 효과 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시험제형의 아미노산은 serine (26.77 %), aspartic (15.47 %), glycine (9.62 %) 등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serin은 누에분말보다 150 % 이상 함유하고 있었다. 누에생실샘 미세 분말 함유 시험제형이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보다 입자 크기가 작음을 확인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한 시험제형이 비교제형보다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에서 각각 257.2 %와 181.15 %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탄력성을 높인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함유 화장품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콩의 재배종과 야생종의 콩나물관련 특성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oybean Sprout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 이정동;황영현;조호영;김달웅;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9-195
    • /
    • 2002
  •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간장태 신속 대두발효 종균으로의 Enterococcus faecium (Rapid Fermentation Starter Enterococcus faecium of Soybean for Soy-Sauce Like Product)

  • 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8-195
    • /
    • 2012
  • 풍미가 강력하고 신속발효가 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젖산균 Enterococcus spp.를 발효종균으로 활용하여 재래식 간장모양의 풍미를 가지는 대두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19종의 Enterococcus spp. 중에서 protease 활성이 높은 8종을 선발하여 E. faecium 4종, E. faecalis 3종, E. gallinarium 1종으로 동정하였다.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이 낮았고, vancomycin 유전자도 없으며, 5% NaCl 함유 배지에서도 protease 분비가 우수한 E. faecium O24를 발효 종균으로 선정하였다. 증자한 대두 백태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발효생성 조미 아미노산 중 80 mg% glutamic acid, aspartic acid를 생성시켰으며, lactic acid와 여러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Z. rouxii와 C. versatilis와의 혼합배양으로 간장 고유취인 maltol, guaiacol 등의 향기성분도 합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청국장 젖산균인 Enterococcus spp.는 신속하게 다양한 향미성분을 생산하여 간장태의 대두 발효의 종균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숙성 정어리액젓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Rapid Processed Sardine Sauce)

  • 구재근;김영명;이영철;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92
    • /
    • 1990
  • 자가 소화액 및 정어리 기질 코오지를 마쇄 정어리 육에 첨가한 후 $40^{\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킨 정어리액젓은 관능적 기호성이 멸치액젓과 유사하였으며, 그 화학적 성분 조성은 총질소 $1.98\%$, 아미노태질소 $1.08\%$, 유리아미노산 $5,296.8\%$, 핵산관련물질 $131.3mg\%$, 염도는 $13.0\%$의 수준이었다. 또한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valine등의 함량이 높았고, IMP의 함량은 $20.8mg\%$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