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ian corn bor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Synthesis and Biological Test of the Pheromone of the Asian Corn Borer Moth (Ostrina Furnacalis)

  • Kang, Suk-Ku;Goh, Hyun-Gwan;Park, Jung-Min;Hwang, Kyung-Lan;Lee, Jeong-Uh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1호
    • /
    • pp.15-19
    • /
    • 1985
  • (Z)-12-Tetradecen-1-yl acetate (1), (E)-12-tetradecen-1-yl acetate (2) and tetradecan-1-yl acetate (3), the active components of the sex pheromone of the Asian Corn Borer moth were synthesized by two different methods, one from acetylene and 11-bromo-1-undecanol THP ether by acetylenic route, the other from 12-acetoxy-1-dodecanal and ethylidenetriphenylphosphonium ylide by Wittig route.

율무의 조명나방 방제체계 (Control System of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in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장성원;김희동;강창성;김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78
    • /
    • 2000
  •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경기도 북부의 연천 지역에서 율무에 크게 피해를 주는 조명나방에 대한 발생 생태 조사 및 방제적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무 조명나방은 연천지역에서 성충 발생은 년간 $2{\sim}3$ 회였고 1, 2, 3 화기 발생최성기는 각각 5월 하순${\sim}$6월 중순, 7월 하순${\sim}$8월 상순, 8월 하순이었으며, 율무 조명나방에 의한 줄기 피해는 $7{\sim}8$월부터 시작하여 10월에 가장 심하였다. 조병나방에 대한 방제약제는 할로스린유제가 93.9%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효과적 방제적기는 할로스린유제를 7 월하순 fb 8 월 상순 , 8월상순 fb 8월 중순 2회 처리시 방제가가 92.4, 93.5% 로 높았으며 10a당 수량은 무처리구 216kg에 비하여 각각 81%, 82% 증수하였다.

  • PDF

율무에서 조명나방에 대한 몇 가지 살충제의 포장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veral Pesticides against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in Job's Tears Fields)

  • 이영수;정진교;장정희;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이영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75-281
    • /
    • 2022
  • 소면적 약용작물인 율무의 주산지인 연천에서 조명나방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5종의 살충제와 3종의 유기농업 자재에 대한 포장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조명나방의 성충은 5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하순까지 총 3세대를 경과하였다. 포장시험 결과, 5종의 살충제인 novaluron, lufenuron, spinetoram, cyclaniliprole, flufenoxuron과 3종의 유기농업 자재인 CCBP (gosam extracts 90%), LT (neem extracts 60%), JT (citronella oil 30 + derris extracts 20 + cinnamon extracts 10%)는 율무에 발생하는 조명나방에 대하여 2 지역 모두에서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율무 전용 살충제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anaxadiol saponins treatment caused the subtle variations in the global transcriptional state of Asiatic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 Liu, Shuangli;Xu, Yonghua;Gao, Yugang;Zhao, Yan;Zhang, Aihua;Zang, Liansheng;Wu, Chunsheng;Zhang, Lianxu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123-134
    • /
    • 2020
  • Background: The lepidopteran Asiatic corn borer (ACB), Ostrinia furnacalis (Guenee), has caused huge economic losses throughout the Asian-Western Pacific region. Usually, chemical pesticides are used for the control, but excessive use of pesticides has caused great harm. Therefore, the inartificial ecotypic pesticides to ACB are extremely essential. In our previous study, we found that panaxadiol saponins (PDS) can effectively reduce the harm of ACB by causing antifeedant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biological molecular changes in ACB and the functionary mechanism of PDS. Methods: We analyzed the global transcription of ACB with different PDS concentration treatment (5 mg/mL, 10 mg/mL, and 25 mg/mL)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and de novo transcriptome assembly method. Results: PDS treatment could cause the changes of many gene expressions which regulate its signal pathways. The genes 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signaling pathway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and then, the downstream fatty acid degradation pathway had also been greatly affected. Conclusion: Through this experiment, we hypothesized that the occurrence of antifeedant action of ACB is because the PDS brought about the downregulation of FATP and FABP, the key regulators in the PPAR, and the downregulation of FATP and FABP exerts further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SCD-1, ACBP, LPL, SCP-X, and ACO, which leads to the disorder of PPAR signaling pathway and the fatty acid degradation pathway. Not only that, PDS treatment leads to enzyme activity decrease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catalytic activity, such as cytochrome P450 and other similar genes.

율무 재배지(栽培地) 조명나방 발생생태(發生生態)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trinia furnacalis Guenee, in Adlay Field)

  • 장성원;이은섭;김기중;이효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8-332
    • /
    • 1998
  • 본 연구(硏究)는 율무 주산단지(主産團地)인 연천 지역(地域)에서 율무에 피해(被害)를 주는 조명나방에 대한 발생생태(發生生態)를 조사(謂査)하여 방제(防除)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율무조명나방은 연간(年間) 3회(回) 발생(發生)하였으며, 1화기(化基)는 5월 중순(中旬)${\sim}$6월 하순(下旬), 2화기(化期) 7월 하순(下旬)${\sim}$8월 중순(中旬), 3화기(化期) 8월 하순(下旬)${\sim}$9월 중순(中旬)이었으며 3화기(化期) 유충(幼蟲)이 율무 그루터기나 줄기측에서 월동(越冬) 후(後) 이듬해$5{\sim}6$월(月)에 번데기 로 되었다. 2. 유충(幼蟲) 월동(越冬) 부위(部位)는 지상부(地上部)에서 68.4%, 지제부 이하(以下)에 31.6%가 분포(分布)하였고 지상부(地上部) 식물체중(植物體中) 1절${\sin}4$절까지 분포(分布)하였다. 3. 조명나방의 각(各) 태별(態別) 소요기간(所要期間)은 난기간(卵基間) $3{\sim}4$일(日), 유충기간(幼蟲期間) $16{\sin}36$일(日), 용기간(踊期間) $4{\sim}11$일(日),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6{\sim}12$일(日)이었다. 4. 율무 조명나방의 시기별(時期別) 율무 식물체가해부위(植物體加害部位)는 6月까지 잎, 7月 이후(以後)는 줄기를 식해(食害)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율무 조명나방에 의한 율무 피해(被害)은 7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9{\sim}10$월(月)에 피해경율 $33.7{\sim}37.6%$로 가장 높았다.

  • PDF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알에 대한 쌀좀알벌(T. evanescens)과 T. ostriniae의 기생특성 (Parasitism of Trichogramma evanescens and T. ostriniae (Hymenoptera: Trichogrammatidae) to Eggs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 정진교;박종호;임대준;한태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3-50
    • /
    • 2005
  •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Guenee)의 국내 우점 알기생벌인 쌀좀알벌(T. evanescens)과 같은 곤충을 숙주로 삼는 T. ostriniae의 기생특성을 조명나방 알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일정한 사육조건 ($25^{\circ}C$, 16L/8D)에서 두 알기생벌은 명조건 후 4시간 안에 $50\%$ 이상 우화하는 일일주기성을 보였다. 산란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두 종 약 11일 정도였고, 두 종 모두 종간 및 종내 암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알기생율이 $10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과기생을 보였다. 두 종 모두 암컷은 우화 후 5일째까지 산란하였고, 수명은 쌀좀알벌에서 최대 8일이었고, T. ostriniae에서 6일이었다. 조명나방의 기생알 수는 각 각 약 38개와 31개였는데, 두 종 모두에서 우화 첫째날 알기생벌이 산란한 알 수가 전 산란기간 동안 산란한 알 수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성비는 두 종 모두 암컷이 약 $80\%$를 차지하는 암컷편향적이었다.

조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 비휴면태의 생존과 발육,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Surviv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Non-diapaus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Crambidae))

  • 정진교;서보윤;김은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49-462
    • /
    • 2021
  • 옥수수 주 해충인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나비목: 포충나방과)의 비휴면태 단계의 생존과 발육, 생식에 미치는 온도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휴면태 단계는 16:8 h (명:암)의 광주기 조건에서 유지하였다. 미성숙태를 15~35℃ 범위의 7개 항온조건에서, 성충을 13~33℃ 범위의 8개 항온조건에서 인공사료로 사육하였다. 알은 적용된 모든 온도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으나, 유충은 15℃에서 7.4%의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성숙태의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나, 유충기간은 35℃에서 더 짧아지지 않았다. 번데기 몸무게는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암컷의 무게는 35℃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25℃를 제외한 다른 6개 온도 각각에서 마지막 영기가 다른 개체변이가 관찰되었다. 성충은 적용된 모든 온도에서 자손을 생산하였다. 성충 수명과 산란전 기간, 산란기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산란전 기간은 33℃에서 다시 길어졌다. 총산란수는 22℃와 31℃에서 400개 이상이었다. 산란기간 중 일산란수와 산란일당 일산란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는데, 33℃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성충 나이에 따른 일일 산란수는 우화 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산란횟수는 22℃에서 가장 많았다고 모의 추정되었다. 선형방정식으로 추정된 최저발육온도는 1령 유충이 9.7℃로 가장 낮았고, 5령~말령 단계가 14.7℃로 가장 높았다.

조명나방(Ostrinis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인공사료와 사육법 (An Artificial Diet and the Rearing Method for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

  • 박재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5-406
    • /
    • 1993
  • 본 실험은 성페로몬 실험에 필수적인 조명나방의 인공사료와 대량사육 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영양원으로서 효모, Wesson 염, 비타민 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을 사료에서 삭제 또는 첨가하였다. 또하 적절한 사육방법을 고안했으며 번데기의 암경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알아 보았다. 효모의 첨가는 용무게와 용화율을 높여 주었으나 Wesson염의 첨가는 암컷 용의 무게를 감소시켰다. 효모의 대용으로 사용된 비타민은 어린 유충의 생존율을 높여 주었으나 용무게에서는 효모첨가사료의 경우 보다 가벼웠다. 용화장소로서 골판지는 매우 좋은 결과를 보였고, 용의 암경화율은 유충의 발육속도가 빠를수록 높았다.

  • PDF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유인행동과 성페로몬샘 (Galling Behavior and Sex Pheromone Gland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

  • 박재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6-7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조명나방 성충의 우화시간대, 나이에 따른 암컷의 유인해동양상과 교미능역, 1일부터 5일된 암컷이 분비한 성페로몬에 대한 3일된 수컷의 반응 그리고 성페로몬샘의 구조와 위치를 조사하였다. 광주기를 16L/8d로 햇을 때 성충운 일잔벅으로 암시간대 시작 한시간 이전부터 1~2시간이후까지 우화 하였다. 그리고 2일과 3일된 암컷ㅇ에서 6시부터 7시 사이에 가장 황성한 유인행동을 보였으며, 3일된 암컷에 대한 수컷의 반응이 암시간대 5~8 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미쌍은 암시간대 4~7시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1일부터 4일된 암컷중 성페로몬샘을 돌출시킨 개체들은 65%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성페로몬샘을 돌출한 2~3일된 암컷은 1~5일된 각각의 수컷과 60%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암컷의 성페로몬샘으로 추측되는 두꺼운 세포층들은 복부 8번째, 9번째, 그리고 9번째와 10번째 사이의 막질성 표피층에 위치하고 있었다.

  • PDF

Amino acid, fatty acid, and carbohydrate metabolomic profiles with ginsenoside-induced insecticidal efficacy against Ostrinia furnacalis (Guenee)

  • Liu, Shuangli;Wang, Xiaohui;Zhang, Rui;Song, Mingjie;Zhang, Nanqi;Li, Wanying;Wang, Yingping;Xu, Yonghua;Zhang, Lianxu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544-551
    • /
    • 2020
  •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insecticidal efficacy of ginsenosides.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metabolic mechanism related to the inhibitory effect of panaxadiol saponins (PDSs) against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Methods: Third instar larvae of O. furnacalis were fed normal diet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DSs for 4 days. The consumption index, relative growth rate, approximate digestibility, and conversion of ingested and digested food were recorded. A targeted gas chromatographye-mass spectrometry assay was performed to detect the profiles of amino acids, fatty acids, and carbohydrates in larvae of O. furnacalis. In addition, the activity of detoxification-related enzymes was determined. Results and Conclusions: PDSs decreased the consumption index, relative growth rate, approximate digestibility, and conversion of ingested and digested food in the 3rd instar larvae of O. furnacalis in a dose-dependent manner. PDSs decreased 15 free amino acids, 16 free fatty acids, and 5 carbohydrates and increased the levels of palmitoleic acid, palmitic acid, and 9-octadecenoic acid in the 3rd instar larvae. The activity of detoxification-related enzymes, such as acetylcholinesterase, glutathione S-transferase, cytochrome P450, carboxylesterase, trehalase,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3rd instar larvae exposed to PDSs. These data confirmed the inhibitory effect of PDSs against growth, food utilization, and detoxification in the 3rd instar larvae of O. furnacalis and the potential for using PDSs as an efficient tool for insect pest management for O. furnacalis larv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