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h

검색결과 6,633건 처리시간 0.041초

하이 볼륨 플라이애쉬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실험 (Experiment of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High Volume Fly Ash)

  • 유성원;이형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23-329
    • /
    • 2014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쉬는 콘크리트의 첨가재로 사용되는 것이 석탄회 재활용 방안 중 최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석탄회는 최근 더 이상 매립이 불가능하여 콘크리트에 다량 첨가가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하이볼륨 플라이애쉬(High Volume Fly Ash: HVFA) 시멘트 콘크리트의 연구분야는 주로 재료적인 분야에 대해서만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이볼륨 플라이애쉬 시멘트 콘크리트의 구조재료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관계 및 구조 부재 거동 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플라이애쉬 치환율 0, 35 및 50%, 압축강도 20, 40 및 60 MPa 그리고 인장철근비 2수준을 실험변수로 하여 플라이애쉬 시멘트 철근콘크리트 보 18개를 제작하여 이들의 휨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플라이애쉬를 첨가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FA=0%)와 35, 50% 플라이애쉬 시멘트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은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공진주시험을 통한 Bottom Ash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ottom Ash Characteristics of Resonant Column Tests)

  • 윤원섭;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81-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표준사와 bottom ash를 No.40체, No.60체, No.100체, No.200체로 분류하여 상대밀도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결과를 토대로 40%, 55%, 70%의 상대밀도로 공진주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체에 잔류한 bottom ash에 대해 55%의 상대밀도로 No.200체 통과시료를 함유하여 공진주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체 잔류시료에 대해 A다짐시험에 해당하는 다짐에너지로 다짐을 하면 No.200체 통과율이 약 30%까지 증가하게 되어 함유량을 10%, 20%, 30%로 조정하였다. 시험결과 bottom ash의 경우 파쇄강도와 단위중량이 표준사에 비해 작아 최대전단탄성계수, 감쇠비 등의 결과값이 표준사의 결과에 비해 작았다.

화산재 강하로부터의 영향 고찰 (Review about the Impacts from Volcanic Ash Fall)

  • 이정현;윤성효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1호
    • /
    • pp.73-86
    • /
    • 2020
  • 화산 분화 시 방출되는 물질은 화산가스, 용암, 화성쇄설물이 있다. 화성쇄설물 중 입자크기가 작은(직경 2 mm 이하) 화산재는 쉽게 이동하여 먼 거리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기 중에 부유한 화산재 입자는 강하재가 되어 지표에 퇴적된다. 이러한 강하재가 미치는 영향은 퇴적되는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퇴적되는 화산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피해의 규모는 커지고 그 영향 범위 또한 넓어지며, 보건 및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영향도 심각해진다. 따라서 강하재의 영향에 따른 피해 저감을 위해 재해의 본질과 정도, 영향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의 위험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대비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 백두산을 비롯한 한반도 주변 지역에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화산 분화로 인한 강하재의 영향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A geochemical study on the saline waters circulating in an ash disposal pond of Seocheon Power Plant. Korea

  • Kim, Kang-Joo;Park, Seong-Min;Kim, Jin-San;Natarajan Rajmohan;Hwang, Gab-Soo;Yun, Seong-Taek;Kim, Hyun-Jung;Kim, Suk-Hwi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38-34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ochemistry of saline water circulating in an ash disposal pond of Seocheon power plant, Korea. For this study, ash pond waters, slurry water and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major ions and trace elements. Results show that ash pond waters and slurry water are alkaline in nature due to high calcium content, and have high concentration of Ca, B, Li, As, Ba, Al, Si and Mn over seawater, suggest that these elements leached from fly ash even at high alkaline condition and ionic strength. Slurry water has high concentration of B, Ba, Li, Mn, Si and Sr compare to ash pond waters, expresses that these elements seem to be easily reached at initial stage fly ash-water interaction, and also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surface of the fly ash particles. Additionally, PHREEQC program predicted several secondary solid phases, which are also influenced in the leaching of elements in to the saline water.

  • PDF

중유회를 활용한 고형연료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RF(Solid Refuse Fuel) using heavy oil fly ash)

  • 민홍;조성수;서민혜;이수영;최창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83-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유회의 고형연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첨가제별 성형 특성과 조성을 분석하고, 제조한 SRF(Solid Refuse Fuel)의 발열량을 비교하였다. SRF 성형을 위해 함께 첨가한 첨가제는 귤박, 폐목재, 석탄이었으며,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각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압출방법을 통해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SRF의 성형성은 중유회와 석탄 또는 귤박을 혼합한 조건에서 우수하였으며, 발열량은 석탄을 혼합한 SRF가 4,274 kcal/kg 으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중유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합성 조건은 20 wt%의 석탄을 혼합하여 함수율 30%로 제어하였을 때, 높은 성형성과 발열량의 향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J 화력발전소의 중유회를 활용하여 첨가제(귤박, 폐목재, 석탄)를 일정 비율로 주입하였을 때 고형연료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반 볼밀을 이용한 왕겨재의 건식 미세분쇄에 관한 연구 (Dry Fine Grinding of Rice Husk Ash using a Stirred Ball Mill)

  • 박승제;최연규;김명호;이종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1호
    • /
    • pp.39-46
    • /
    • 2000
  • This work was conducted to study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grinding system designed to obtain fine rice husk ash powder. To find better utilizing of rice husk, a valuable by-product from rice production, once the rice husk was incinerated and the thermal energy was recovered from the furnace, the ash was fed and pulverized in the grinding system resulting a fine powder to be used as a supplementary adding material to the portland cement manufacturing . The rice husk ash grinding system consisted of a high speed centrifugal fan for the preliminary coarse milling and a dry-type stirred ball mill for the subsequent fine grinding . Total grinding time 9 5, 15, 30, 45 min), impeller speed (250, 500, 750 rpm) , and mixed ratio (4.8, 7.9, 14.9) were three operating factors examined for the performance of a stirred ball mill used for the fine grinding of ash. With the stirred ball mill used in this study, the minimum attianable mean diameter of rice husk ash powder appeared to be 2 ${\mu}{\textrm}{m}$. During the find grind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surface area of powder showed an increase and the grinding energy efficienc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otal grinding time, impeller speed ,and mixed ratio. For the operating conditions employed , the resulting mean diameter of fine ash powder, specific energy input, and grinding energy efficiency were in the range of 1.79 --16.04${\mu}{\textrm}{m}$, 0.072-5.226kWh/kg, an d1.11-12.15$m^2$/Wh, respectively. Grinding time of 30 min , impeller speed of 750 rpm, and mixed ratio of 4.8 were chosen as the best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tirred ball mill for fine grinding . At these conditions, mean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ash, grinding energy efficiency, grinding throughtput, and specific energy input were 2.73${\mu}{\textrm}{m}$, 3.95$m^2$/Wh, 0.25kg/h, and 1.22kWh/kg, respectively.

  • PDF

Efficacy of Wood Ash as an Antiviral Agent against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of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

  • Singh, G.P.;Roy, D.K.;Sahay, Alok;Suryanarayana, 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3권2호
    • /
    • pp.97-101
    • /
    • 2006
  • The efficacy of wood ash from Terminalia arjuna (arjun) and T. tomentosa (asan) has been tested against virosis of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 The Polyhedral Occlusion Bodies (POBs) of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of A. mylitta (AmCPV) were exposed to the aqueous solution (0.5 to 4%) of wood ash for 5 to 30 minutes. The treated suspension of POBs was orally inoculated once to tasar silkworm larvae after 24 hours of $1^{st}$ moult, and larvae reared in indoor on arjun leaves till spinning. The application of aqueous solution of wood ash has established its potential as antiviral agent against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Two percent aqueous solution of wood ash from arjun and asan dissolved the Polyhedral Occlusion Bodies (POBs) of cytoplasmic polyhedrosis virus of tasar silkworm and inactivated the vir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20 to 30 minutes. In vivo efficacy of aqueous solution of wood ash resulted in reduction of larval mortality due to virosis. The mortality was reduced to $2.56{\pm}0.21\;and\;3.03{\pm}0.32%$ when treatment of 2.0% solution of wood ash of arjun and asan respectively were applied for 20 minutes, compared to inoculated control $(92.18{\pm}7.52%)$. No mortality was recorded when treatment of 2.5% solution of wood ash of arjun and asan were applied for 10 minutes or more.

Characteristic studies of coal power plants ash sample and monitoring of PM 2.5

  • Thriveni., T;Ramakrishna., CH;Nam, Seong Young;kim, Chunsik;Ahn, Ji Whan
    • 에너지공학
    • /
    • 제26권4호
    • /
    • pp.45-56
    • /
    • 2017
  • Coal power plants produce electricity for the nation's power grid, but they also produce more hazardous air emissions than any other industrial pollution sources. The quantity is staggering, over 386,000 tons of 84 separate hazardous air pollutants spew from over 400 plants in 46 states. In South Korea also, annual coal ash generation from coal-fired power plants were about 6 million tons in 2015. Pollutants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10, 2.5 (PM10, PM2.5), heavy metals and dioxins from coal-fired power plant. The emissions threaten the health of people who live near these power plants, as well as those who live hundreds of miles away. These pollutants that have long-term impacts on the environment because they accumulate in soil, water and animals.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l-fired power plant fly ash and bottom ash contains particulate matter, whose particulate sizes are lower than $PM_{10}$ and $PM_{2.5}$ and heavy metals. There are wide commercial technologies were available for monitoring the PM 2.5 and ultra-fine particles, among those carbonation technology is a good tool for stabilizing the alkaline waste materials. We collected the coal ash samples from different coal power plant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al fly ash was characterized by XRF. In the present laboratory research approach reveals that potential application of carbonation technology for particulate matter $PM_{10}$, $PM_{2.5}$ and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The significance of this emerging carbonation technology was improving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fly ash and bottom ash samples can facilitate wide re use in construction applications.

백두산 화산의 1654년 10월 21일 화산재구름 이동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고찰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Ash Cloud Movement from Mt. Baegdu Volcano on October 21, 1654)

  • 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4
    • /
    • 2018
  • 백두산 화산으로부터 폭발성 분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1654년의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화산재 구름 이동의 역사기록을 화산학적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1654년 10월 21일에 백두산에서 분화된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북풍~북동풍의 바람을 타고 낮은 고도로 운반되어 재구름과 함께 한반도 남쪽으로 내려온 화산재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영향 지역이 북쪽으로 함경도 남쪽 경계부에도 출현하였다는 것은 그 북쪽 즉 백두산에서 한반도 남쪽으로 남하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화지점인 백두산으로부터 약 500 km 이상 떨어진 경기도 적성과 장단 지역에 재구름이 통과한 것은 당시 백두산에서 중규모의 플리니식 분화로 형성된 분연주가 탁월풍의 영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지면을 따라 재구름을 형성하여 이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를 유사 기상 장에서 수치 모의하여 재현하였다.

강섬유 보강 플라이애쉬.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Fly Ash.Polyester Resin Composites)

  • 박승범;조영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56-166
    • /
    • 1993
  • 본 연구는 산업폐기물인 플라이애쉬를 충전재로 사용한 강섬유보강 폴리에스터 수지 복합체의 워커빌리티 및 그 역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그 제조방법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동복합체는 강섬유, 충전재(플라이애쉬, 중질탄산칼슘),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스티타이렌 모노머), 경화촉진제(코발트옥테이트), 촉매(MEKPO) 및 굵은 골재와 잔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배합조건별로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플라이애쉬$\cdot$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경우, 플라이애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압축, 인장, 휨강도 및 경화수축은 현저히 개선되었고 강섬유 보강 플라이애쉬$\cdot$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경우 워커빌리티는 플라이해쉬-결합재비 및 강섬유혼입율 증가에 따라 저하하였으나, 압축, 휨강도 및 휨인성은 섬유혼입율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