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an Ba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GIS와 USLE를 이용한 아산만 유입 유사량 추정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Asan Bay Using the USLE and GIS)

  • 김상민;박승우;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059-1068
    • /
    • 2003
  • 본 연구는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영상과 NGIS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기본도와 USLE 주제도를 구축하고,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아산만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다. 유사운송비와 포착률을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농업기반공사의 배수갑문 관리자료와 환경부의 담수호 부유물 측정자료로부터 구한 실측 유사량과 비교하였다. USLE와 유사운송비, 포착률을 이용해 추정된 값과 실측 유입유사량을 비교한 결과, 아산호의 경우 연평균 추정치는 5,665tonnes/yr, 실측치는 12,937tonnes/yr, 삽교호의 경우 추정치는 6,765tonnes/yr, 실측치는 12,395 tonnes/yr 으로 나타났다.

아산만 내 방조제 배출수와 영양염의 물질수지 (Nutrient Budget and Dam Effluence in Asan Bay)

  •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8-482
    • /
    • 2016
  • 아산만의 해양수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아산만과 주변 방조제 호수의 수질을 계절별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만을 3개의 해역(Bay1, Bay2, Bay3)으로 구분하여 물질수지를 분석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여름철인 2012년 7월에 아산만의 중앙해역(Bay2)에서 영양염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물질수지 결과에서도 동일시기에 중앙해역에서 영양염이 생성됨을 보였다. 이렇게 중앙해역에서 영양염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급원은 노후한 방조제 호수의 배출수와 미처리된 도시하수 등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배수로의 배출수로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중앙해역의 높은 영양염이 외만으로 확장되는 과정 중 식물플랑크톤에 이용되면서 외만에서 높은 Chl-a의 농도가 관측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아산만의 건강한 해양생태계 유지를 위해서는 방조제 호수의 배출수와 비점오염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아산만일대(牙山灣一帶) 해저퇴적물(海底堆積物)에 대(對)하여 (Bottom sediments of the Asan bay, west coast of Korea)

  • 김승우;장정해;박용안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2호
    • /
    • pp.81-88
    • /
    • 1978
  • Nearly 300 bottom sediments and 20 box-cores were sampled from the Asan bay. The central portion of the Asan bay is covered by sand, slightly gravelly sand and gravelly muddy sand. Between the central and marginal zones gravelly mud and slightly gravelly sandy mud are characteristically distributed. The gravel population in the sediments seems to be originated from the rocky bottom on the area near the bay because the gravel is angular and composed of the schist and gneiss. The quartz/feldspar ratio is about 3/2. It is considered to be that the amount of feldspar in this ba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areas in the Yellow Sea. This is considerd to be comparatively short distance of transport ion of these sediment from the provenance.

  • PDF

경기만 남부 해역의 저서다모류 군집 (Benthic Polychate Community in the Southern Area of Kyeonggi Bay, Korea)

  • 신현출;강성길;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4-172
    • /
    • 1992
  • 본 연구는 경기만 남부해역에 형성된 저서다모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85년에 아산만에서 , 1987년에 이북 지역에서, 1988-1989년에 대난지도 에서 아산만까지, 1992년에 덕적도 남족해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다모류는 전체 저서동물중 개체수의 57.4%를 점하는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 총 124종이 채집되었 으며,는가 서식밀도는 211 indiv.m/SUP -2/이었다. 우점하는 다모류는 Prionospio sp. (28.8%), followed by Nephtys polybranchia (6.0%), Tharyx sp. (4.8%) Stermaspis scutata (4.4%), Lumbrineris longifolia (3.9%)등이다. 대체로 연안에 따라 이북 앞 아산만 남양만 입구 등의 지역에서 출현 종 수 및 서식밀도가 높고, 외해의 수로지역 에서 낮았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지역은 아산만에서부터 외해로 향하면서 순차적으로 5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아산만 및 남양만 입구에는 Tharyx-Chone 군집, 아산만 의 입구에서 대난지도까지에는 Sternaspis-Heteromastus 군집, 대난지도에서 외해쪽의 수로지역에는 Hemipodus 군집, 이북 앞 연안지역에는 Lumbrineris 군집, 그리고 이북 남쪽 연안의 한 정점에서 Prionospio 군집이 특징적으로 형성되었다. Tharyx Chone 군집은 출현종이 75종으로 많고,Prionospio군비은 Prionospio sp.의 극우점으로 서식밀도가 3,695 indiv.m$^{-2}$ 으로 매우 높다 Hemipodus 군집은 서식밀도는 매우 낮으나 차지하는 면적이 가장 넓다.경기만의 남부해역은 북부해역에 비해 출현종수는 많으며 서식밀도는 낮았다.그러나 북부해역의 수로지역과는 우점종이 서로 유사하다.

  • PDF

2008년도 아산만 해수 중 유기인계 농약 분포 (Organophosphorous Pesticide Distribution in Seawater from Asan Bay, Korea in 2008)

  • 최진영;양동범;이성규;방재현;홍기훈;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03-212
    • /
    • 2010
  • Distribution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OPs) was studi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08 in the seawater of Asan Bay, Korea. Among the 29 types of OPs det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BP(S-benzyl O,O-diisopropyl phosphorothioate), ranging from <1 ng/l to 377 ng/l, was the most abundant. Other commonly observed OPs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included diazinon (Diethyl 2-isopropyl-4-methyl-6-pyrimidinyl phosphorothionate; <1~307 ng/l), azinphos ethyl (3,4-Dihydro-4-oxo-3-benzotriazinylmethyl O,O-diethyl phosphorodithioate; <1~1997 ng/l), malathion (1,2-Di(ethoxycarbonyl)ethyl O,Odimethyl phosphordithioates; <1~3013 ng/l), demeton-O (Diethyl 2-(ethylthio)ethyl phosphorothionate; <1~2403 ng/l), and DDVP (2,2-dichlorovinyl dimethyl phosphate; <1~283 ng/l). Seasonal distribution of OPs in seawater is dependent on the OP application period. In August, OPs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salinity of seawater, implying progressive dilution of pesticides in the estuarine system. OPs were deposited into Asan Bay from Asan and Sabkyo Lakes as well as surrounding tributaries. Ten OPs, including diazinon, were detected in the suspended particles of Asan Bay.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농약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Asan Bay, Korea)

  • 최진영;양동범;주효정;김경태;홍기훈;신경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6-186
    • /
    • 2006
  •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농약 분포특성을 2004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8가지의 유기인계 농약이 아산만에서 검출되었다. IBP는 표층수에서 가장 빈번하게 다량으로 검출되었다(최대 $6,343.7ng\;l^{-1}$). DDVP, diazionon, ethoprophos, methidathion도 비교적 높은 농도로 표층수에서 검출되었으며 최대 검출 농도는 조사기간 중 매달 $100ng\;l^{-1}$ 이상이었다. Malathion, mevinphos, phorate, chlorfenvinphos도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많은 유기인계 농약들이 여름에 많이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해양환경에서 겨울보다 여름에 더 빈번히 검출되었다. 해수 중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는 만 입구에서 외만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이 농약들이 해양환경 중에서 분해, 희석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산만에서 측정된 diazinon 농도는 해양수질 환경기준인 $20,000ng\;l^{-1}$을 넘지 않았다. 표층수에서 검출된 malathion, parathion의 농도는 각각 해양수질 환경기준인 $250,000ng\;l^{-1}$$60,000ng\;l^{-1}$를 넘지 않았다. DDVP, phorate, stirofos, EPN, azinphos-methyl, IBP 는 다른 유기인계 농약보다 부유입자에 잘 흡착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아산만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계산된 유기인계 농약의 부유입자에 대한 흡착계수($K_d-particle$)는 보고되어진 토양에의 흡착계수($K_d-soil$)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Numerical Experiment On Tidal Currents In Asan Bay

  • Ahn, Hui Soo;Lee, Suk Woo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4
    • /
    • 1976
  • The distribution of tidal currents in Asan Bay was simulated by a numerical experiment. A homogeneous and single layer model with bottom stress taken into account was used. Although the effective configuration of the bay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the high tide and the low tkde, its form is assumed to be fixed as a first approximation. The advective term is particularly large because the tidal range of 810cm is large compared to the depth and the changes of velocities occur abruptly. The results of calculations agree fairly well with the observations. For example, the tidal range at Manhoriis amplified 15cm higher and the phase lag is five minutes later than at the mouth of the bay. It also can generally be said that, with the semidiurnal tide at the mouth of the bay, the tidal range is increased toward the inner corner and that tidal currents are found to be large at the deeper part of the bay.

  • PDF

수산음향기법을 이용한 아산만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기타어군의 분포 및 현존량 추정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Other Fishes in Asan Bay, Korea, estimated Hydroacoustic Survey)

  • 이형빈;강돈혁;임양재;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71-681
    • /
    • 2014
  •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astal fish species in Asan Bay, Korea, were estimated from hydroacoustic survey and net catches.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with 38 and 200 kHz from July to October of 2012, and converted to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mile^2$) for $0.25n{\cdot}mile$ along ten transects.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was the dominant specie in the net catches. The virtual echogram technique was used to distinguish E. japonicus from other specie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Delta}MVBS$) at 38 and 200 kHz. Engraulis japonicus and other fish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center channel and outer part of Asan Bay. E. japonicus tends to move from inner to outer Asan Bay in summer and fall. From NASC data, the target strength and length-weight function of E. japonicus and other fishes were used to estimate the E. japonicus stock at 24.1-93.3 tons, and other fish at 40.6-88.4 tons from July to October 2012. The estimated anchovy biomass compared well with the cumulative catch weight from stow net catches. The hydroacoustic method offer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spatial/temporal structure and estimating the biomass of fish aggregations in coastal areas.

담수유입으로 인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eawater Quality Due to Freshwater Discharge in Asan Bay)

  •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4-467
    • /
    • 2016
  • 아산만의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4계절 동안 수질을 관찰하고, 담수유입으로 인한 해양수질 변화 관계를 통계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아산만의 해양수질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해양수질 변화를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담수유입(37.7 %)이며, 그 다음으로는 외해수의 영향(24.4 %)으로 나타났다. 아산만에서 담수의 주요 공급원은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아산호와 삽교호이며, 이들의 방류로 인해 아산만의 전체적인 수질의 공간 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담수 방류가 적은 겨울철에는 저층 재부유에 기인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진다. 전체적으로 담수 방류량의 계절적인 변화가 아산만 전체의 환경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DIP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아산만의 해저지형과 해수유동 (The Circulation and the Submarine Topography in Asan Bay)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77
  • A series of echo-sounding and current measurements as well as the drogue and the drift bott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san Bay since November 1974. Several sand bars or sand flats covered by silts were developed at ebb tide in the bay. Sand waves and sand ripples were seen on the surface of the sand bars, around which sea channels of 8~ 12 meters in depth are formed. The main stream axis of the flood current which is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branch flows southward. A cyclonic and an anticyclonic eddy are developed at the early stage of flood tide. They are transformed into a clockwise eddy before the slack water. The maximum tidal current speed observed was 3.1 ~ 3.2 knots at the entrance of the bay, while it was 1.O ~ 2.8 knots in the bay. The location of the main stream axis of the tidal current coincides well with the sea channel. A salt wedge was observed at the estuary of the Sabgyo-cheon Riv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