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undinella hirta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8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e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e,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樹葉, 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native grasse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재래산양(남) 10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0.6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kg씩 급여하였고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축사내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 성분과 5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이었다. 재래산양은 Quercus serrata Thunb.(졸참나무 잎, 500g)을 가장 즐겨 채식하였으며, 다음은 Quercus aliena Blume(갈참나무 잎, 441g), Trifolium repens(white clover, 433g), Pinus densiflora(소나무 잎, 417g) 순이었으며 다른 가축이 즐겨 먹지 않는 Pinus densiflora나 Artemisia princeps Pampanini(쑥)도 즐겨 채식하였다. 재래산양의 조사료원별 채식분포를 보면 수엽 29.9%, 두과목초 23%, 잡초 21.6%, 화본과목초 21.5% 및 야초 4.0%를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수엽채식형(browser type)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피복용식물(被覆用植物)의 생장(生長) 및 수분경제(水分經濟)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Influence on Growth of Cover Vegetations and Water Economy)

  • 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
    • /
    • 1977
  • 황폐림지(荒廢林地)의 토양(土壤)이 배지(培地)로 될 때 경사별(傾斜別) 토양수분상태(土壤水分狀態)를 파악(把握)하고 여러가지 토양수분상태(土壤水分狀態)가 피복용(被覆用)의 식물(植物)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과 피복식물(被覆植物)의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 및 내건성(耐乾性)을 관찰(觀察), 조사(調査)하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결핍(缺乏)된 환경에서 시비효과(施肥效果) 및 수분이용(水分利用) 효율(效率)을 구명(究明)하므로서 보다 합리적(合理的)이며 효과적(效果的)인 황폐림지(荒廢林地) 지피식생조성방법(地被植生造成方法)에 관련(關聯)되는 이론적(理論的) 배경(背景)을 모색(摸索)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가 실시(實施) 되었다. 본(本) 연구과정(硏究過程)은 야외시험(野外試驗)과 온실시험(溫室試驗)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야외(野外) 시험(試驗)은 건기(乾期)와 우기(雨期)에 걸쳐 3 경사지(傾斜地)에서 4 시비수준(施肥水準) 2 파종방법(播種方法)에 대한 피복식물(被覆植物)(아까시나무, 싸리, 새)의 생장상태(生長狀態)를 조사분석(調査分析) 하였다. 온실시험(溫室試驗) 3 수분처리(水分處理), 4 시비수준(施肥水準)에 대한 피복식물(被覆植物)의 생장(生長)을 신장생장(伸長生長), 중량생장(重量生長)으로 조사분석(調査分析) 하였다. 현지(現地)의 입지환경(立地環境) 및 토양수분상태(土壤水分狀態)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기온(氣溫) 온도(溫度), 강우량(降雨量) 등(等)이 조사부분(調査分析) 되었고 토양수분측정용(土壤水分測定用) Soil cell을 경사별(傾斜別)로 모두 24개(個) 설치(設置) 조사(調査)하였다.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모재(母材)로 하는 본황폐림지(本荒廢林地)는 경사도(傾斜度)에 따라 토심(土深) 및 토성(土性)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토양조건(土壤條件)은 경사도별(傾斜度別) 토양수분체계(土壤水分體系)를 지배(支配)한다. 완경사지(緩傾斜地) ($17^{\circ}$)는 토심(土深)이 20cm 이상(以上)이며 토성(土性)은 양토(壤土)로서 우기(雨期)동안에 토양수분(土壤水分)은 항상 위조점(萎凋點) 이상(以上)의 유효수분(有效水分)을 보지(保持)하고 있으며, 중경사지(中傾斜地)($25^{\circ}$)는 토심(土深)이 15cm, 토성(土性)은 사질양토(砂質壤土)로서 우기(雨期)동안 토양수분(土壤水分)은 때때로 위조점(萎凋點) 가까이 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급경사지(急傾斜地) ($37^{\circ}$)는 토심(土深)은 10cm, 토성(土性)은 사질양토(砂質壤土)로서 우기(雨期)에도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때때로 위조점(萎凋點) 이하(以下)로 떨어졌다. (표(表) 6 참조) 이상(以上)과 같은 연구(硏究)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연구재료(本硏究材料)로 쓰인 3가지 식물(植物)의 초기생장기간중(初期生長期間中)의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의 상대적(相對的) 수준(水準)을 분석(分析)할 때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을 수 있다. 즉(卽) 아까시 나무는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높고 (자연보수력수준(自然保水力水準) 내건성(耐乾性)은 비교적(比較的) 약(弱)하다. 싸리는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낮고(유효수분(有效水分)의 50%수준(水準)) 내건성(耐乾性)은 강(强)하다. 새는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보통(普通)이며 내건성(耐乾性)은 비교적(比較的) 약(弱)하다. 2. 피복용(被服用) 식물(植物)의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條件)에 따른 시비효과(施肥效果)는 수분(水分)이 적을 때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수분(水分)이 충분(充分)할 때에는 매우 잘 나타난다. 즉(卽) 토양수분(土壤水分)과 시비처리(施肥處理)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식물생장(植物生長)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3. 피복용(被服用) 식물(植物)의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에 따른 양분요구도(養分要求度)는 다음과 같다. 초기생장시(初期生長時) 토양수분(土壤水分)이 건조(乾燥)하면 3 식물(植物)이 모두 낮은 시비수준(施肥水準)에서 생장(生長)이 좋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윤(適潤)하면 아까시 나무와 새는 높은 시비수준(施肥水準)에서 생장(生長)이 좋게 나타난다. 후기생장시(後期生長時) 3 식물(植物) 모두 토양수분수준(土壤水分水準) 의 증가(增加)와 함께 높은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생장(生長)에 주는 효과(效果)가 컸다. 4.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수분이용효율(水分利用效率)은 아까시 나무와 새의 경우 건조지(乾燥地)에 있어서는 낮은 시비수준(施肥水準)(1g 수준(水準))의 수분이용효율(水分利用效率)이 높고 적윤지(適潤地)에 있어서는 높은 시비수준(施肥水準)(3g 수준(水準))의 수분이용효율(水分利用效率)이 높았다. 싸리의 경우 모든 수분조건하(水分條件下)에서 공(共)히 낮은 시비수준(施肥水準)(1g 수준(水準))의 이용효율(利用效率)이 높았다. 5. 아까시 나무와 싸리는 인산(燐酸)의 요구도(要求度)가 인정(認定)되나 새는 인정(認定)되지 않으며 황폐림지(荒廢林地) 토양수분결핍(土壤水分缺乏)은 식물(植物)의 인산흡수(燐酸吸收)를 저해(沮害)한다.

  • PDF

마사토 비탈면의 생태복원 녹화기술 개발 연구 -자연표토복원공법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Revesetation Technology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Decomposed Granite Roadside Slopes -The Application of the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NTRM)-)

  • 김남춘;강진형;이준우;남상준;이원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4-9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s for the decomposed granite roadside cutslopes by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NTRM). Four woody species, 3 shrub species, 4 native grasses, 8 wild flowers and 2 cool-season grasses were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ecological restoration techniques by achieving following objectives for restoration by using native woody plants, shrubs, native plants and wild flowers; (1) prevention or reduction of wind and water erosion, (2) provision of food and cover for variety of animal species, (3) improvement of the visual or aesthetic quality of disturbed sites.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estoring naturalness to human-altered landscapes are important to protecting the worlds biodiversity. In this study, to restore or create an ecological community use as full a complement of native species as possible. Ecological restoration means returning a specific sites to its predisturbance condition. 2. Some species which are introduced first may inhibit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slower-growing species, or they may prevent the growth of other species whose propagules arrive later. In this study, cool season grasses was used small amount than native plants and woody species, because and Indigofera pseudo-tintoria grows well.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shows quick germination, but they could not inhibit the other species growing relatively slow. Pinus thunbergii used at Gonam near the ocean was suppressed by the other plant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using container seedlings is effective than seeding. 4. Ailanthus altissima, Albizzia julibrissin, Rhus chinensis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were germinated. In wild flowers, Coreopsis lanceolata, Dianthus sinensis, Coreopsis tinctoria,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grew well and show enough plant height which will not suppressed by shrub and woody plants. After one year, native grasses such as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ver the slopes well. 5. 25 herbaceous plants such as Trifolium repens, Arthraxon hispidus, Barbarea orthocerae, Potentilla fragarioides, Lepidium apetalum,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Glycine soja, Rubus crataegifolius and 4 woody species such as Lespedeza maximowiczii, Robinia pseudoacacia, Symplocos Chinensis, Quercus acutissma were invaded. 6. Ecological restoration works by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for revegetation of the decomposed granite roadside cutslopes were successfully accomplished. It prevents surface water erosion and shows diverse vegetation structure. It will be successful to restore decomposed granite cutslopes.

  • PDF

섭제골 지역의 산화지 및 비산화지의 군락구조 비교

  • 심학보;김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29-438
    • /
    • 1993
  • 1982년 4월에 발생한 산불에 의해 소나무림과 그 임상식생이 파괴된 섭제골의 산화지와 이에 인접한 비산화지에서 식생구조와 토양성분을 비교하므로써 산화지의 초기식생과 이차천이 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 출현되는 종수는 B1, B2지소에서 각각 25, 23종류, U1, U2지소에서 각각 32, 27종류로서 산화지에서 비산지보다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조사지의 생활형 조성은 산화지와 비산화지 공히 H-D1-R5-e형으로 나타났다. 우점종 순위는 산화지에서 새(90.36) -억새(84.26), -산거울(71.87)순이었고, 비산화지에서는 소나무(76.80) -산거울(62.32) -털진달래(55.79)순이었다. 천이도는 산화지가 662~719로 비산화지의 684~859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성지수는 산화지에서 2.1985~2.3506로 비산화지의 2.4094~2.4562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고, 또한 균등성지수는 역시 산화지에서 0.6830~0.7497로 비산화지의 0.7087~0.7301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산화 이후 경과시간의 불충분에 의한 현상으로 종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조사지간의 유사도지수는 B1-B2>U1-U2>B2-U1>B1-U1>B1-U2>B2-U2순으로 나타났다. 토양내의 pH, 총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은 산화지가 비산화비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산불에 의한 열과 회분의 첨가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계룡산(鷄龍山) 식물(植物)에 관(關)한 조사보고(調査報告) (The Flora of Mt. Kyeryong Area)

  • 박종형;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34-147
    • /
    • 1979
  • 계룡산(鷄龍山)은 북위(北緯) $36^{\circ}18^{\prime}{\sim}36^{\circ}23^{\prime}$, 동경(東經) $127^{\circ}10^{\prime}{\sim}127^{\circ}17^{\prime}$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주군(公州郡), 논산군(論山郡), 대덕군(大德郡)의 경계(境界)를 이루고 있다. 필자들은 1979년(年)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10차례에 걸처 이지역의 식물상(植物相)을 조사(調査)하였다. 식물상(植物相)은 비교적(比較的) 다양(多樣)하며 주요 식물(植物)은 소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비목나무, 까치박달나무, 좁은단풍나무, 때죽나무, 사람주나무, 참회나무, 팟배나무, 국수나무, 병꽃나무, 진달래, 싸리, 조릿대, 노박덩굴, 새 억새등이며 105과(科) 355속(屬) 679종(種)이다. 이들 식물(植物)을 이용도(利用度)에 따라서 분류(分類)하면 다음과 같다. 식용식물(食用植物) 69과(科) 287종(種), 약용식물(藥用植物) 83과(科) 227종(種), 초자파식물(草資派植物) 60과(科) 253종(種), 관상식물(觀賞植物) 44과(科) 132종(種), 용재수종(用材樹種) 12과(科) 39종(種)등이다.

  • PDF

황해쑥에 함유된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과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 Fluence Chemicals From Artemisis argyi on the Growth of Selected Species of Plants and Microorganisms)

  • 길봉석;윤경원;이순엽;한동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1호
    • /
    • pp.23-35
    • /
    • 1994
  • 황해쑥은 독특한 향취가 나고,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약용으로 많이 쓰이는 다년생 초본이다. 황해쑥의 잎에는 어떤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이 식물의 생장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황해쑥의 잎 수용추출액을 농도별로 준비하여 새, 돌피, 소리쟁이, 상치의 발아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용식물의 종류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발아가 억제되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장시킨 4종의 식물에 유식물 신장생장은 앞의 발아 실험결과보다 덜 억제적이었다. 그런데 위의 추출액을 화분에 심은 식물에 공급하여 생장시킨 쇠무릅 식물은 발아, 신장 그리고 건중량생장이 모두 추출액 농도염가에 차등적으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황해쑥 잎과 줄기에서 방산되는 휘발성 물질을 써서 실시한 발아와 유식물 신장생장실험 결과는 발아의 경우보다 신장시험의 값이 더 저조하게 나타났다. 그래서 황해쑥 잎에서 뽑은 청유로 돌피의 발아와 생장을 실험한 결과 대체로 높은 값을 얻었을 뿐 억제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황해쑥의 청유를 써서 미샘물의 생장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보다 실험구의 생장이 약간 억제되었고 또 반하와 벼 식물의 조직배양결과는 callus 생장율이 청유농도의 증가에 따라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래서 황해쑥에는 생장 제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판명되었기에 GC/MS로 황해쑥잎을 화학분석하여 61종류의 성분을 처음으로 분리확인하였고 이들은 terpenoid가 대부분이었다. 이들중 9종류를 선택하여 생물학적 정량실험을 실시했으나 돌피의 발아와 생장율은 대조구와 실험구의 값이 거의 같은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종자발아시험, 어린식물 신장생장, 미생물 생장, 조직배양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황해쑥에 함유된 천연 화학물질은 식물생장에 억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경북(慶北) 문경지역 폐탄광지(廢炭鑛地)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Vegetation Structure of Some Abandoned Coal Mine Lands in Mungyeong Area)

  • 민재기;박은희;우수영;김종갑;문현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23-31
    • /
    • 2006
  • 폐탄광지역의 식생복원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삼창탄광, 봉명탄광, 갑정탄광, 단봉탄광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중층과 하층의 출현종수는 삼창탄광이 각각 3종과 10종, 봉명탄광이 2종과 5종, 갑정탄광이 7종과 11종, 단봉탄광 9종과 12종, 그리고 대조구는 중층과 하층에 각각 15종과 17종이 출현하였다. 하층의 중요치는 삼창탄광은 참싸리, 그 외 조사지에서는 산딸기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의 중요치는 삼창탄광은 새, 봉명탄광은 수까치깨, 갑정탄광은 참억새, 단봉탄광은 쑥과 그늘사초가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는 실새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 폐탄광지역의 중층과 하층의 종다양도는 각각 0.201-0.666과 0.612-0.895로 분석되었다. 하층의 균재도는 폐탄광지역이 0.683-0.875의 범위였으며 대조구는 0.990의 균재도를 나타내었다.

경북의성 멸종위기종 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식물의 생활형 및 식생 (Life form of the Plants and Vegetation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 이남숙;김창환;김도성;최영은;박율진;이경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69
    • /
    • 2011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research of life form and vegetation of the plants extant in the habitat of endangered Parnassius bremeri in Uiseong, Gyeongsangbuk-do with a view to restore their habitat and create substitute habita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0 vascular plants including 47 families, 96 genera, 113 species, 1 subspecies and 16 varieties. In terms of their life form, hemicryptophytes (H) is the majority of dormancy form with 41 species or 31.54%, while $R_5$ is majority of radicoid form with 72 species or 55.38%, gravitational disseminule form ($D_4$) is majority among the disseminule forms with 68 species or 52.31% and erect type (e) is majority of growth form with 57 species or 43.85%. Major constituents of the habitat are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Orostachys japonica, Arundinella hirta,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Carex humilis, Indigofera kirilow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Festuca ovina, Artemisia capillaris, etc., all of species which are in the initial stage of succession and show simultaneously features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on the rock. In the habitat 1. Sedum kamtschaticum-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re distributed whereas, in the habitat 2.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arex humilis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community and Sedum kamtschaticum-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re growing and in the habitat 3. Sedum kamtschaticum-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laginella tamariscina community, Sedum kamtschaticum-Indigofera kirilowii community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re seen distributed there, too. Typical of food plants growing in the habitat is Sedum kamtschaticum, found mostly in the rocky area and its surroundings. Absorption plants are those that usually bloom in the season when imagoes emerge. From the research, it becomes evident that the blooming season of Sedum kamtschaticum, obviously a food plant, corresponds exactly to the emergence timing of imagoe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osa multiflora, Erigeron annuus,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re found to belong to these plants.

초지의 구조 및 생산성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The Effects of Burning on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Grasslands)

  • 강상준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3호
    • /
    • pp.36-42
    • /
    • 1971
  • The effects of irregular burning of vegetation by man were studied in relation to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in a non-agricultural montane grassland in the Chongsun area, Kangwon-Do, Korea. The floristic composition in all study area includes 38 species. Three of the stations are dominated by Arundinella hirta and one is dominated by Miscanthus sinensis. The standing crop of the first station, which was fired in early spring, 1970, was 358.7g/$m^2$ to 497.5g/$m^2$; that of the second station, fired in late 1969 was 351. 5g/$m^2$; the third station, fired sometime in 1968, had a standing crop of 314.5g/$m^2$ to 397.1/$m^2$; the fourth station, having had no recent fires, had a standing crop of 370.0g/$m^2$ to 448.0g/$m^2$. The daily productivity shows a maximum of 6.03g/$m^2$ in the first station, and a minimum of 0.85g/$m^2$ in the fourth station. The productivity of grassland in the study area is at a maximum during July and August because of much precipitation, and decreases rapidly in the months to follow. The productive structure of the first and fourth stations is shown in Fig. 2 and 3. At the first station the maximum height attained by the plants was 180cm. In the height range of 50cm to 100cm there was a maximum of assimilative organs (5.6g/0.25$m^2$$\times$10cm), while in the height range below 50cm there was a maximum of non-assimilative organs (13.0g/0.25$m^2$$\times$10cm). At the fourth station, which has not been fired recently, the maximum height reached by the plants was commonly below 100cm. The assimilative organs showed a maximum abundance in the height range of 40cm to 50cm (4.5g/0.25$m^2$$\times$10cm). while the non-assimilative organs showed their greated abundance in the height range below 10cm (6.0g/0.25$m^2$$\times$10cm). 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daily productivity and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calcium and potassium. It appears that the nutrients provided by the ash created in the firing of the study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ductivity of these grasslands.

  • PDF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Growing features and Vegetation at natural growth area of ristic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and Acanthopanax koreanum)

  • 임병선;이점숙;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지리산과 한라산 일대에 분포하는 지리산오갈피군락과 섬오갈피 -곰솔군락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지리산오갈피군락은 지리산 노고단(1507m)과 반야봉 방향의 임걸령재(1300m)주변과 한라산 1100고지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구성종중 신갈나무, 오미자, 산수구, 당단풍, 관중, 노루삼, 산꿩의 다리,구상나무, 새 등이 상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과 한라산지역에서 공동으로 출현한 종은 당단풍, 관중, 작살나무, 담쟁이덩굴, 고로쇠나무, 곰취, 애기나리, 졸방제비꽃, 이삭바꽃 등이 나타났다. 섬오갈피-곰솔군락은 제주도 외도 월태부락주변에서 소규모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각시마, 사위질방, 으름, 실고사리 , 마삭줄, 계요등, 여우팥, 까마귀머루, 송악 등의 만경식물이 교목과 아교목층에 곰솔, 산팽나무, 예덕나무 등을 중심으로 혼생하고 있었다. 현재 본 조사지역에 더 이상 인위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 지역에 분포하는 지리산오갈피는 구상나무-지리산오갈피군락으로 변화가 예상된다. 조사지역의 토양환경은 섬오갈피군락에서는 pH는 6.56, 전기전도도는 0.258mm ho/cm로 높고, 지리산오갈피군락에서는 유기물함량 25.16-25.35%와 총질소 7.58-9.30mg/g으로 높았다. 한라산과 지리산의 지리산오갈피군락에서는 한라산에서 pH 5.76, 전기전도도 0.238mmho/cm, 총질소 9.30mg/g, 총인 0.126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