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제골 지역의 산화지 및 비산화지의 군락구조 비교

  • Sim, Hak-Bo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Woen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심학보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원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This is a report on the early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of SeobJe-Go1 of $IIwasan-MY\v{o}n,\;Y\v{o}ngch\v{o}n-Gun,\;Ky\v{u}ngsangbuk-do$ Province. The forest fire occurred on April 8, 1982 and the pine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investigation was done six times from August 20, 1982 to August 13, 198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reas $B_1,\;B_2$, and unburned areas $U_1,\;U_2$ were composed of 25, 23, 32, and 27 kind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species of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mnsis var. purpurascens and Cares hurnilis var. nan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burned area, while Pinus densiflorrr, Corex humilis var. nan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fum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unburned area. Degree of succession of the unburned area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burned area. Specie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index of the burned area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unburned area. Indices of similarity in sampling sites showed that $B_1\;and\;B_2$ stands were the most similar. pH,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of soil increased but organic matter and total organic carbon decreased after fire.

1982년 4월에 발생한 산불에 의해 소나무림과 그 임상식생이 파괴된 섭제골의 산화지와 이에 인접한 비산화지에서 식생구조와 토양성분을 비교하므로써 산화지의 초기식생과 이차천이 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 출현되는 종수는 B1, B2지소에서 각각 25, 23종류, U1, U2지소에서 각각 32, 27종류로서 산화지에서 비산지보다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조사지의 생활형 조성은 산화지와 비산화지 공히 H-D1-R5-e형으로 나타났다. 우점종 순위는 산화지에서 새(90.36) -억새(84.26), -산거울(71.87)순이었고, 비산화지에서는 소나무(76.80) -산거울(62.32) -털진달래(55.79)순이었다. 천이도는 산화지가 662~719로 비산화지의 684~859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성지수는 산화지에서 2.1985~2.3506로 비산화지의 2.4094~2.4562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고, 또한 균등성지수는 역시 산화지에서 0.6830~0.7497로 비산화지의 0.7087~0.7301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산화 이후 경과시간의 불충분에 의한 현상으로 종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조사지간의 유사도지수는 B1-B2>U1-U2>B2-U1>B1-U1>B1-U2>B2-U2순으로 나타났다. 토양내의 pH, 총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은 산화지가 비산화비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산불에 의한 열과 회분의 첨가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