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s Industry

검색결과 841건 처리시간 0.029초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종사자의 직원지지평가, 직무스트레스, 직무자율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upport evaluation, job stress, job autonomy and turnover intention of beauty and cosmetic industry workers)

  • 서유정;정달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2-211
    • /
    • 2022
  • 본 연구는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 자율성, 직원지지평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종사자의 3개월 이상 경력자 5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종사자의 직원지지평가는 직무 스트레스와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직원지지평가는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 자율성은 이직의도와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았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 자율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종사자들의 이직 의도에 직무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한 한국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 변화 - 198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학술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Arts Management-Related Studies' Trend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황서이;박양우
    • 예술경영연구
    • /
    • 제50호
    • /
    • pp.5-3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예술경영분야 학술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범위는 예술경영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문화정책논총', '문화경제연구', '예술경영연구', '문화산업연구', '인문콘텐츠'에 수록된 총 2,110편이고, 학술논문의 서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시간적 범위는 1988년부터 2017년까지로 설정하였고, 연구토픽과 토픽의 추세, 토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오픈 소프트웨어인 R과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SPS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상위 빈도수를 기록한 주요단어는 '한국', '문화', '콘텐츠', '문화콘텐츠', '산업' 이었다. '정책', '지역', '예술', '전략' 의 주요 단어가 그 뒤를 따르고 있었고, '미디어', '경제', '관람객', '마케팅' 등도 상위에 포진되어 있었다. 이는 예술경영분야에서 상위 주요단어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예술경영분야에서는 총 11개의 연구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문화예술일반', '문화기술', '문화예술정책', '지역문화', '문화콘텐츠산업', '문화교류', '문화예술마케팅', '문화예술교육', '(시각예술)예술경영', '(공연예술)예술 경영', '문화경제: 컬처노믹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융합교육, 미디어, 기술, 콘텐츠 등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문화예술교육'과 '문화교류'에 대한 연구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넷째, 의미연결망분석에 따르면, 예술경영분야는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타 영역들과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었으며, 관객조사와 관객개발에 관련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이 논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그리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문화예술과 인공지능, 문화예술과 빅데이터라는 융합연구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Gravure Offset 인쇄에 의한 미세 전극용 Ag Paste 개발 (Gravure Offset Printed on Fine Pattern by Developing Electrodes for the Ag Paste)

  • 이상윤;장아람;남수용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5-56
    • /
    • 2012
  • Printing technology is accepted by appropriate technology that smart phones, tablet PC, display(LCD, OLED, etc.) precision recently in the electronics industry, the market grows, this process in the ongoing efforts to improv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So printed electronics appeared by new concept. This technology development is applied on electronic components and circuits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reduce processing costs. Low-temperature process making possible for widening, slimmer, lighter, and more flexible, plastic substrates, such as(flexible) easily by forming a thin film on a substrate has been studied. In the past, the formation of the electrode used a screen printing method. But the screen printing method is formation of fine patterns, high-speed printing, mass production is difficult. The roll-to-roll printing method as an alternative to screen printing to produce electronic devices by printing techniques that were used traditionally in the latest technology and processing techniques applied to precision control are very economical to implement fine-line printing equipment has been evaluated as. In order to function as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the dozens of existing micro-level of non-dot print fine line printing is required, the line should not break at all, becaus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required to fit the ink transfer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of roll-to-roll printing conductive paste suitable for gravure offset printing by developing Ag paste for forming fine patterns to study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with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강사의 전문직종화를 위한 지원모델 연구 - 만화애니메이션 강사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Policy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Educator in the field of the Comic & Animation Education)

  • 임학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1호
    • /
    • pp.11-28
    • /
    • 2007
  • 이 연구는 문화관광부에서 2005년부터 예술 강사 지원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 강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만화애니메이션 강사를 전문 직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지원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화애니메이션 강사지원에 참여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강사지원사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정부지원 사업이 만화애니메이션강사에 미친 영향, 강사 지원 사업 관련 사항에 대한 평가, 그리고 전문 직종 및 재교육 방향에 관한 것이다. 분석결과, 강사들의 참여의지, 직무교육수요, 역량개발수요, 미래 전문 직종 인식 등은 높게 나타났지만, 근무환경과 고용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지원 방안으로 만화애니메이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이론적 기반강화, 만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체계 구축 및 직무연수교육의 다양화, 만화애니메이션교육 종합지식정보시스템구축,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지원 사업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옥내외 광고용 디지털 인쇄의 색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Management Plan of Digital Printing for Indoor and Outdoor Advertisement)

  • 김주정;오성상;조가람;이재수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37
    • /
    • 2013
  • Split digital printing into interior and outdoors on present advertisement. When is printing machine for interior mainly, use ink of water-based type. Equipment of this type embodies high resolution, but ink special quality light stability is weak. Also, when is printing machine for outdoors, printing machines of solvent or UV type are used because of water resistance and light stability. This printing machines hard to embody ink special quality high resolution mainly. And because outside is far visibility range, is uncommon in case high resolution requires embodiment. Therefore, high resolution of inside is water-based type considering this item and outside printing machine of low resolution solvent type mainly announce. Also, divide into eco-friendly latex ink type that is announced to water-based, solvent, UV according to ink type and the latest market using in occasion of digital printing machine used as advertisement industry. Color management that is been consistent of original image has a lot of difficulties by using substrate that is also various to digital printing machine for such various advertisement. But, consumers is rising realization about color or desire about quality improvement of color gradually in interior outside advertisement market. So, require solution method. Therefore, in this paper, eco-friendly ink use applied device calibration through linearization in done latex digital printing machine to basis. And studied right color management plan of digital printing for interior outside advertisement through three steps such as G7 calibration application and ICC profile application.

노니(Morinda citrifolia)분말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ound Pork with Noni (Morinda citrifolia) Powder)

  • 이시형;최영준;최강원;이경수;정인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1-33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oni (Morinda citrifolia)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ound pork meat. Four samples of ground pork meat were prepared as follow: CON without noni powder, NP0.5 with 0.5% noni powder, NP1.0 with 1.0% noni powder, and NP1.5 with 1.5% noni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CON was the highest (p<0.05). The ash, fiber, fat retention,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noni powder (p<0.05). The protein, fat,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yield, moisture retention, springiness,and redness of the cooked me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pH of C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The TBARS of CON, NP0.5, NP1.0, and NP1.5 were 0.48, 0.41, 0.36 and 0.34 mg/kg, respectively, and the NP1.5 was the lowest (p<0.05).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N, NP0.5, NP1.0, and NP1.5 were 10.4%, 20.8%, 34.6% and 45.3%, respectively, and the NP1.5 was the highest (p<0.05).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le use of noni powder for meat product industry, as addition of noni powder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ound pork meat.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in Republic of Korea: A Critical Review

  • Eun-Jung SHIN;Ki-Han KWON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6호
    • /
    • pp.27-35
    • /
    • 2023
  • Purpose: Convergence and social ripple effects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encompasses new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beauty industry structure and market economy. This review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Korean beauty industr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untermeasures of the beauty industry accordingl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the October 2022 PRISMA flowchart, it is a review of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need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beauty workers, and the employment environment to be applied to the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Results: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beauty industry, and reviews on beauty industry workers were collected, and a direction for training beauty industry workers was presented.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beauty industry in preparation for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ed that research is needed to actively establish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to overcome the problem of fostering talent in the beauty industry.

중국 공연예술 시장 고찰 - 제10차 5개년 계획 기간(2001~2005)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hinese Performing Art Market during the period of the 10th 5year Development Plan.)

  • 오수경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49-480
    • /
    • 2009
  • 중국이 본격적으로 문화의 영역까지 시장 경제를 도입하고 체제와 체질을 개선하여 문화 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가 공식화된 제10차 5개년 개발 계획 기간 중국의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 문화 예술 시장의 변화 추세를 살피려는 데 본문의 목적이 있다. 전반적인 문화 시장의 성장이라는 환경 속에서 공연예술은 이 시기부터 비로소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공연 예술 생산 주체의 자체 개혁 및 정비의 노력을 통해 본격적인 시장화 성장의 단계를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는 문화 발전 전략의 수립과 실천이 병행되던 시기이고, 외적 성장보다 내부 진통의 시기이기도 하다. 비록 생산 주체나 소비 양상의 분석에서 사회주의 사회로의 중국적 특성을 발견하게 되기는 하나, 중국 공연 예술이 올림픽 이후 시기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