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rai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19초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2) (Effects of Artificial Acin Rai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Needle of Several Conifers(2))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1
    • /
    • 1993
  • 소나무, 곰솔, 젓나무 및 독일가문비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PH 3.0, 4.0 및 5.0)와 지하수(pH 6.5)를 1991년 4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생육기간 중에는 주 2~3회, 겨울철은 주 1회 1회 5mm의 강도로 처리하였다.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수종별 발아 및 득묘율, 토양산도, 유묘의 생장 및 접촉각(contact angle)을 조사.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묘목의 생장관련 형질(묘고, 지하부, 엽량 및 개체당 건중량)의 경우에는 산성우처리 초기에는 산성우 처리가 양료로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종별로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처리가 2년 이상 지속된 3차년도에서는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이 높을수록 모든 수종에서 생장관련 형질들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토양완충력의 한계 이상으로 투하되는 산집적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엽피해율이나 엽량(낙엽율)등의 자료는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과 관련지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성우 피해의 조기판단 기준으로 사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산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침엽의 표면과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이 높을수록 엽령이 높을수록 접촉각의 크기는 낮아졌다. 접촉각을 측정비교하는 방법은 야외에서 침엽수류에 대한 산성우 피해의 조기판단을 위한 알맞고 훌륭한 기준이라 판단된다.

  • PDF

인공산성우 처리에 따른 침엽의 접촉각 변화 (Change of Needle Contact Angles due to Artificial Acid Rain Treatment)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32-37
    • /
    • 1994
  •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 유묘에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pH 3.0, 4.0 및 5.0)와 지하수(pH 6.5)를 1992년 4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생육기간 중에는 주 2회, 겨울철은 주 1회 1회 5mm의 강도로 처리하였다.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수종별 침엽의 접촉각(contact angle)을 조사 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엽의 표면과 물방울이 이루는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처리산성우의 산도수준이 높을수록 엽령이 높을수록 접촉각의 크기는 낮아졌다. 침엽의 접촉각을 측정 비교하는 방법은 야외에서 침엽수류에 대한 산성우 피해의 조기판단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기준이라 판단된다.

  • PDF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Needle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1992
  •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에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엽피해율, 토양산도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곰솔은 PH 4.0 처리구에서, 독일가문비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고, 소나무와 젓나무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곰솔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대체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수치모델을 이용한 인공증우에 따른 PM10 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PM10 Reduction Effects with Artificial Rain Enhancement Using Numerical Models)

  • 임윤규;김부요;장기호;차주완;이용희
    • 대기
    • /
    • 제32권4호
    • /
    • pp.341-351
    • /
    • 2022
  • Recently, interest in the possibility of a washout effect using artificial rain enhancement technology to reduce high-concentration fine dust is grow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duction rate of PM10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artificial rain enhancement was calculated during Asian Dust event which occurred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March 29, 2021 using air quality model [i.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combined with the mesoscale model for artificial rain enhancement (i.e., WRF-MMS). According to WRF-MMS, the washout effect lasted 5 hours, and the maximum precipitation rate was calculated to be 1.5 mm hr-1. According the CMAQ results, the PM10 reduction rate was up to 22%, and the affected area was calculated to be 6.4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artificial rain enhancement area. Even if the maximum amount of precipitation per hour is lowered to 0.8 mm hr-1 (about 50% level), the PM10 reduction rate appears to be up to 16%.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this technique can be used as a direct method for reducing high-concentration fine dust even when the artificial rain enhancement effect is weak.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침엽수종(針葉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와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7-245
    • /
    • 1991
  • 인공산성우처리가 몇 침엽수종의 발아와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lt에 5 수종의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를 주 3회, 매회 5mm씩 1990년 4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처리하였으며,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엽송과 종비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대조구에서, 구상나무 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율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낙엽송에서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수종들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안정되지 않았다. 낙엽송, 구상나무 및 종비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5.0 처리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낙엽송과 젓나무에서는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구상나무, 종비나무 및 삼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낙엽송과 구상나무는 pH 4.0 처리구에서, 젓나무와 삼나무는 pH 3.0 처리구에서, 종비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가 나타난 침엽의 수 및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의 처리(處理)에 따른 소나무와 곰솔 침엽(針葉)의 엽록소(葉綠素) 형광변화(螢光變化) (Change in Needl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treated with Artificial Acid Rain)

  • 최용봉;김종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97-102
    • /
    • 1995
  • 소나무와 곰솔 침엽(針葉)을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엽록소(葉綠素) 형광(螢光)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자연강우(自然降雨)로 조절(調節)한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pH2.0, 3.0, 4.0 및 5.0)와 pH6.5로 조절(調節)한 대조구(對照區) 1994년(年) 5월(月)부터 1994년(年) 8월(月)까지 주(週) 1회(回) 20ml씩 소나무와 곰솔 침엽(針葉)에 처리(處理)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의 처리(處理) 초기(初期)에 측정(測定)한 형광지수(螢光指數)값은 pH4.0과 pH5.0에서는 대조구(對照區) 보다 증가(增加)하였으며 pH2.0과 pH3.0에서는 감소(減少)로 나타났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의 처리(處理)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산도수준(酸度水準)이 높을수록 형광지수(螢光指數)값은 두 수종(樹種) 모두 감소(減少)하였으며 소나무가 곰솔보다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하였다. 형광지수(螢光指數)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는 것은 식생(植生)에 대한 산성우(酸性雨) 피해(被害)을 조기(早期) 판단(判斷)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效果的)인 기준(基準)이라 판단(判斷)된다.

  • PDF

SO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II.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및 산성연무처리실험(算性煙霧處理實驗) (A Study on Selection of SO2 Resistant Tree Species II. Artificial Acid Rain and Acid Mist Treatment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09-217
    • /
    • 1989
  •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생장(生長)을 조사(調査)하고, 산성연무(酸性煙霧)를 처리(處理)하면서 엽피해율(葉被害率)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찔레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묘고생장(苗高生長)이 나빠졌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나 가중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묘고생장(苗高生長)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는 pH 5.0 처리구(處理區)에서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의 생장(生長)이 모두 대조구(對照區)보다 좋게 나타나 상대적(相對的)으로 타수종(他樹種)에 비(比)해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 및 산성연무(酸性煙霧)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모든 수종(樹種)에서 엽피해율(葉被害率)(피해엽면적(被害葉面積)과 피해엽율(被害葉率))이 증가(增加)하였다. 수종별(樹種別)로 처리간(處理間)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변화(變化)는 조금씩 차이(差異)가 있으나, 찔레의 경우(境遇)는 측정시기(測定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일본목련의 경우(境遇)는 7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월등(越等)히 높았다가 산성우처리(酸性雨處理)가 계속(繼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여 9월 측정(測定)에서는 처리산성우(處理酸性雨)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이 현저(顯著)히 낮아졌다.

  • PDF

저선량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산성강우 효과 (Influence of Artificial Acid Rain on the Growth of Soybean Irradiated with Low Dose Gamma Radiation)

  • 김재성;이은경;이영근;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5-249
    • /
    • 1999
  • 저선량의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종자로부터 자라난 작물체에 인공 산성강우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금콩과 방사콩의 생육 양상을 조사한 결과 초장은 감마선조사 선량에 따라서만 생육 차이를 보였을 뿐 산성강우 무처리구(pH 6.00)와 처리구(pH 2.45와 2.20)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황금콩의 경우 생육 촉진을 위한 적정 조사선량이 산성강우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해 병징 양상은 산성강우 pH 2.20 처리구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방사콩에 비해 황금콩에서 산성강우 내성 효과가 컸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1995년산에 비해 1997년산 작물체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사콩의 생육 양상은 산성강우 처리 농도와 감마선 조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Spectral Reflectance Patterns by Artificial Acid Rain in Pinus and Quercus species

  • Lee, Seong-Ho;Kim, Cheol-Min;Oh, Dong-H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82-386
    • /
    • 199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eal relationship between tree physiology and spectral reflectance on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and to obtain basic data on optimal wave length for forest of LRC sensor on KOMPSAT-2. Three pH levels of artificial acid rain - control, pH4.5 and pH3.0 - were applied to Pinus and Quercus species. Three types of the acid rain were spraied at the amount of 500m1 in every two days. Spectral reflectance data was collected once in a month by using GER 1500 (350~2500nm) or Ll 1800(300~1100nm) Spectroradiometer. The data was measured three times in a pH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pril, the spectral reflectance of Pinus species was high in order at the level of pH3.0, control and pH4.5; in May, control, pH3.0 and pH4.5; in June, control, pH4.5 and pH3.0. That of Quercus species was high in the order of control, pH4.5 and pH3.0 in May; in June, control, pH3.0 and pH4.5, especially, within infrared wave length range, control, pH4.5 and ph3.0.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수종(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 유근생장(幼根生長) 및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Radicle Growth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Woody Specie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30-39
    • /
    • 1992
  • 인위적으로 농도를 조절한 Al용액과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유근의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와 발아 시험기에 종자를 파종하였다.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 및 Al 용액(0.5, 1.0 및 2.5 mM aluminum ammoniumsulfate)을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유근생장, 엽피해율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가중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리기다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6. 소나무의 유근생장은 용액의 산도와 Al농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