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plaqu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유산구균 1370의 수용성 글루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SOLUBLE GLUCAN BY LACTOCOCCUS LACTIS 1370)

  • 오인근;양규호;정진;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5-191
    • /
    • 2000
  • Streptococcus mutans가 치태를 형성할 때, 유산구균 1370 (Streptococcus lactis 1370)이 생산하는 수용성 글루캔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에 의한 수용성 글루캔 형성 정도를 유산구균 1370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 자당이 첨가된 M17 broth에서 유산구균 1370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높고 Streptococcus mutans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낮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2. M17 broth에 10% 자당을 첨가하여 유산구균 1370을 배양할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는 첨가하지 않을 때보다 높았다. (p<0.05), 배지 pH가 5에서보다 7에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더 높았다(p<0.05). 3. $32^{\circ}C,\;37^{\circ}C,\;42^{\circ}C$$37^{\circ}C$에서 배양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고, 호기성 배양시보다 혐기성 배양시 배양 상청액의 흡광도가 더 높았다(p<0.05). 4. 배지의 $CaCl_2$ 농도가 1.0mM에서 (p<0.05), KCl 농도가 2.5mM에서 (p<0.05) 배양 상청 액의 흡광도가 높았다. 5. M17 broth에 5% 자당을 첨가한 배지에 유산구균 1370을 접종하여 배양한 배양 상청액과 배지를 1:3으로 가한 비커와이어 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하여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5.6mg으로 5% 자당을 첨가하지 않을 때의 103.0mg에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유산구균 1370에 의한 수용성 글루캔의 형성은 자당이 함유된 배지나 세균 증식이 잘 되는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며, 수용성 글루캔이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

구강내 Lactobacillus acidophilus V-20 투여시 유산간균과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생균수 변화 (he Change Pattern of Lactobacilli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V-20)

  • 김은경;김영준;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403-420
    • /
    • 2000
  •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eriodontitis is focused on the reduction and the elimination of pathogenic bacteria, especially A. actinomycetemcomitans and black pigmented bacteria such as P. gingivalis. To prevent recurrent disease, the recolonization of these bacteria should be inhibited in the periodontal pocket. Since the replacement therapy was introduced in periodontics by Hillman et al, Jeong et al reported that hydrogen peroxide-produc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V-20 completely inhibited P. gingivalis and A. actino - mycetemcomitans in vitro and mouth gargling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V-20 in periodontitis patients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improved clinical condition and reduced the No. of P. gingivalis and A. actinomycetemcomitans at 4 weeks of treatment. Prior to replacement therapy with bacteria, dynamics of microbial colo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viable cell number of Lactobacilli and P. gingivali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L. acidophilus V-20. In periodontal health, gargling increased the No. of Lactobacilli in saliva, buccal mucosa, supragingival plaque from the first week, which maintained for 2-3 weeks after gargling stop, and then returned to the undetectable baseline level at the ninth week. In the periodontal pocket of moderate periodontitis patients, daily irrigation for 1 week and weekly irrigation for subsequent 3 weeks decreased the viable cell number of P. gingivalis during the period of irrigation and increased the number of Lactobacilli, which was maintained from the second to the seventh week. L. acidophilus V-20 was isolated for the first 2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and the 3 different strains of Lactobacilli were isolated continuously for remaining period and identified as L. ali - mentarius, L. casei subspecies casei and L. fructosus. The first two Lactobacilli strains completely inhibited P. gingivalis in vitro and all the isolated Lactobacilli strains reduced the artificial plaque formation by 55-63%. These results showed that mouth gargling or pocket irrigation with L. acidophilus V-20 increased the No. of intraoral Lactobacilli and caused to decrease in the No. of P. gingivalis. This suggests that the replacement therapy by these Lactobacilli might be useful in the maintenance care of periodontal patients.

  • PDF

교정용 브라켓상의 인공치태 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on orthodontic brackets)

  • 양규호;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5
    • /
    • 1999
  • 구강내의 교정 장치는 미생물 전파에 있어서 다양한 장소를 제공한다. 치태는 치아 우식증 발생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하며 미생물, 비세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외에서 교정용에서의 인공 치태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type c는 $CO_2$ incubator내의 $37^{\circ}C$에서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 배양 되었다. 중절치에 사용하는 9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3개씩 비이커의 배양액에 매달았다. 3개 비이커의 배양액 pH는 각 각 pH 5.5, 7.0 그리고 8.5로 조절되었다. 5시간 후에 비이커에서 각각의 bracket을 꺼내서, bracket의 평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배지의 stirring effect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씩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2개의 비이커에 위치시켰다. 12개의 brackets을 $CaCl_2$(0.25, 1.0, 4.0 그리고 16.0mM). KCl(2.5, 10, 40 그리고 160mM) 그리고 $MgCl_2$(0.1, 0.4, 1.6, 그리고 6.4mM) 용액에 각각 매달았다. 6개의 $.018"{\times}.025"$ standard edgewise brackets, 6개의 $.022"{\times}.028"$ Roth brackets과 6개의 $.022"{\times}.028"$ Broussard brackets을 각각의 비이커 내에 매달았다. 배양액 내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brackets을 근사값의 milligram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룹 사이의 차이는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test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p value<0.05의 조건에서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는다. 5시간 동안 pH 5.5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형성된 인공 치태는 pH 7.0 이나 pH 8.5에서 배양된 것보다 작았다(p<0.05). 인공 치태는 배양하는 동안 저어졌을 때 더 많이 형성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bracket에 형성된 인공 치태는 좀 더 높은 알칼리성 배지에서 배양됨으로써, 그리고 배양 동안 배지를 저어줌으로써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지의 $CaCl_2,\;KCl,\;MgCl_2$의 농도와 상업적으로 다른 종류의 이용 가능한 교정용 bracket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구강에서 분리한 E. durans의 S. mutans와 S. oralis에 대한 작용 (INTERACTION OF ORAL ENTEROCOCCUS DURANS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ORALIS)

  • 김용남;양규호;오종석;정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61-369
    • /
    • 2000
  • 장구균은 사람의 구강, 질, 장내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에서 분리된 장구균중 Enterococcus durans로 동정된 분리균주 4주의 특성과 구강내 주요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oralis와의 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균주에 대한 당 발효 검사와 생화학적 검사 결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 분리균주 모두 erythromycin, penicillin, tobramycin, ampicillin, teicoplanin, ciprofloxacin, vancomycin. gentamicin, kanamycin 및 streptomycin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3. S. mutans를 일회용 큐벧에서 단독 배양시 550 nm에서의 흡광도가 1.405이었으나.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에는 각각의 흡광도가 0.855, 0.867, 0.797, 1.083으로 감소되었다. 4. 비커 와이어 검사 결과, S. mutans 단독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의 평균 무게는 $1566{\pm}103mg$이었다.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에는 각각 $44{\pm}5mg,\;41{\pm}12mg,\;34{\pm}7mg,\;38{\pm}12mg$으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배양후 생균수는 S. mutans 단독 배양시 ml당 $2.0\times10^9$ 이었으나, S. mutan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mutans는 $2.0\times10^7$ 내지 $6.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5. S. oralis 단독 배양시 ml당 $2.1\times10^8$ 이었으나, S. orali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oralis는 $1.4\times10^7$ 내지 $7.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6. 3주의 분리균주로 부터 약 60 kb의 plasmid를 분리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E. durans는 S. mutans의 증식을 억제하여 인공치태 형성을 저지하였고, S. oralis의 증식은 약간 억제하였다.

  • PDF

연마 방법에 따른 3D 프린팅 레진의 색조 안정성과 표면 조도의 비교 (Comparison of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of 3D Printing Resin by Polishing Methods)

  • 김희주;김유진;김종수;이준행;한미란;신지선;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5-21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 레진의 연마 방법에 따른 색조 안정성과 표면 조도를 시간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3D 프린터와 TC-80DP 레진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시편은 연마하지 않은 군, Enhance®군, Sof-LexTM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은 연마 직후 기준점을 측정하고, 다시 인공 타액과 오렌지 주스에 나누어 침전시킨 뒤, 침전 1, 7, 30, 60일에 CIE L*a*b* 값의 색차(ΔE*)와 각 시점의 표면 조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60일 침전 후 인공 타액에서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색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오렌지 주스에서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조 변화가 나타났고, 용액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했다. 표면 조도는 Sof-LexTM군에서만 오렌지 주스가 인공 타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마 방법에 따른 색조 변화의 차이는 없었으나 표면 조도는 Sof-LexTM군이 연마하지 않은 군과 Enhanc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모든 군에서 치태 침착 임계 조도보다는 높았지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정도였다. 이번 연구 결과, 유전치 전장관 수복을 위해 영구 수복용 3D 프린팅 레진 사용 시 착색제 섭취에 유의해야 하며, SofLexTM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것이 권장된다.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 VARNISHES AND CHLORHEXIDINE VARNISHES)

  • 이숙희;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91
    • /
    • 2008
  • 치아 우식증은 구강 내 세균, 식이(음식물), 치아 및 타액 등의 숙주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 중 치아의 탈회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거나, 구강 내 세균의 산생성능을 낮춤으로써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로 불소와 클로르헥시딘이 있다. 이 약제의 구강 내 적용방법으로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뛰어나고 환자의 협조의존도가 비교적 적은 바니쉬 형태가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소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를 생체 내에서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 내 가철성 장치에 우치 시편을 식립하고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를 각각 도포하였다. 치태축적을 유도하여 법랑질 탈회를 통한 우식 유발 환경을 만들고 바니쉬 제제가 구강 내에서 우치 법랑질의 우식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전자 현미분석 장치와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Ca, P에 대한 정량적 변화를 분석하고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공 우식병소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를 도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법랑질 병소가 경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우식을 유발한 경우 Ca와 P의 감소량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불소 바니쉬군에서는 Ca와 P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클로르헥시딘 바니쉬군에서는 P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제제의 사용이 항우식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나, 불소 바니쉬가 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PDF

Streptomyces sp. Y9343이 生産하는 齒面細菌膜 分解酵素의 精製와 特性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gradative Enzyme of Dental Plaque from Streptomyces sp. Y9343)

  • 김성주;한홍근;윤정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8
    • /
    • 1996
  • Streptococcus mutans has been implicated as primary causative agents of dental caries by insoluble glucan (IG) in human and experimental animals. An attempt was made to search for the ${\alpha}$-1,3 glucanase that degrades IG produced by S. mutans. ${\alpha}$-1,3 glucanase was detected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microorganisms, which are isolated from soils on agar medium containing IG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Streptomyces sp. hydrolysed IG produced by immobilized S. mutans and was named as Y9373. This enzyme required ${\alpha}$-1,3 glucan (IG) as an induc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enzyme production were studied. The enzyme was purified by 30~70% $(NH_4)_2SO_4$ precipitation, anion exchange chroma tography on DEAE-cellulose and gel filtration on Sepadex G-75. The purified enzyme has a specific activity of 7840.0 U/mg protein giving 32.1-fold purification and final yield of 0.53%. The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about 22.5 kDa by SDS-PAGE.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enzyme reaction were 6.5 and 37$^{\circ}C$, respectively and the enzyme was relatively stable at the temperature below 60$^{\circ}C$. The activity of purified enzyme was enhanced by adding $Co^{2+},\;Mn^{2+}\;and\;Mg^{2+}$ into the medium, whereas inhibited by adding $Hg^{2+},\;Zn^{2+}$ and SDS. The $K_m\;and\;V_{max}$ value of ${\alpha}$-1,3 glucanase for IG were estimated to be 2.50 mM and 0.0431 mM/min, respectively. The thin layer chromatographic analysis of hydrolysates from IG with ${\alpha}$-1,3 glucanase showed that glucose was the main product of reaction. This enzyme activity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marketing dextranase as preventive agent against artificial dental caries by S. mutans in TH medium including 5% sucrose after 30 minutes.

  • PDF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함유 흡수성 차폐막이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on periodontal regeneration)

  • 구영;김정은;한수부;정종평;박윤정;이승진;권영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61-78
    • /
    • 1997
  • PDGF-BB has been recognized as a highly potential growth factor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periodontal defect. This study carried out histologic and histometric evaluation of $200ng/cm^2$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made from polyglycolic and polylactic acid. It was tested for its biocompatibility, ability to prevent epithelial downgrowth and amount of periodontal regeneration. Without membrane and PDGF-BB un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were used as control. Healthy six beagle dogs were used. Each dog was anesthetized and buccal flaps were reflected in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premolar areas. Buccal alveolar bone between th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line angles was surgically removed on the lower 2nd and 4th premolar in mandible, 2nd premolar in maxilla, to a level 4mm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with creating a Class II buccal furcation defect for available space. Care was taken not to remove the root cementum layer and rubber impression materials were placed over each surgically created defect. Flaps were repositioned and sutured. Reconstructive surgery was performed 1 month after defect preparation. PDGF-BB loaded membranes and controls were randomly placed on maxillary 2nd premolars and mandibular 2nd and 4th premolars. Plaque control regimen was instituted with daily brushing with a 0.1% chlorhexidine digluconate during experimental period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2 and 5 weeks after surgery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evaluation. The degree of coronal regrowth of new bone, new cementum and the amonut of new bone areas formed on the defected area of the PDGF-BB loaded membrnae turned superior to without membrane and drug unloaded membrane. Experimental membrane could prevent the epithelial downgrowth irrespective of drug loaded or not and showed good biocompatiblity,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PDGF-BB loaded bioresorbable membrane could be highly useful too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defects.

  • PDF

PDGF-BB와 IGF-I 혼합 투여가 비글견 인공 치근단 병소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DGF-BB AND IGF-I COMBINATION ON THE HEALING OF ARTIFICIAL PERIAPICAL LESIONS IN BEAGLE DOGS)

  • 김미리;김민겸;윤수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1호
    • /
    • pp.1-16
    • /
    • 2000
  • It is difficult to treat the endodontic apical perforation successfully.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application of PDGF-BB and IGF-I into periapical perforation site may accelerate periapical healing and lead to bone deposition. And the specificity of osteonectin in periapical healing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51 premolar teeth of 4 beagle dogs. The pulp chamber of each tooth was opened and the dental plaque was inserted into the canal for developing the periapical lesion for 5 weeks. Then, the roots were artificially perforated at the apex with the number 4 profile of .06 taper. In each step,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to compare the size of lesion each other. The radiographs were scanned and analyzed by image analysis system.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eriradicular radiolucency ratios were calculated in each group. ANOVA was used for comparison. 51 premolars were group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calcium hydroxide-treated group and calcium hydroxide plus growth factors-treated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 apical perforations were not sealed and obturated with gutta-percha and ZOE sealer by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apical perforation were sealed with calcium hydroxide and with/without $4{\mu}g$ of PDGF-BB & IGF-I in cellulose gel and obturated by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Fluorescent bone markers were used to measure new bone formation. Following 2, 4, 12 weeks after experiment the dogs were sacrificed and histologic sections were prepared. Each tooth block including periapical lesion was sectioned mesiodistally. One half of the sections were decalcified with 6% nitric acid and processed by standard paraffin embedding technique. The sections were stained by hematoxylin and eosin, and immunostained for osteonectin. Histomorphometrical measurement of neoformed bone was perform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the other half of the sections were prepared by undecalcified preparation,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investigations were done.

  • PDF

CONTINUOUS ARCHWIRE의 FORCE SYSTEM에 대한 3차원 유한 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TIONAL FORCE ANALYSIS OF FORCE SYSTEM IN CONTINUOUS ARCHWIRE BY FINITE ELEMENT METHOD)

  • 노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32
    • /
    • 1996
  • 여러가지 교정장치 중에서 고정성 장치는 개개치아의 이동에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그 작용기전과 역학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성 장치의 탄선형태는 크게 continuous arch, segmented arch, sectional arch로 나누어 볼수있는데, segmented arch나 sectional arch는 힘의 작용점이 단순하고 interbracket distance도 길어 술자 임의대로 force system 조절이 가능한 반면 continuous arch에 서는 bracket geometry가 다양하고, interbracket distance가 좁아 force system의 조절이나 그 역학적 분석이 어려운게 사실이다. 저자는 공학에서의 3 dimensional elastic beam이 continuous arch의 형태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continuous arch 의 force system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3개의 bracket geometry를 표본형상으로 설정하고 기울기, 변위 및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른 힘과 moment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저자가 임의로 제작한 불규칙한 치아배열을 갖는 3차원 모형을 일례로하여 0.016 NiTi archwire를 bracket내에 삽입했을 때 발생되는 초기 힘과 moment를 분석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cket의 변위 또는 기울기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이 선형 대칭적인 비례관계를 보였다. 2.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은 비선형 대칭적인 반비례관계를 보였다. 3. 3차원 모형에서 bracket 형상이 비교적 단순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과 비교분석이 가능했지만 인접치의 형상이 복잡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의 예측량보다 힘이 크게 발생 되었다.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륨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기저악궁장경, 최대치아근원심폭경 합에 대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