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scopic debridemen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1초

견관절에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색소성 융모성 활액막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보고 3예 - (Arthroscopic treatment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with combined Rotator Cuff Tear - 3 Case Reports -)

  • 지종훈;김원유;한창환;김영율;김승준;김지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111-118
    • /
    • 2006
  • Most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occurred in knee joint and finger of hand. PVNS is rarely occurred in shoulder joint. In English and French literatures, less than 30 cases were reported. We report 3 PVNS cases with rotator cuff tears, which was treated by arthroscoic extensive synovectomy, debridement and rotator cuff repair. The PVNS with rotator cuff tear in shoulder joint was rarely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화농성 무릎관절염의 수술 후 관절강직에 대한 한의복합치료: 증례보고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of Postoperative Ankylosis in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 Case Report)

  • 우현준;한윤희;이정한;하원배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69
    • /
    • 2022
  • A 50-year-old Korean male tour guide without any medical or family history complained of left knee pain. After receiving umbilical cord blood injection treatment, the pain gradually worsen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septic arthritis in the left knee, arthroscopic lavage, debridement, antibiotic treatment, and routine rehabilitation therapy were performed, but the symptoms persisted. In the hospital,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acupotomy, Chuna manual therapy, and cupping therapy wer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usual treatment for 59 days. To evaluate the patient's improve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EuroQol 5-dimension, pain disability index, and Lysholm knee scoring system were used. After treatment, the symptoms improved in all assessment tools, swelling, and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mplex Korean medical therapies may be effective for postoperative ankylosis in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therapeutic effect.

수술 후 섬망 치험 1례를 통해 본 지언고론요법의 활용 (Application of Giungoroen-Therapy through a Postoperative Delirium Case)

  • 강동훈;김주연;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9-349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bination of Giungoroen-therapy, as well as other Korean medicine therapy on postoperative delirium. Method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ostoperative delirium, that occurred after arthroscopic debridement two months before hospitalization. The patient received Giungoroen-therapy in addition to conven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acupuncture, herbal medicine, and moxibustion. The evaluation variable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were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Korean Nu-DESC)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K-DRS-R-98). Results: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the Korean Nu-DESC score decreased from 5 to 1, and the K-DRS-R-98 score decreased from 36 to 23.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anxiety had been reduced. Conclusions: The combination of Giungoroen-therapy, as well as other Korean medicine therapy including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may be useful in alleviating postoperative delirium.

야구 선수에서의 견관절 내부 후방 충돌 -5예에 대한 예비보고- (Posterior Internal Impingement of the Shoulder in Baseball Players -Preliminary Report of 5 Cases Study-)

  • 김영규;최광운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6-42
    • /
    • 2005
  • 목적: 야구 선수에서 발생한 견관절 내부 후방 충돌에 대해 관절경 소견 및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부 후방 충돌로 진단하였던 5예를 대상으로 평균 15개월 추시하였다. 전 예에서 후기 거상기에 견관절 후방에 동통을 호소하였고, 외전 $120^{\circ}$에서 과수평-외전을 추가한 재위 검사상 전 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관절경하에 파열된 후방 관절와 순이나 SLAP 병변은 봉합하였고 회전근 개는 변연 절제하였으며 전방 관절낭 인대는 3예에서 관절낭 중첩술, 2예에서 관절낭 열 수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동통, 운동 범위, 운동 복귀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상 전 예에서 후상방 관절와 순의 fraying이 있었고 2예에서는 후상방 관절와 순의 flap 파열, 1예에서는 제2형 SLAP 병변이 동반되었다. 전 예에서 극상근 건에 fraying이 관찰되었고 1예에서는 부분 파열을 보였다. 또한 전 예에서 $90^{\circ}{\sim}120^{\circ}$ 외전 및 외회전 상태에서 관절와 순에 회전근 개가 충돌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는 투구 시 전 예에서 동통이나 불안감은 없었으며, 평균 활동력은 이환 전의 활동력에 비해 평균 88% ($80{\sim}100%$)로 회복되었다. 결론: 내부 후방 충돌의 확진은 관절경 검사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내부 충돌의 원인이 되는 전방 미세 불안정성과 후방 관절낭 구축에 대해 전방 관절낭 중첩술이나 수축술 및 후방 관절낭 신연 운동은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 PDF

견관절내 병변과 동반된 상부관절순의 반월상변형 (Meniscoid-type SuperrJior Labrum Associated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Shoulder Joint)

  • 최창혁;권굉우;김신근;이상욱;박범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41-46
    • /
    • 1999
  • 견관절의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한 50례의 환자중 상부 관절순이 관절와를 비정상적으로 넓게 덮고 있는 meniscoid variant 변형을 4례에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SLAPⅡ 병변과는 다르게 관절와부위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었다. Meniscoid type의 상부관절순은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변형이지만 반복된 기상운동을 통해 상부 관절순이 과운동성을 갖게 되면 이차적인 변형 및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이에 대해 변연절제 및 재조절을 다른 병변의 치료와 함께 시행하였다. 향후 meniscoid variant변형에 대한 생역학적인 연구와 임상적 의의 그리고 동반된 관절내 병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의 복원술 - 수술 술기 -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Repair Using Antegrade Suture Passer - Technical Note -)

  • 서혁준;조철현;이시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5-99
    • /
    • 2013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 손상에 대해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후방 삽입구를 통해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전상방 및 전하방 삽입구를 만든 뒤 방카트르 병변(Bankart lesion)의 확인 및 봉합 전 처치를 시행한다. 전하방 삽입구를 통하여 첫 번째 봉합 나사를 4시 반 방향에 고정한 다음 한가닥의 봉합사를 Scorpion$^{TM}$을 이용하여 5시 반 방향(우측 견관절 기준)에 있는 관절와와 분리 및 퇴축된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와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를 약 10-15 mm 내측에서 통과시킨다. Scorpion$^{TM}$의 고리를 이용하여 통과시킨 봉합사를 삽입구로 빼낸 다음 SMC 매듭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후 3시 반, 2시 반 방향의 관절와에 각각 봉합 나사를 삽입하고 기존의 방법인 봉합 갈고리와 shuttle-relay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절와순 봉합을 완성한다. 본 술기는 기존의 봉합 갈고리를 이용한 봉합술로는 어려웠던 5시 내지 5시 반 방향의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에 대한 해부학적 복원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초보자나 경험이 적은 술자에게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충돌증후군을 동반한 회전근개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 - 증례 보고 - (Tophaceous Gout in the Rotator Cuff with Impingement Syndrome - A Case Report -)

  • 이우승;윤정로;김영배;강규복;윤호현;이지운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5
    • /
    • 2013
  • 결절성 통풍은 활액, 점액낭, 연골 혹은 기타 연부조직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근개 또는 점액낭 내의 결정성 통풍이 발생한 경우 비-출구 충돌(non-outlet impingement)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만성 결절성 통풍을 앓고 있는 환자가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회전근개 및 그 주위 조직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에 의한 충돌증후군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50세 남자 환자의 충돌증후군을 동반하는 회전근개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을 경험하였고, 이에 대하여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견봉하 감압술을 시행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견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다발성 골수염 - 1예 보고 - (Chronic Recurrent Multifocal Osteomyelitis of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이기원;최영준;안형선;김정환;황재광;강정호;이선우;조완종;박준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48-252
    • /
    • 2011
  • 목적: 견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다발성 골수염의 진단 및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다발성 골수염을 가진 16세 남자 환자에 대해 관절경하 변연 절제술 및 Naproxen을 이용한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치료 후 16개월 동안 추시상 재발 없이 증상이 소실되었다. 결론: 만성 재발성 다발성 골수염은 비특이적 임상 양상과 드문 발병률 때문에 진단에 어려움이 있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16세 남자 환자에서 견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다발성 골수염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감염의 치료: 이식건의 보존 (Treatment of Infec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Graft Retention)

  • 김형준;고해석;문찬웅;최남용;인용;김민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9-103
    • /
    • 200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감염 환자에서 이식건을 보존하고 치료한 저자들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시행한 511예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중 감염의 합병증이 있었던 5예(0.97%)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를 보존한 상태에서 세척술과 활액막 절제술, 항생제 투여로 치료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34개월이었다. 감염이 재발된 예는 없었다.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 기준상 거의 정상의 결과를 보인 예가 2예, 비정상의 결과를 보인 예가 3예였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 상 전방 불안정성을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감염 발생시 전방 십자 인대를 보존하고 치료하여 감염의 재발이 없었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 - 임상 양상 및 새로운 봉합 수기(pullout suture) - (Transection of the pos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at the posterior tibial attachment - Clinical features and A new repair technique (Pullout suture) -)

  • 안진환;하철원;김호;김성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9-114
    • /
    • 1999
  • 목 적 : 내측 반월상 연골후각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은 흔하지 않고 기존의 수기로는 봉합이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의 임상 양상 및 pullout suture를 통한 새로운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년 9월부터 1999년 7월까지 9명의 환자에서 후방 경골 부착부위의 절단 파열을 경험 하였다. 평균 나이는 59.3세로 38세에서 70세까지의 분포였다. 전예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임상양상으로 진단하였고, 슬관절경을 통해서 확진과 치료를 하였다. 1예에서 2차적 관절경을 시행하여 봉합 된 반월상 연골의 치유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 양상 : 대개 중년이후의 나이에서 호발하며, 특별한 외상의 과거력이 없다. 슬관절 후면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그 위치가 불명확한 특징이 있었다. 경도내지 중등도의 슬관절의 종창을 호소하였으며, 특징적으로 슬관절을 굴곡 시킬수록 심해지는 술관절 후면의 통증으로 완전한 굴곡의 장애가 있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퇴행성 변화는 없거나, 나이에 비해서 미미한 양상이었다. 술 전 자기 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관상면에서 반월상 연골의 후각이 후방 경골 부착부위에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보인다. 수술 수기 : 4개의 표준 portal 로 도달하여 후각부의 절단파열을 확인하고, 변연절제술로 시야를 확보하고 후각의 후방 부착부위의 연골하골을 노출 시킨다. 전내측 또는 후내측 도달법으로 절단단율 PDS 로 봉합한다. PDS 봉합사를 전내측 도달법으로 밖으로 꺼내 놓는다. 경골 내측 근위부에 종절개를 가한 후에 ACL tibla guide를 이용하여 경골 내측 근위부에서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까지 골 터널을 만든다. 강선 루프를 경골 터널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전내측 도달법으로 빼내고, PDS 봉합사를 사이에 끼워서 다시 경골 터널을 통해 아래쪽으로 당겨서 끌어낸다. PDS 봉합사를 경골 내측 근위부에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결 론 : 내측 반월상연골 후각의 후방 경골부착부위의 절단피열은 임상적으로 흔하지 않고 보고도 드물다. 임상 양상과 자기공명영상이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경적 pullout 봉합이 이런 형태의 파열에 대한 치료로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