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Gallery Servic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대전지역 갤러리의 현황분석에 대한 실증 연구 -대전의 원도심권 갤러리를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for a Current Condition of Gallery in Daejeon Region -Focus on the Gallery in Daejeon Old Urban Center-)

  • 서용모;오치규;김형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30-240
    • /
    • 2011
  • 갤러리는 미술작품을 소통을 목적으로 생산 공급자인 작가와 중개자인 기획자, 경영자 그리고 수요자인 소장자, 대중의 만남을 이루고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갤러리에 대한 대전지역의 현황을 원도심을 중심으로 한 현황분석과 그들의 기능적 역할을 심층면접 및 3차에 걸친 델파이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전지역의 원도심에서 운영되고 있는 갤러리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그들의 사명감과 자부심으로 지역의 젊은 작가와 미술트랜드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결과 갤러리의 역할은 지역작가 발굴과 미술 트렌드와 패러다임에 대한 제공 및 사회적, 문화적 책임을 수행하는 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갤러리 측면에서 작품의 선정요인으로는 작품성, 시장성 및 갤러리와의 조화를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작가의 측면에서는 갤러리의 전문성, 갤러리의 인지도 및 작품 판매 능력을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 갤러리들도 수동적이고 1차원적인 기능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체험의 공간으로써, 문화 서비스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고려해야 해야 할 것이다.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의 머신러닝 기반 미술 작품 추천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Based Art Work Recommendation Service in Embedded System Environments)

  • 천미현;이동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65-271
    • /
    • 2019
  • 국민 소득의 증가로 인해 문화 생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국 미술관의 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서비스에 비해 미술관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머신러닝에 기반한 관중들의 선호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했다. 관람자가 선호하는 작품과 유사한 작품을 찾아내기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하였고 여러 머신러닝 모델을 비교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선정했다. 관람자의 취향에 맞는 정보를 활용하여 갤러리 전시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전시 만족도를 높이고 이는 미술관 재 방문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NFC 기반 2 Factor 전자결제를 이용한 모바일 갤러리-옥션의 기능 검증 및 시현 (Function verification and demonstration of mobile Gallery-Auction using NFC-based 2-Factor electronic payment)

  • 차윤석;오수희;김용일;노순국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1호
    • /
    • pp.24-30
    • /
    • 2018
  • 제노테크(주)는 NFC기반 2 factor 전자결제시스템의 보안기능 향상을 위해 FIDO인증기술을 이전받았으며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인 갤러리-옥션을 개발하였고 대구 전시회에서 데모 시연을 진행하였다. 시연 결과 배너 제작 및 설치, UI변경, 동작 순서 변경 등의 개선 요구 사항이 있었으며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갤러리-옥션을 개선하였다. 이후 개선된 갤러리-옥션의 2차 데모시연을 '아트:광주:17'에서 진행하였고 동시에 '아트:광주:17'의 시간당 입장객 수를 분석 및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마케팅의 성공: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의 사례 (A Service Marketing Success Using Internet of Things: The Case of Cleveland Museum of Arts in the United States)

  • 주미경;김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49-555
    • /
    • 2016
  • 이 논문의 목적은 미술관 방문 및 참여 증가 요인이 사물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마케팅 강화에 있다고 보고 이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도입 후 제공된 클리블랜드 미술관 서비스의 내용과 그로 인한 결과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한국의 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분석을 위하여 저널논문, 통계, 기관 및 정부의 보도자료, 뉴스기사, 웹문서, 웹페이지 기사를 수집하여 참조한다. 분석결과는 첫째,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의 적용은 미술관 방문 및 재원 창출에 긍정적이다. 둘째, 사물인터넷의 도입은 미술관의 '교육', '접근성', '의사소통' 서비스의 강화는 물론 체험을 활성화시켜 온 오프라인 참여를 증가시킨다. 셋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방정부의 자금지원과 관련업체의 기술지원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결론으로 사물인터넷 불모지나 다름 없는 국내 미술관에 관람객의 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이와 같은 디지털기술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안한다.

박물관 모바일 포탈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Platform study for museum mobile portal service)

  • 두일철;신현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7-155
    • /
    • 2014
  • The rapid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and diverse utility of smart devices opens an opportunity for a development in creating a user-oriented ubiquitous system. And it allows audiences to deploy the exhibition-helping contents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with using the smart devices of audience themselves. Also it needs to build a mobile web-based portal system for the related services. To do this, Firstly, it needs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on a smartphone-based environment such as technical competence, systematic preparation of exhibition with compatible mobile contents, and a compatible channel for interactivity. Secondly, it needs the differentiation of exhibition guide with the existing system: an adoption of augmented reality, panoramic technology and simulation effect aiming for an improvement in a sense of immersion and reality for audience, and building up additional contents with a diversity of formats of image, sound, and video for customer satisfac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가이드 관람 서비스 구축 방안 (A Study on Building Plan for Smart Guide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 최훈;윤영두;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23-2728
    • /
    • 2013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개인별 취향에 따른 생활의 변화와 개인의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에 맞춰 공공기관과 박물관 그리고 과학관에 이르기까지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은 관람이라는 공통되어진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단체 관람과 개인별 관람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박물관과 과학관은 미술관과는 달리 역사와 과학교육이라는 대 국민적인 목적이 담겨져 있으며, 테마파크와는 달리 엔터테인먼트와 교육을 병행해야하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시물에 대한 충분한 몰입도를 높여야 하며, 그와 병행하여 전시물에 대한 연령대별 설명이 부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증강현실을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교육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ICT기반 문화복지의 방향성 제시: 문화예술체험관 중심으로 (A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Cultural Welfare Based on ICT: Focusing on Experience Center for Arts and Culture)

  • 임영준;이영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567-1576
    • /
    • 2017
  • 본 연구는 ICT를 토대로 문화복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정책의 방향과 문화복지 서비스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 문화복지 서비스 사례에 관련하여 사용자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관에 비해 박물관은 미디어환경에 따라 많은 변화가 모색되었다. 세부적으로 미디어 1.0시대에는 실제 박물관을 통해 관람되었다면 미디어 2.0시대에는 가상박물관이 나타났다. 이것은 미디어 환경, 대상(전시물), 접근성, 소모성 및 정보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를 통해 한국형 ICT 문화복지 서비스 환경변화요소를 제언하였다. 향후, 문화소외계층에게 문화향유에 대한 문화복지 서비스의 확대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미술 대중화를 위한 작가중심형 아트페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rtist-centered Art Fair for Popularizing Art Market)

  • 김선영;이의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9-292
    • /
    • 2018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빠른 회복세를 보인 세계미술시장과는 달리 한국 미술시장은 현재까지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미술시장은 화랑 편향의 유통시스템, 취약한 1차 시장 기능, 소수 컬렉터 중심의 시장 구조로 신진 및 중견작가들로 하여금 시장 진입의 기회를 어렵게 하고, 결과적으로 작가들의 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또한 높은 작품 가격은 일반인의 시장참여를 제한함으로써 시장의 저변확대를 가로막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미술시장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시장 저변의 허약함에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안형 아트페어'가 허약한 우리 미술시장의 체질을 개선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한국 미술시장의 현황과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작가미술장터'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작가중심형 아트페어'는 일반인의 미술시장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신진 및 비인기 중견작가들에게 전시 및 관로를 열어줌으로써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 방안 중 하나로 미술시장 대중화를 촉진하는 대안형 아트페어이다. 나아가 국내 미술 시장의 체계적인 유흥 체계 구축과 더불어 견고한 작가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직업이기도 하다. 현재로서는 시장편중 현상이 다른 나라에 비해 뚜렷하고 대중화가 부진한 우리 미술계의 현실, 그리고 자생력이 부족한 시장의 현장 등을 고려할 때 '작가중심형 아트페어' 육성을 위한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직접적인 지원방식이 아닌 홍보플랫폼의 제공이나 소비자 금융지원 등 간접적인 지원방식으로의 전환을 통해 '작가중심형 아트페어'의 지속가능성과 그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뮤지엄건축에 있어서 분리형 전시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루이스 칸의 전시공간구성방법의 영향을 받은 렌조 피아노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of the Museum's Typology on Served and Servant Space Type - Focused on Renzo Piano's Work Influenced by Louis I. Kahn's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

  • 이성훈;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38-246
    • /
    • 2006
  • Renzo Piano was first introduced to us when he got together with Richard Rogers and won the Grand Prize on Center George Pompidou Competition in Paris. Since then, he designed number of world renowned museum architecture such as Menil Collection & Museum, The Cy Twombly Gallery, Beyeler Foundation Museum, and most recently the New Pavilion of High Museum of Art. His museum design, in particular, showed very consistent feature which is differentiating the 'Served Space(exhibition area) and the Servant Space(service core or mechanical system area)'. In addition, the way he treats natural light as a special feature within his museum space was nicely done and it is remarkable both in design and engineering side; he always designed a very unique roof structure system to give life and to simulate emotion of light within the space. These are just a few points of his special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differentiate him from the rest of the architect working today. While interested by works of Renzo Piano, we found that his work had very close relationship to Louis I. Kahn's design. Specially the way Renzo Piano differentiating serving and servant space and the way he treating natural light.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typology of museum exhibition organization as well as finding evidence of Louis I. Kahn's influence and concept he has shown in his museum projects through actual site visits and reference research. The method of research was as the following; first to find typology and its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of all Renzo Piano's museum projects. Secondly to distinguish projects which show 'differentiated servant and served spac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lear that Renzo Piano had influence of Louis I. Kahn on adopting 'Servant and Served Space' concept. But the research concluded with the facts to approve the uniqueness of Renzo Piane's design concept.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공기질 농도와 상관성 분석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Correlations of Materials at Multiple-use Facilities in Gwangju)

  • 이대행;이세행;배석진;김난희;박강수;김도술;백계진;문용운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001-1010
    • /
    • 2010
  •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 54개소와 공중이용시설 15개소에 대한 입자상물질(미세먼지, 석면), 가스상물질($CO_2$, CO, $NO_2$, HCHO, Rn, VOCs), 총부유세균의 농도에 대해서 조사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PM_{10}$)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69.2\;{\mu}g/m^3$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보육시설,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순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2.7 ppm으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는 의료시설에서 60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질소는 실내주차장에서 0.0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포름알데하이드는 54개 전체시설에서 기하평균 $3.6\;{\mu}g/m^3$이었으며, 미술관은 $631.8\;{\mu}g/m^3$로 가장 높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모든 시설에서 기하평균 $24.14\;{\mu}g/m^3$이었고, 이 중 톨루엔이 $15.30\;{\mu}g/m^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스티렌 순으로 조사되었다. 총부유세균은 찜질방에서 평균 $625.3\;CFU/m^3$로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의료기관, 대규모점포 순이었다. 석면은 보육시설에서, 라돈은 미술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시설에서 미세먼지와 총부유세균은 로그함수의 결정계수($R^2$) 0.5332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는 보육시설과 실내주차장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휘발성물질간의 상관식은 모든시설에서 직선함수보다는 로그함수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