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Correlations of Materials at Multiple-use Facilities in Gwangju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공기질 농도와 상관성 분석

  • Lee, Dae-Haeng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Lee, Se-Haeng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Bae, Seok-Jin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Nan-Hee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rk, Kang-Soo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Do-Sool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ik, Ke-Jin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Moon, Yong-Woon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이대행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이세행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배석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김난희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박강수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김도술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백계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문용운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Received : 2010.06.10
  • Accepted : 2010.11.17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particle materials ($PM_{10}$, asbestos), gas materials ($CO_2$, CO, $NO_2$, HCHO, Rn, VOCs) and total suspended colony (TSC),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materials in indoor air quality of 54 multiple-use facilities and 15 public-use facilities of Gwangju.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PM_{10}$ was $69.2\;{\mu}g/m^3$ at indoor parking place,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large commercial building and subway station building.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CO was 2.7 ppm at indoor parking place and that of $CO_2$ was 604.1 ppm at medical service facilities.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NO_2$ was 0.036 ppm at indoor parking place.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HCHO was $3.6\;{\mu}g/m^3$ in all facilities and the highest was $631.8\;{\mu}g/m^3$ at art gallery. The geomean concentration of VOCs (5 species) was $24.14\;{\mu}g/m^3$ in all facilities and toluene was the highest material of $15.30\;{\mu}g/m^3$, followed by xylene, ethylbenzene, benzene and styrene.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TSC was $625.3\;CFU/m^3$ at jjimjilbang, followed by childcare facilities, medical service facilities and large commercial building. The highest of asbestos was 0.0072 each/cc at childcare facilities and that of radon was 1.41 pCi/L at art gallery. PM10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TSC with $R^2\0.5332$ by lognormal equation at childcare facilities. CO2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CO at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arking place. Lognormal equation fitted to the VOCs data more than normal equation in all facilities.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 54개소와 공중이용시설 15개소에 대한 입자상물질(미세먼지, 석면), 가스상물질($CO_2$, CO, $NO_2$, HCHO, Rn, VOCs), 총부유세균의 농도에 대해서 조사하고 각 항목간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PM_{10}$)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69.2\;{\mu}g/m^3$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보육시설, 대규모점포, 지하역사 순이었다. 일산화탄소는 실내주차장에서 평균 2.7 ppm으로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는 의료시설에서 60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화질소는 실내주차장에서 0.036 ppm으로 가장 높았다. 포름알데하이드는 54개 전체시설에서 기하평균 $3.6\;{\mu}g/m^3$이었으며, 미술관은 $631.8\;{\mu}g/m^3$로 가장 높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모든 시설에서 기하평균 $24.14\;{\mu}g/m^3$이었고, 이 중 톨루엔이 $15.30\;{\mu}g/m^3$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스티렌 순으로 조사되었다. 총부유세균은 찜질방에서 평균 $625.3\;CFU/m^3$로 가장 높았고, 보육시설, 의료기관, 대규모점포 순이었다. 석면은 보육시설에서, 라돈은 미술관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시설에서 미세먼지와 총부유세균은 로그함수의 결정계수($R^2$) 0.5332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는 보육시설과 실내주차장에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휘발성물질간의 상관식은 모든시설에서 직선함수보다는 로그함수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태진, 최한샘, 전용택, 이치원, 이종대, 조혜미, 손부순, "충남지역 학교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7(5), 501-507(2008).
  2. 이태규, 실내공간 공기오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2002).
  3. 조성재, 지하생활 공기질의 측정 및 분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2005).
  4. 관계부처합동(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노동부 등), 실내공 기질 관리 기본계획(2009).
  5. 정연희, 최상준, "인천지역 일부 학교의 실내 및 대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3(5), 372-378(2007).
  6. 양지연, 김호현, 신동천, 김윤신, 손종렬, 임준환, 임영욱, "일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알데히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7(1), 45-56(2008).
  7. Jang, S.-K., Chun, J.-Y., Kim, S.-Y. Park, S.-Y., Ryu, J.-M., Lim, J.-Y. and Lee, W.-S., "Seasonal vari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indoor air of daycare centers,"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6), 474-482 (2007).
  8. 홍성철, 조혜미, 조태진, 이치원, 정용택, 손부순, "충남지역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한국위생학회지, 23(2), 35-45(2008).
  9. 정유신,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환경에 대한 재실자들의 주관적 반응조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05).
  10. 전병학, 황유경, 김형아, 이세훈, 안규동, 허용, 서울 . 경기 일부지역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와 미세먼지 중 내독소의 농도,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8(4), 262-270 (2008).
  11. 최석용, 신축공동주택의 입주 전 . 후 실내공기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2007).
  12. 백장현, 사무실 건물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2006).
  13. 환경부, 실내공기질관리 업무편람, 11-12(2006).
  14. 기상청, 쉽게 이해하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Climate Change Handbook, 22-23(2009).
  15. 김태우, 대구지역 초 . 중학교 실용도별 TVOCs와 HCHO의 측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2006).
  16. Lee, J. J. and Kang, D. W.,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haracterization," Bull. Nat. Sci. Yong-in Univ., 7(1), 37-49(2002). https://doi.org/10.1007/BF02830011
  17. 전재식, 김덕찬, "서울지역 지하철역의 라돈농도 분포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8(6), 588-595(2006).
  18. 백성옥, 허윤경, 박영화, "포항지역 대기 중 초미세먼지 (PM2.5)의 오염특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0(3), 302-313 (2008).
  19. 환경부,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 제2008-73호), (2008).
  20. Yoon, C. S., Choi, I. J., Ha, K. C., Park, D.G. and Park, D. Y., "Relationships of TVOC with Several Aromatic Hydrocarbon Constituents at Preschool Facilities," Kor. J. Env. Hlth., 32(5), 404-411(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