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row ty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삼국시대 화살집[화살통]의 유형과 변화과정 (Types and Changes of Arrow Quiver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이건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152-176
    • /
    • 2022
  • 본고는 삼국시대 화살집 복원에 대한 기초 연구로, 기존 화살집 복원 안에 대한 세부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재 발굴된 삼국시대 화살집은 화살을 담는 주머니인 수납부, 그리고 화살집의 등판에 해당하는 배판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2부위는 남아있지 않고, 금속 부품만 발굴되고 있다. 출토된 화살집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복원하였다. 수납부 금구를 중심으로 W자형 부품과 ㄷ자형 부품으로 구성된 1유형, 띠형 금구만 확인된 2유형으로 분류했다. 3유형은 2유형과 비슷하지만 적수금구에서 뻗친 철띠가 띠형 금구에 연결되는 화살집으로, 별도의 유형으로 상정하였다. 3가지 유형의 화살집에 대한 복원 안을 제시하기 전에 적수금구 위치와 유기물 관찰 내용을 반영하였다. 또 출토정황만으로 알 수 없는 적수금구의 위치와 같은 내용은 조선시대 화살집과 일본의 정창원, 하니와에서 관찰되는 화살집 착용방법에서 착안하였다. 적수금구를 기준으로 삼은 기존 화살집 변천 안을 참고하면, 화살집은 본고의 1유형에서 2·3유형으로의 변화한다. 변화의 요인에 대해 화살을 담는 수납부 공간과 화살집을 착용하는 방법의 변화에서 찾았다. 그러나 일부 2·3유형은 1유형의 착장 방식을 유지하고 있고 구식의 부품을 유지된 사례도 있었으며, 함안지역에서는 전형적인 1유형이 늦게까지 부장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lta Moves and Arrow Polynomials of Virtual Knots

  • Jeong, Myeong-Ju;Park, Chan-Young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8권1호
    • /
    • pp.183-202
    • /
    • 2018
  • ${\Delta}-moves$ are closely related with a Vassiliev invariant of degree 2. For classical knots, M. Okada showed that the second coefficients of the Conway polynomials of two knots differ by 1 if the two knots are related by a single ${\Delta}-move$. The first author extended the Okada's result for virtual knots by using a Vassiliev invariant of virtual knots of type 2 which is induced from the Kauffman polynomial of a virtual knot. The arrow polynomial is a generalization of the Kauffman polynomial. We will generalize this result by using Vassiliev invariants of type 2 induced from the arrow polynomial of a virtual knot and give a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Delta}-moves$ transforming $K_1$ to $K_2$ if two virtual knots $K_1$ and $K_2$ are related by a finite sequence of ${\Delta}-moves$.

양궁화살에 의한 두부 관통상 1례 - 증례보고 - (A Case of Penetrating Head Injury by a Western-Style Arrow - A Case Report -)

  • 조태현;송준혁;김명현;박향권;김성학;신규만;박동빈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1호
    • /
    • pp.1538-1541
    • /
    • 2000
  • Apenetrating head injury by an arrow is extremely rare being only two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12-year-old boy who presented with an arrow lodged at the posterior fossa through nasal nostril. He was slightly drowsy, but neurologically intact except a sixth nerve palsy in the left eye. Brain CT showed no intracerebral hemorrhage. The arrow was entered through the right nostril and the tip was stucked in the left cere-bello-pontine angle through the sphenoid sinus. We removed the arrow without craniotomy since the tip was verified smooth and no cerebral arteries were in contact with the arrow. The patient recovered well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The sixth nerve palsy resolved completely after six months. The ver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offending material, a retrograde removal of the arrow in the direction of its line of trajectory, and an identification of adjacent cerebral arteries seem to b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this type of injury.

  • PDF

NECESSARY AND SUFFICIENT OPTIMALITY CONDITIONS FOR CONTROL SYSTEMS DESCRIBED BY INTEGRAL EQUATIONS WITH DELAY

  • Elangar, Gamal-N.;Mohammad a Kazemi;Kim, Hoon-Joo
    • 대한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25-643
    • /
    • 2000
  • In this paper we formulate an optimal control problem governed by time-delay Volterra integral equations; the problem includes control constraints as well as terminal equality and inequality constraints on the terminal state variables. First, using a special type of state and control variations, we represent a relatively simple and self-contained method for deriving new necessary conditions in the form of Pontryagin minimum principle. We show that these results immediately yield classical Pontryagin necessary conditions for control processes governed by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with or without delay). Next, imposing suitable convexity conditions on the functions involved, we derive Mangasarian-type and Arrow-type sufficient optimality conditions.

  • PDF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최보배;허일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9-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One-hand Gesture Performance in Vision-based Gesture Recognition System

  • Kim, Jun-Ho;Lim, Ji-Hyoun;Moon, Sung-Hy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1-556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one-hand gesture performance in vision-based gesture recognition system when people use gestures to control a screen device remotely. Backgroud: gesture interaction receives growing attention because it uses advanced sensor technology and it allows users natural interaction using their own body motion. In generating motion, visual feedback has been to considered critical factor affect speed and accuracy. Method: three types of visual feedback(arrow, star, and animation) were selected and 20 gestures were listed. 12 participants perform each 20 gestures while given 3 types of visual feedback in turn. Results: People made longer hand trace and take longer time to make a gesture when they were given arrow shape feedback than star-shape feedback. The animation type feedback was most preferred. Conclusion: The type of visual feedbac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ength of hand trace, elapsed time, and speed of motion in performing a gesture. Applicatio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needs visual feedback for device control. A big feedback generate shorter length of motion trace, less time, faster than smaller one when people performs gestures to control a device. So the big size of visual feedback would be recommended for a situation requiring fast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visual feedback would be recommended for a situation requiring elaborated actions.

수식 어류껍질 젤라틴의 원료로서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검색 (Screening for raw material of modified gelatin in marine animal skins caught in coastal offshore water in Korea)

  • 조순영;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34-139
    • /
    • 1996
  • 연근해산 수산물중 부산물의 양이 많은 붕장어껍질, 말쥐치껍질 및 화살오징어껍질을 대상으로 수산 연제품의 품질개선제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산물껍질 젤라틴의 원료를 검색하였다. 콜라겐함량은 붕장어껍질(24.6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20.03%)이었으며 화살오징어껍질은 12.62%에 불과하였다. 콜라겐의 조성은 어류껍질의 경우 가용성획분$(67.4%{\sim}72.3%)$이 불용성획분보다 높았으나, 화살오징어껍질의 경우 불용성획분(69.6%)이 가용성획분보다 높았고, 아미노산조성은 가용성획분 및 불용성획분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근해산 수산물껍질의 콜라겐은 ${\alpha}$ chain과 ${\beta}$ chain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alpha}$ chain은 동일종이 아닌 hetero형 이었다. Imino acid 조성비, proline의 수산화정도 및 열변성온도는 붕장어껍질 콜라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말쥐치껍질 콜라겐 및 화살오징어껍질 콜라겐의 순이었고 또한 이들 껍질로부터 추출한 젤라틴의 물리적 특성도 열변성온도의 경향과 같았다.

  • PDF

새로운 type II 제한효소 xci I의 분리 (A new restriction endonuclease from xanthomonas citri)

  • 황영;채건상;장원희;김기태;유욱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6-410
    • /
    • 1986
  • The isolation and charateriation of a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from Xanthomonas citri IFO 3835 were described. This enzyme (Xci I endonuclease) is an isoschizomer of Sal I endonuclease recognizing 5'-GTCGAC-3' and cleaving at the site indicated by the arrow. Unlike Sal I endonuclease, Xci I endonuclease requries a NaCl concentration of 50mM for its maximum activity.

  • PDF

희소행렬 계산과 혼합모형의 추론 (Sparse Matrix Computation in Mixed Effects Model)

  • 손원;박용태;김유경;임요한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2호
    • /
    • pp.281-2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혼합모형의 추론을 위한 벌점-최대우도추정량의 빠른 계산절차를 제안하다. 제안된 절차는 벌점-최대우도추정량을 위한 추정방정식에서 헷시안 행렬을 화살촉형태를 지닌 희소행렬을 통하여 근사 시킴으로써 계산속도의 향상을 가져왔다. 두 가지 가상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근사식을 사용함으로써 얻게되는 계산시간의 감소와 동시에 이를 위하여 지불하여야 하는 근사오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반월상 연골 파열환자에서 봉합술 후 결과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Results following Meniscal Suture)

  • 배대경;윤경호;정기웅;권창혁;신능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4
    • /
    • 2000
  • 목적 :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봉합술을 시행한 62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 중 Linvatec suture를 사용한 군과 meniscal arrow를 사용한 군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받은 환자 68명, 68례 중 Linvatec suture를 사용한 경우가 46례였고(A군) meniscal arrow를 사용한 경우가 16례였으며(B군),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한 경우가 6례였다. 이 중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한 6례를 제외한 6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2례의 성별은 남자 52명$(84\%)$, 여자 10명$(16\%)$이었고,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6.9세(6-51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8.5개월(12-26개월)이었다. 술 후 임상적 결과 판정은 Tapper와 Hoover의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최종 추시 시 동통, 잠김, 불안정 등의 주관적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수술 시 연골 봉합술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총 62례의 임상적 결과는 우수 47례$(76\%)$, 양호 12례$(19\%)$ 보통 3례$(5\%)$였다. 이 중 A군은 우수가 35례$(76\%)$, 양호가 9례$(20\%)$, 보통이 2례$(4\%)$였으며, B군은 우수가 12례$(75\%)$ 양호가 3례$(19\%)$, 보통이 1례$(6\%)$로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수술시 봉합술에 소요된 시간은 A군은 평균 40분($27\~52$분)이었으며, B군은 평균 20분($15\~40$분)이었다(p<0.05). 결론 : 반월상 연골의 파열 시 파열 형태나 크기, 위치 및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라 적절한 봉합 방법을 선택하면 수술 시간과 합병증을 줄이면서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