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usal Stat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공황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정상근;조광현;정애자;박태원;황익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1호
    • /
    • pp.52-58
    • /
    • 2001
  • 목 적 : 정상 대조군보다 공황장애환자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이 더 적을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공황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환자군은 DSM-Ⅳ의 공황장애 진단기준에 맞는 외래 및 입원 환자 10명(남성 9명, 여성 1명;연령 $47.5{\pm}14.3$세), 정상 대조군(남성 9명, 여성 1명 ; 연령 $47.3{\pm}10.1$세)은 전북의대 학생 및 전북대학교병원직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호흡속도,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4가지로서 암산, 비디오게임, 과호흡, 스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을 이용하였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각각 3분씩의 '기저기간-암산작업 기간-휴식기간(3분)-비디오게임 기간-휴식기간-과호흡 기간-휴식기간-트레스사건 이야기작업 기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 항목들의 차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우울, 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리반응 중 피부전도반응(p=.017), 근전도(p=.047), 맥박(p=.049)의 기저치가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과호흡시 놀람반응이 대조군보다 공황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1). 맥박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이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각각 p=.007, p=.002). 환자군내에서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p=.0001) 및 비디오게임(p=.021) 작업시 놀람반응이 회복반응보다 유의하게 더 컸다. 또한 호흡반응의 경우, 환자군내에서 과호흡시(p=.035) 놀람반응보다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컸다. 결 론 : 상기 결과로 미루어보아, 공황장애환자는 정상 대조군보다 기저기에서 대부분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았으나, 측정항목에 따라 생리적 유연성의 기복이 있었다. 따라서, 공황장애환자의 치료시 자율신경계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고, 일부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유연성 회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분노를 경험하는 동안에 나타난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to Anger in Individuals with Alcohol Use Disorders (AUDs))

  • 박미숙;노지혜;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57-64
    • /
    • 2019
  • 분노는 알코올 사용 장애자들이 재발하기 전에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정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분노 경험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알코올 사용 장애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남성 환자 12명과 이들과 연령 및 학력수준이 유사한 일반인 남성 14명이 참여하였다. 분노를 유발하기 위하여 시청각 동영상을 제시하고, 이때 나타난 심리 및 자율신경계 반응(피부전기 활동)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이 경험한 정서의 강도에서는 알코올 집단과 일반인 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알코올 집단은 안정 상태에 비해 분노 상태에서 비중독자에 비해 피부전도 수준, 피부전도 반응 그리고 피부전도반응 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이 결과는 알코올 중독자들이 분노를 처리하는 동안에 생리 반응에서 이상이 나타남을 시사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자들의 분노 경험 동안에 나타난 생리 반응 이상을 완화할 수 있는 개입방법을 개발한다면 알코올 사용 장애자들의 정서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그들의 재발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중 정보를 활용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Vehicle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modal Information)

  • 박수완;손준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48
    • /
    • 2011
  • 차량의 각종 안전장치 및 운전자 모니터링 장치에서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하려 할 때는 운전자, 자동차, 도로 환경의 측정 변수들이 통합적으로 수집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 상황을 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주기로 운전자, 차량, 도로 주변 환경과 같은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수집하는 실시간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소프트 동기화 메커니즘으로 다중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집한다. 이는 하나의 마스터 시간과 차량 상태와 운전자 상태 등의 다양한 영역의 데이터들의 키 값들을 동일한 시간 주기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고, 각각 다양한 영역의 데이터들은 저장할 때 마스터 시간과 함께 저장함으로써 후에 특정 시간에 운전 상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된 시스템으로 9명의 피험자의 인지 부하 실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예를 보인다.

1/f 수준 별 음악 자극이 감정 노동 종사자의 심장 반응에 미치는 효과 (Heart Response Effect by 1/f Fluctuation Sounds for Emotional Labor on Employee)

  • 전병무;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63-70
    • /
    • 2015
  • 본 연구는 1/f fluctuation의 ${\alpha}$기울기 따라 구성된 사운드를 들었을 때 감정 스트레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피험자들의 심박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사용자의 심리상태 안정시키는 효과 또는 생리적 안정성에 1/f fluctuation의 ${\alpha}$기울기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f fluctuation 수준을 총 3가지 나누어 제작한 사운드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감정노동 종사자에게 제시하여 그에 따른 심장반응을 측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네 가지로 BPM(Beat Per Minute), VLF(Very Low Frequency), SDNN(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 그리고 HF(High Frequency) 파워(Power)값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울기가 3인 1/fluctuation 사운드는 각성효과를 보였다. 기울기 1, 2인 사운드는 이완효과가 있는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1/f fluctuation 사운드의 특성을 활용해 감정 노동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서비스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트레스 관리 시 호흡치료의 이론적 근거와 기법 적용 (Theoretical Bases and Technical Application of Breathing Therapy in Stress Management)

  • 이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04-1313
    • /
    • 1999
  • Breathing is essential for life and at the same time takes a role as a antidote for stress. In the Orient, it was recognized early that respiration, mind, and body have a relation that is inseparable and therefore proper breathing is so important. However, since the mechanism of therapeutic effect by breathing have not been verified, the treatment has been continued till recent years. From that which originated in the Orient, several techniques in the west have been developed to regulate breathing, and have been applying to the clinical situation and to studies, however scientific studies are still lacking. Recently, relaxed breathing has been used as an efficient strategy for breathing therapy as it has an effect on reducing physiological tension and arousal,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a basic technique to control or manage str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which will aid i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etical basics of breathing therapy and its technique, a review of the literative was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Since proper breathing not only has, physically, the important function in supplying oxygen to the body but also gives a good emotional, or pleasant state of mind, it is the first step in controll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2. The basic types of breathing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diaphragmatic breathing(relaxed breathing)’ and ‘chest breathing(stress breathing)’. In yoga type breathing, there are four kinds of breathing, ‘upper breathing’, ‘mid breathing’, ‘down breathing’, and ‘complete breathing’. 3.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positive thera peutic effect of breathing therapy techniques exemplifies good brain function, sufficient air flow through the nasal passages, diaphragmatic movement, light vagal stimulation, CO2 changes and cognitive diversion but in most studies, the hypothesis of CO2 is supported. 4. The technique of breathing is designated with many names according to the muscles and techniques used for breathing, and for control of stress, diaphragmatic breathing(relaxed breathing) is explained as a basic technique best used to manage of stress. 5. The relaxed-breathing includes slow diaphragmatic breathing, breath meditation, nasal breathing, yogic abdominal breathing, Benson's relaxed response, and quiet response.

  • PDF

영상 몰입도에 따른 중간광고 배치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짜증 정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terstitial Position of In-program Advertising based on the Engagement to the Media Contents on Consumer Behavior: Focusing on the Irritatioin)

  • 이류함;고서진;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5-195
    • /
    • 2018
  • 본 논문은 시청하던 영상이 중단되고 광고가 삽입되는 시점에서 유발되는 소비자들의 감정이 광고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시청하던 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영상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짜증을 더욱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느끼는 짜증은 부정적 감정일치 현상으로 인해 광고 제품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편으로는 짜증을 느끼는 시점에서의 고각성 상태는 광고 제품의 브랜드 기억(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간광고가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이끄는 매커니즘으로서 짜증이라는 감정의 역할을 탐구하였으며 짜증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긍정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해당 연구의 폭을 넓혔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중간광고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제품관여(製品關輿)가 소비자(消費者)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Consumer Purchase Process)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101-122
    • /
    • 1998
  • 이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 따라 개발된 관여척도를 적용하여 제품관여가 소비자 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결과, 제품별 분석에서 보다 소비자별 분석에서 '구매전 정보탐색'을 비롯한 구매과정의 행동성향이 관여수준에 더 강하게 의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여수준이 소비자선택행동의 변화를 설명해주는 구조물이며, 제품관여는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되는 정도를 반영하는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동시에, 관여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와 예언에는 관여수준과 함께 관여의 관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 PDF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Nutrient Intake, Exercise Habit of Women

  • Hwang, Bye-Jin;Kwak, Yi-Sub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83-388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how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remenstrual. syndrome (PMS) correlate with the nutrient intakes and exercise habit of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9 women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a 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 (MDQ) for PMS and nutrient intakes. PMS symptom scores of women in their twenties ranked in order of severity were: behavioral change (2.45), followed by pain (2.36) and water retention (2.28), negative effects (2.20), autonomic reaction (1.91), arousal (1.87), decreased concentration (1.76) and decreased control (1.74). For Women in their thirties, the symptom of pain was the most dominant (2.93) followed by autonomic reaction (2.69) and behavioral change (2.54), and for those in their forties, negative effect (3.06) was highest, followed by pain (2.97) and autonomic reaction (2.86). The overall symptoms of PM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20': 2.07 points, 30': 2.34 points, 40': 2.47 points). There was no correlation of the BMI of the subjects with the symptoms of PM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PMS and exercise frequency for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ubjects in their twentie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r PMS symptoms with the intake of carbohydrate (p < 0.05), calcium (p < 0.05) and vitamin E (p < 0.05). For subjects in their thirties, PMS sympto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of calcium (p < 0.05) and vitamin C (p < 0.05); and in women in their forties, calcium (p < 0.01) and carbohydrate (p < 0.05) intak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MS symptoms. This suggests that PMS represents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a nutrient deficiency state, especially calcium. Therefore, we concluded that nutrient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management are likely to be of benefit in relieving PMS symptoms.

소음상황에서 인지적 과제에 의해 유발된 스트레스에 대한 자율신경반응의 기제 (Mechanism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o Stress Produced by Mental Task in a Noisy Environment)

  • Sohn, Jin-Hun;Estate M. Sokhadze;Lee, Kyung-Hwa;Kim, Yeon-Kyu;Park, Sangsup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1
    • /
    • 1999
  • A mental task combined with noise background is an effective model of laboratory stress for study of psychophysiolog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The intensity of the background noise significantly affects both a subjective evaluation of experienced stress level during test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ssociated with mental load in noisy environments. Providing tests of similar difficulties we manipulated the background noise intensity as a main factor influencing a psychophysiological outcome and the analyzed reactivity along withe the noise intensity dimens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ANS responses and the relevant subjective stress scores during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tasks on the background of white noise (WN) of the different intensities (55, 70 and 85 dB). Subjects were 27 college students (19-24 years old). BIOPAC, Grass Neurodata System and AcqKnowlwdge 3.5 software were used to record ECG, PPG, SCL, skin temperature, and respiration. Experimental manipulations were effective in producing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usually associated with stres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potential autonomic mechanisms might be involved in the mediation of the observed physiological responses: A sympathetic activation with parasympathetic withdrawal during mild 55 and 70dB noise (featured by similar profiles) and simultaneous activation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systems during intense 85dB WN. The parasympathetic activation in this case might be a compensatory effect directed to prevent sympathetic domination and to maintain optimal arousal state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n mental stress task. It should be mentioned that obtained results partially support Gellhorn's (1960; 1970) "tuning phenomenon" as a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stress response.

  • PDF

언택트 시대 VR여행콘텐츠가 감정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VR Travel Contents on Emotions in Untact Era)

  • 이영우;주재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538-154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이동의 자유제한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360° VR여행콘텐츠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증실험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실험을 위하여 가설([행복정도], [우울정도], [각성정도]는 VR여행콘텐츠 체험 후 스트레스정도에 영향을 미친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우울정도는 채택되었고 그 외는 기각되었다. 이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행복, 각성 보다는 우울감이 들지 않도록 유의해야 되며, 직접 여행을 가지 못하더라도 언택트 시대 VR여행콘텐츠로 스트레스를 다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VR여행콘텐츠 관람 전보다 후의 감정 상태가 긍정적으로 변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에 위축된 관광업계와 VR제작 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