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eca catechu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Inhibi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elastase activity and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active Plant extracts

  • 이건국;조중재;최중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22
    • /
    • 1997
  • Inhibitory effects of 200 medicinal plants on elastase activity were screened. Among the 200 plants, six plant extracts exhibited more than 65% of inhibition on elastase activity by their total methanol extracts at 1, 000$\mu\textrm{g}$/$m\ell$ as a final concentration. For six active plants including Areca catechu, Cinnamonum cassia, Myristica frograns, Curcumma longa, Alponia katsumadai, and Dryopteris crassirrhizoma,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ir comsituents were examined on the activity of human leukocyte elastase, hyaluronid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lipid peroxidation assay using TBA method, three of the 6 plants including Curcumma longa, Areca Catechu and Alponia katsumadai exhibited more than 70% of inhibition at the concentration of 1, 000$\mu\textrm{g}$/$m\ell$, but only one plant, Areca Ctechu showed high inhibitory effect on hyaluronidase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medicinal plants showing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potent inhibitors of anti-aging process on skin and that might be useful for application in cosmetics.

  • PDF

Antimalarial Effects of Areca catechu L.

  • Jiang, Jing-Hua;Jung, Suk-Yul;Kim, Youn-Chul;Shin, Sae-Ron;Yu, Seung-Taek;Park, 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4-498
    • /
    • 2009
  • The emergence and spread of drug-resistant malaria parasites i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in the tropical world. Useful antimalarial drugs such as chloroquine have resistance in the world now. Moreover, other antimalarialdrugs such as mefloquine, halofantrine, atovaquone, proguanil, artemether and lumefantrine retain efficacy but have limitations, one of which is their high cost. New antimalarial drugs are clearly needed now. Cytotoxicity assay and susceptibility assay were performed for the selectivity of herb extracts in vitro. On the basis of high selectivity, 4-day suppressive test and survival test were progressed in Plasmodium berghei-infected mice. The selectivity of Areca catechu L. (ACL) and butanol extract of ACL (ACL-BuOH extract) were 3.4 and 3.0 in vitro, respectively. Moreover in vivo, 4-day suppressive test showed 39.1 % inhibition effect after treated with 150 mg/kg/day ACL-BuOH to P. berghei-infected mice. Survival test also showed 60% survival rate with ACL-BuOH-treated group while all other group mice died. In this study, ACL and ACL-BuOH were investigated for antimalarial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and they showed a potent antimalarial activity. In particular,ACL-BuOH could specifically lead higher survival rate of mice in vivo. Therefore ACL-BuOH would be a candidate of antimalarial drugs.

진피섬유모세포에서 대복피추출물의 세포외기질 합성 촉진 효과 (Stimul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in Dermal Fibroblasts by Areca catechu Extract)

  • 이민호;김형진;정현아;이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57-1862
    • /
    • 2013
  • 교원질을 비롯한 세포외기질의 생합성을 통해 피부장력과 탄력 등 피부 특성을 제공하는 진피섬유모세포는 피부노화와 함께 활성이 감소되어 주름 형성의 이유가 된다. 따라서 젊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피섬유 모세포의 활성화가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대복피 에탄올추출물이 진피섬유모세포의 세포외기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ELISA, Western blot analysis 및 RT-PCR 등의 in vitro 평가법으로 측정하였다. ELISA와 western blot analysis에서 대복피추출물은 제1형 교원질, fibronecti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의 생성을 촉진시켰고, RT-PCR에서는 COL1A1, TGF-${\beta}1$,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insulin growth factor (IGF)-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복피추출물은 진피섬유모세포에서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천연소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빈랑으로부터 Elastase 저해물질의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astase Inhibitor from Areca catechu)

  • 조중제;이건국;조병기;최정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3-186
    • /
    • 2000
  • Elastase (EC 3. 4. 4. 7)는 구조 단백질인 fibronectin, collagen 그리고 elastin을 포함한 다양한 단백질들을 분해한다. Elastase는 생체 염증 방어의 중요한 성분이며, $\alpha$$_1$-proteinase inhibitor ($\alpha$$_1$PI)와 같은 생체 내부에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 저해제들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만성 염증의 결과, elastase와 $\alpha$$_1$PI 사이의 균형이 elastase 쪽으로 기울어지면 조직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본 연구자들은 이미 피부의 진피내에서 백혈구로부터 과다하게 분비되는 elastase를 저해하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150 여가지의 한방식물 추출물에 대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스크리닝 (screening) 하여, 빈랑 (Areca catecheu)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효성분을 찾기 위하여 빈랑을 9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였고, 각 분획에 대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중 저해 활성이 뛰어난 분획은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Preparative TLC 그리고 역상 HPLC를 실시하였다. 역상 HPLC에서 elastase 저해 활성이 있는 peak은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색 반응과 UV, IR 스펙트럼을 통하여 phenol 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빈랑으로부터 정제한 phenol 성 물질은 돼지 췌장 elastase (Porcine pancreatic elastase : PPE)와 사람 백혈구 elastase (Human neutrophil elastase ; HNE)에 대한 $IC_{50}$/ 값이 각각 26.9 $\mu\textrm{g}$/$m\ell$과 60.8 $\mu\textrm{g}$/$m\ell$로서, 기존에 elastase의 저해제로 알려진 oleanolic acid (각각 76.5 $\mu\textrm{g}$/$m\ell$, 219.2 $\mu\textrm{g}$/$m\ell$)와 ursolic acid (각각 31.0 $\mu\textrm{g}$/$m\ell$, 118.6 $\mu\textrm{g}$/$m\ell$)에 비하여 더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PE와 HNE에 대하여 기질과 경쟁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랑으로부터 정제한 phenol 성 물질이 염증 과정 중에 발생하는 free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free radical을 50% 소거시키는 농도값이 6 $\mu\textrm{g}$/$m\ell$로 표준물질인 비타민 C (19 $\mu\textrm{g}$/$m\ell$)나 butylated hydroxyl toluene (18.5 $\mu\textrm{g}$/$m\ell$)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mast cell내에서 활성화되며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hyaluronidase에 대한 저해를 조사한 결과, $IC_{50}$/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빈랑으로부터 분리한 phenol 성 물질은 피부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을 보호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bove Ground Carbon Stock Through Palm Tree in the Homegarden of Sylhet City in Bangladesh

  • Dey, Anna;Islam, Mahmuda;Masum, Kaji Mohamme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93-300
    • /
    • 2014
  • An explanatory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palm species in carbon sequestration in the homegarden of the Sylhet Metropolitan City Corporation of Bangladesh. Assessment was done by means of two stage random sampling. A total of 10 housing area were selected randomly for the study and 4 common palm tree species were found abundantly. From the observations abundance of palm trees [Areca catechu (175/housing area), Cocos nucifera (145/housing area), Borassus flabellifer (124/housing area) and Phoenix sylvestris (27/housing area)] were found higher in all homesteads in comparison with other species. Study revealed that total organic carbon (MTOC mt/ha) was highest in Cocos nucifera (12.48 mt/ha), followed by Areca catechu (4.20 mt/ha), Borassus flabellifer (3.02 mt/ha) and Phoenix sylvestris (0.59 mt/ha).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stored by palm trees in homestead areas was found 20.28 metric ton/ hector in the study area. Study revealed that palm trees of homestead forest accumulate a good amount of biomass and is a good sinker of organic carbon from the atmosphere. Proper management of palm trees will help to improve the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carbon sequestration.

207종 한약과 활성 한약이 포함된 19종 한약 방제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작용 (The Scavenging Effect of 207 Oriental Medicines and 19 Oriental Prescription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 김민산;허종문;박종철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9-175
    • /
    • 2004
  • The inhibitory effects of 207 oriental medicines and 19 oriental prescriptions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were examined. The most effective oriental medicines were the fruit of Terminalia chebula, followed in order by the seed of Areca catechu, the heart wood of Caesalpinia sappan, the pericarp of Castanea crenata, the seed of Nelumbo nucifera, Rhus galls, the root of Sanguisorba officinalis, and the bark of Betula platyphylla at the concentration of 10 ${\mu}g$/mL. Of the 19 oriental prescriptions, Buyeonsan and Samsinhwan showed the potent scavenging activities of 88% and 71% on DPPH radical at the concentration of 5 ${\mu}g$/mL, respectively.

  • PDF

뇌해마배양조직을 이용한 치매 뇌손상 모델에 대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Investigation of Neuroprotective Effect Using Herb Medicine against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곡경내;김종우;정선용;박지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 medicine against Alzhheimer's disease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Methods: We induced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by $\beta$-amyloid. Those slices were treated with herb medicines - Hwangryeonhaedoktang, Sopungsoongiwon. Using by PI staining, the extents of cell death were assessed. After that, we selected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ose herb medicines and the major components of that medicine were studied to reveal neuroprotective effects and related proteins by using PI stating. Results: In PI staining, Sopungsoongiwon is the best effective herb medicine between Hwangryeonhaedoktang and Sopungsoongiwon. Notopterygii Rhizoma, Corni Fructus, Areca Catechu, Aurantii Fructus Immaturus, Plantaginis Semen is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e components of Sopungsoongiwon. Conclusions: We suggested that purgative effect would be the best effetive medicine on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between clearing heat and toxic materials.

한약재로부터 항보체 활성 다당의 검색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 신광순;권경섭;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42-50
    • /
    • 1992
  • 한약재를 대상으로 용철 보체 분석법$(TCH_{50})$을 이용, 항보체 활성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55종의 시료의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동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70%이상의 $TCH_{50}(total\;complement\;hemolysis\;of\;50%)$의 감소를 일으키는 비교적 강력한 항보체 활성을 소유한 울금, 대복피, 조각자, 화살나무, 가시오갈피, 인동, 부자, 계피 등 9종의 시료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이들은 pronase 소화 후 활성을 유지한 반면, $NaIO_4$ 산화에 의해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그 활성의 본체가 다당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던 대복피(Areca catchu) 다당의 경우 $Ca^{++}$ 이온 부재시 부분적으로 활성의 감소를 보였으며,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시 C3의 분해산물을 면역 전기 영동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는 바, 동 사실로부터 대복피의 보체 활성화 기구는 classical pathway뿐만 아니라 alternative pathway도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천연색소 함유 식물추출물과 플로럴 워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and floral waters from natural plant pigments)

  • 김연순;서화진;박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3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085~3.5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배자, 소목 추출물이 $8.5{\mu}g/mL$, $19.1{\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비교 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의 $10.5{\mu}g/mL$ 만큼 높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오배자, 소목 추출물에서 각각 0.21, 0.12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피해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황련, 황벽천초근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카로이드독을 이용한 약물

  • 박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24
    • /
    • 1993
  • 毒에는 비소, 수은처럼 無機毒과 식물, 동물성의 有機毒이 있으며, 有機毒에는 알카로이드, 배당체, 단백毒 등이 있다. 식물의 알카로이드毒을 중심으로 이것이 어떻게 藥物로서 이용되어 왔는지에 관해 다루었다. Morphine의 발견을 계기로 여러 종류의 식물 알카로이드가 계속 분리되었으며, 藥의 탐구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Morphine은 우수한 진통의 효과를 가졌지만, 흡수억제 및 습관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 Areca catechu L. 의 종자(빈낭자)에는arecoline, arecaidine 등의 piperidine系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Arecoline은 副交感神經 흥분작용이 있고, 침분비 촉진, 比瀉 등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지금은 그 용도가 적어졌다. 그리고 화살독이 되는 毒을 약물로 사용한 것은 Acontium屬 식물이 유일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를 身體四肢關節의 마비, 疼痛의 회복, 대사기능실조의 회복 등의 목적으로 사용해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