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eas of Refug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6초

A Study on a Proposal-scheme for Evacuation Routes Planning at a Large-scale Disaster in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 Mishima, Nobuo;Miyamoto, Naomi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4
    • /
    • 2012
  • Most of the Historic Preservation Areas are very weak to fire disas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a proposal-scheme for evacuation routes planning at a large-scale disaster in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The study area is a preservation area called "Hizen-Hama-Shuku" which has many straw-roofed wooden houses in Kashima city, Japan. To achieve this aim, outline of the scheme is discussed. The proposal-scheme of evacuation routes consists of objectives to propose, target time to evacuate for the refuge place, evaluation method, and procedures. The existing condition and the measures are evaluated using the software "SimTread".

  • PDF

집중 호우에 따른 부유토사 유출 특징 및 주민 대응 -2006넌 7월 강도 인제 지역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ediment Movement and Local Peoples' Countermeasure for Evacuation - focused on Inie areas of Kangwon-do -)

  • 강상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1-17
    • /
    • 2008
  • 토석류를 동반한 수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대책수립을 포함한 종합적인 수해 대응대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인 대응대책 중 인명보호의 차원에서 중요한 피난활동을 중심으로 실제 피난행동을 하기까지의 영향요인을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토석류모의 실험을 통하여 그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토석류 발생에 따른 피해를 줄이는데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Fire & Life Safety Challenges in Sustainable Tall Building Design

  • Li, Fang;Reiss, Marti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1-38
    • /
    • 2013
  • The movement towards sustainable building design can result in unique fire protection challenges and concerns, especially with super tall buildings in relationship to traditional prescriptive code compliance. Different countries haves different code requirements as well as local best practices and may cause conflict with the design features when designing green buildings. These include, but not limited to green roofs, sprinkler water quality and testing, fire department access and areas of refuge with direct or indirect impact by the perspective code compliance. The solutions to these prescriptive code challenges and fire safety concerns can range from simple alternatives to more detailed engineering performance-based design analyses with good solid practice.

어업자원 관리수단으로서의 해양보호구역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ine Protected Areas as Fisheries Management Tools)

  • 채동렬;남수민
    • 수산경영론집
    • /
    • 제42권3호
    • /
    • pp.41-61
    • /
    • 2011
  • Marine protected Areas(MPAs) are specially designated zones of the sea that are designed to secure operation of ecosystem function and to restore marine ecosystem to the original state by excluding all detrimental human activities. MPAs have been proposed in many countries as means of realizing sustainable fisheries and recently MPAs are newly receiving attention as precautionary measure for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PAs as fisheries management tools through a wide range of literature analysis and to suggest necessity of fisheries purpose of MPAs in Korea. Establishment of marine protected area can accompany various economic benefits such as restoration of marine environment, preservation of habitats, promotion of marine tourism and so on. Especially, a lot of case studies suggested that MPAs may bring out benefits to the fishing industry as a result of enhanced stocks. Fisheries benefits of MPAs on targeted species include increased abundance, increased mean individual size and age, increased reproductive output, enhanced recruitment inside and outside refuge, maintenance of genetic diversity of stocks, and enhanced fishery yields in adjacent fishing grounds, so called spill-over. MPAs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coastal wetland have been applied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however, the Korean MPAs system is still detective due to absence of fisheries purpose MPAs. Finally, suggestions for Korean MPA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our recommendations; to establish number of small-scale MPAs rather than few large MPAs, to designate island and its surrounding areas as reserve, to consider MPA design with stock enhancement program, and to undertake co-management with Eochon-Gye, the traditional coastal community in Korea.

Proposing Directions for Urban Design to Improve the Inclusiveness of the Port Hinterland

  • Ah, Hwang S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42-53
    • /
    • 2021
  • The port space can be considered to be the spac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 city are best expressed. Also, since it acts as a representative gateway along with the airport, it can have a direct impact on the image of the region and country. However, the harbor hinterland has been a refuge during the war in the past, and it has been concentrating on development related to the port industry; hence, it has a poorer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ensure equal development in space and equal access to basic urban services, urban design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the harbor hinterland based on the concept of an inclusive city'. To this end, through factor analysis, urban planning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design were derived, and through PLS(Partial Least Square)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experts, urban design directions for the port hinterland were presented. The study site was Gamcheon Port, one of the Busan Ports in Korea, the hinterland of Gamcheon Port was a high slope,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relatively poor due to the dense concentration of older residential areas.

유역 상류지역의 개발이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Runoff Discharge by Developing in Upper Area)

  • 강상혁;김경남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47-158
    • /
    • 2007
  • 강원도 지역은 매년 다양한 재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는 이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집중호우는 막대한 피해와 더불어 우리사회의 많은 교훈을 남겼다. 지역방재계획에는 강우사상에 따른 피난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나 실제 상황에서는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재해복구에 있어서도 원상복구에 그치고 있어 재해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그대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개발이 수문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영동지역 5개 초본 수종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5 Herb Species in Youngdong Areas)

  • 이해평;이시영;박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90-2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에서 자생하는 초본류 가운데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를 대상으로 발화점시험기, 콘칼로리미터, 연기밀도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연소특성을 고찰하였다. 발화온도 범위는 $400{\sim}455^{\circ}C$로 확인되었으며 착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방아풀은 가장 많은 열량을 방출하였고, 김의털은 가장 많은 연기를 방출하였으며, 칡과 엉겅퀴는 가장 많은 CO와 $CO_2$를 방출하였다. 따라서 산불발생 시 방아풀은 열방출량이 많아 산불강도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김의털, 칡, 엉겅퀴는 다량의 연기와 CO, $CO_2$가 방출됨에 따라 피난이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서부 영화에서 황야의 재현에 대한 미학적 해석 (Representation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0
    • /
    • 2013
  • 이 연구는 서부 영화에서 황야를 재현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학적 특성을 해석한다.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영화 장르로서, 시각 재현 매체가 자연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의 원형을 보여준다. 서부 영화는 먼저 동부의 황야를 배경으로 제작되다가 이후에 서부의 황야를 포착하였고, 경관의 물리적 특징에 적합한 재현 방식을 통해 독특한 미적 특질을 조직하였다. 서부 영화에서 황야는 카메라에서 먼 거리에 위치하여 시각적 관조의 대상으로 재현되었다. 동부의 숲 경관의 재현은 허드슨 강 화파의 회화 양식의 영향을 받았고, 초월적 숭고의 미학을 구현하였다. 서부의 반건조지대의 재현에서는 높은 지대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하향적 시선이 등장하였고, 이때의 황야는 버크가 정의한 숭고의 특질을 보여준다. 서부의 사막은 한편으로 지면 높이에서 포착되어 지평선이 부재하고 무한함이 강조됨으로써 불모지로서의 황야를 표상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모뉴먼트 밸리는 장엄한 규모와 오랜 시간성의 측면에서 숭고함의 범주에 포섭되고, 광활한 사막에 지평선과 함께 시각적 상징물로서 재현되었다. 서부 영화의 황야 재현 방식에서는 안전한 거리를 두고 경관을 관찰하려는 인간의 생물학적 욕구인 조망과 은신의 관계가 발견되고, 이러한 점에서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의 구성 방식에 관한 원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대규모 국제행사장의 경호경비계획에 관한 연구: 인천 아시안게임 K경기장의 피난안전성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curity Plans At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 Halls: Focusing on Assessment of Escape Safety of K Stadium for The Incheon Asian Games)

  • 박남권;이영주;윤명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30호
    • /
    • pp.7-32
    • /
    • 2012
  • 한국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다. 국제행사 경기장은 다중이 운집하는 장소로 다양한 원인에 의한 위기 발생 시 관람객의 대규모 피난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장의 안전시스템 붕괴로 인한 대규모 피난 시 관람객의 피난행동 예측 및 피난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3개의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 및 제안사항을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경기장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위기 발생 시를 상정하여 관람객의 대규모 피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세워져야만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경기장에 대한 경호경비계획에서 피난출구의 감소는 비상시 피난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재확인이 되었으며, 이는 피난출구 확보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셋째, 차단된 피난출구로 인하여 피난인원의 분산, 집중되는 과정에서 체류지역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한 경호경비계획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PDF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 - (Changes in the Number of Urban Park User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ime Series Big Data Analysis)

  • 박인권;정이레;오다원;정예림
    • 지역연구
    • /
    • 제37권2호
    • /
    • pp.17-33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 확산 및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이 공원 이용자 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대규모 종합도시공원인 올림픽공원과 동일 자치구 내 근린공원 4 곳의 이용자 수와 COVID-19 발생에 관한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서울의 대표적 실내 복합여가공간인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 변화 효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지역 내 위치한 소규모 근린공원은 COVID-19 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발생 이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3~6% 정도 이용자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 상향에 따라 공원 이용변화가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38%가량 감소하였고, 올림픽공원의 경우에는 COVID-19 확산에 따라 평균적으로 1.9% 정도 이용자 수가 감소하였다. 올림픽공원의 원거리 이용자를 나타내는 차량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23%가량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주변지역 이용자 수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COVID-19와 같은 전염병 재난 시 도시공원, 특히 주거지역 내 근린공원은 도시인들에게 주요한 피난처이자 여가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의 적절한 공급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