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e Regeneration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2초

쇠퇴지역의 유형에 따른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 대전광역시 쇠퇴지역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declining area - Focusing on the declining area in Daejeon -)

  • 박소연;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84-4991
    • /
    • 2015
  • 성장에 중점을 둔 도시정책은 도시 내 쇠퇴지역을 발생시켰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도시재생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쇠퇴 실태의 정확한 진단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측면별 평가를 통해 도시재생 전략과 사업의 문제점 수정, 보완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쇠퇴지역을 유형별로 도출하고, 쇠퇴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계획요소로 평가하여 지역의 유형별 쇠퇴양상에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전시의 19개 쇠퇴지역 모두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적용 정도가 '보통' 이하로 나타나, 도시재생사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덕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쇠퇴유형에 대응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물리적 도시재생사업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쇠퇴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도시재생사업의 발굴과 통합적, 지속적 도시재생 노력이 필요하다.

정체·쇠퇴원인에 따른 국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중요도 설정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Setting of Activation Elements in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Regeneration Consequent on the Cause of Stagnation or Decline)

  • 김중재;이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7-119
    • /
    • 2016
  • 국내 관광지는 현재 230개소가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 조성, 운영되고 있으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중 30% 이상이 정체 쇠퇴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지를 운영, 관리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체 쇠퇴하고 있는 관광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관광지 재생을 위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내 정체 쇠퇴 관광지의 정체 쇠퇴 원인을 기준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 분석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관광지 재생의 합리적 사업 진행을 위해 도출된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우선순위와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로 상위 속성 7개와 하위 속성 23개, 세부요소 66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활성화 요소를 활용하여 향후 관광지 재생사업을 시행할 때 합리적 의사결정과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정체 쇠퇴하고 있는 국내 관광지가 지속가능성을 가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 관광 사업에 대한 무분별한 관광개발을 막고 관광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 역할을 기대해 본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남해군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 Focusing on the Namhae-gu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

  • 정치훈;이소영;주희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30-37
    • /
    • 2021
  • The way to check wheth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is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relevant to the proje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selecting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Namhae-gun residents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is, after examining whether the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well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Namhae-gu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result, in the case of the resident group, satisfaction with security and landscape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the entire project. In addition, publicity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d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and other neighborhood reliability, urban regeneration-related education, and meetings had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In the case of the merchant group,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entire project increased when the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rela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that is, factors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did not affect satisfa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local parts of Namhae-gun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gresses, can be further expanded to the holistic county level.

도시형 상가주택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구시 북성로 근대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 Focused on the Modern Architecture in Daegu Buksungro -)

  • 도현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5-42
    • /
    • 2015
  • This study is about Urban Commercial Housing among Modern Architectural assets in Buksungro (one of the 4 Roads of Rampart in Junggu, Daegu), the main stronghol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Commercial business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Urban Housing that is accelerat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ertainly caused the Urban Commercial Housing, and in the downtown of Daegu, with the Urban Hanok and Commercial Hanok, Commercial Housing based on Machiya, Japan has appeared. The study about Commercial Hanok and Machiya, Japan already existed, but there were no Comparative Study about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remaining in Ko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dern times' Commercial Housing in Buksungro, Daegu, with the Japans' Commercial Housing.

라빌레뜨 이후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폴리 프로젝트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s of Folly Projec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Parc de la Villette)

  • 강효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44-152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how folly is experimented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fter 30 years when Bernard Tchumi first introduced it to the public by the modern transformation as a garden ornament. First, folly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general concept of energizing dwindling cities. However, it has changed to the direction of adding specific programs. Also, along urban regeneration that does not change deterioration of previous structures, Folly changed in the emphasis on readjust existing structure. Second, by having different designers presenting their own follies during the Osaka Expo, folly now has part on visual exhibition element. This has similarity with public art project, yet it could more actively intervene for urban regene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environment sculpture. Third, folly is experimented as the event-installation art combined form of architecture and art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the space and enjoy art. Fourth, folly enabled the landscaping of architecture and expanding city planning. Recently Gwangju Folly invited various arts, social, and cultural professionals to converge city design with architecture, landscaping, and other diverse genres.

베를린의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근린재생(QM)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Neighborhood Management(QM) Program for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Blocks in Berlin)

  • 유해연;박연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69-3982
    • /
    • 2014
  • 본 연구는 노후주거지의 근린재생 정책 및 새로운 계획방향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를 앞서 진행하고 있는 독일, 베를린의 근린재생프로그램(QM)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향후 국내 노후 저층주거지의 근린재생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독일의 지역재생 정책과 현황을 고찰한 후, QM프로그램의 전략, 자금지원 및 활용계획, 프로그램 적용지역, 지역선정 기준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한 후 국내 주거지 재생과 관련된 주요 사례를 분석하였다. 현지조사, 면담 및 이론연구가 병행되었다.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독일 루르지역의 주(州)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Focused on the case of Ruhrgebiet, Germany-)

  • 박종기
    • KIEAE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75-86
    • /
    • 2013
  •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econom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 namely Post-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80's, old industrial cities in western europe faced a severe urban crisis such as high unemployment rates, demographic decline, urban slums, lack of infrastructures and economic shocks. In order to overcome their urban decline, They had to attempt to find a creative re-modelled and re-imaged Urban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future. Thus Urban Regeneration has been a serious issue of debate in europe. First of al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have played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Post-Industrial cities and region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by analyzing successful overseas case "Landesgartenschau in Ruhrgebiet, Germany, where has been changed from an old industrial city to a Culture-Service- based City significantly over last several years. It's inner-city old industrial areas with amount of derelict under-used industrial Heritages have been remodelled and reimaged to a creative and attractive public spaces involving Arts and cultural activity by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Strategy, namely, "Landesgartenschau".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 모색 - 도시재생 뉴딜 선정사업(2017-2019)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 and Promotion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2017-2019) -)

  • 이정희;윤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96-109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전략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존재 가치를 세부사업 유형별로 확인하고자 출발하였고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여 그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뉴딜사업 중 공원, 정원, 조경, 쉼터, 숲, 녹화, 식재, 꽃 등의 용어가 사업내용에 포함된 총 822개소를 대상으로 유형별 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현황과 선행연구 분석, 문헌조사, 활성화 계획보고서, 사업주체별 인터뷰 등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업유형에 따른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구분하여 도표화하였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적 특성을 사업유형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확인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역할과 참여 양상은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사업의 유형별 전제 조건과 사업의 추진 주체, 사업별 재생전략의 방향 및 차별성, 주민의 참여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조경의 참여 행위가 변화된 의미와 역할로 변화, 확대되고 있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확대된 참여방식의 변화와가치는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전적 의미로 조경 가치가 사업유형에 따라 실체적 양상이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에서활용될수있는재생의 전략적, 실천적 수단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가치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경의 참여 증진을 위해서는 형태와 장소(form & place)적 측면의 공원 조성 등 하드웨어적 사업위주의 참여에서 사업별 도시재생 전략에 따른 참여방식의 변화를 통한 다양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적 사업의 과정(process)적 측면에서도 체험 및 활동프로그램으로 주민들 간 공동체 의식함양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조경의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의 주체로 조경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실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증진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도시재생의 계획과 실천적 영역에서 조경적 특성을 활용한 참여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소도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유지관리 연구 - 주거지역 집계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Small and Medium Cities Using Spatial Big-Data - Focused on the Residential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1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the city by utilizing the physical decline status and floating population in small and medium cities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it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lexible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A total of thre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Building data, floating population data, and census output area data were used. Building data and floating population data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The graded data were joined to the census output area data and analyzed by overlapping the two data. As a result of analysis of 17 residential areas in 5 small and medium cities in Jeollanam-do, 4 types, 2 management models, and 4 indicators could be presented by grad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plan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maintenance management plans and projects through the typology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is an important step in the bottom-up form.

An Interpretation of the Urban Folly in Gwangju, South Korea Through the Lens of Contextual Novelty

  • Lee, Min Jung;Lee, Dong-Eo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57-164
    • /
    • 2016
  • Urban regeneration, which implies a certain type of change from what has previously existed, requires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previous problematic ways of thinking for a meaningful change, as well as a new philosophy that is thought to support that change. This means a change in philosophy is needed to discuss 'newness' in urban regener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the philosophies which shaped traditional cities as well as a philosophy that may be able to suggest changes to contemporary cities. This paper further proposes contextual novelty as necessary to pursue. This contextual novelty does not deny modern cities' problems but embraces them and carries them into contemporary cities. Arguing for qualitative novelty, this paper argues that contextualism, which explores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ors of a given event, can help u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ities' heterogenic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novelty in contemporary discourse of urban regeneration by using the philosophy of contextualism. Finally a recent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city of Gwangju, South Korea is interpreted using the concept of contextual nove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