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al Design Studio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s a Formative Design Education)

  • 최동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23-4628
    • /
    • 2010
  • 본 논문은 대학의 건축설계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디자인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건축설계 교육모형과 이를 적용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모형과 건축설계수업은, 조형 표현력과 조형이론의 학습, 그리고 기본기능의 훈련과 같은 기초디자인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업의 각 과정이 단계별 완성도를 갖고 연속되고, 심층적 발전의 형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기초교육으로서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 계발이라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모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ustomization and Autonomy :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Design Studio Instructor in Design Education

  • Cho, Ji You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23-132
    • /
    • 2013
  • Design studio is a unique type of course i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education, in which learning is based on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ing by doing; ye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 perceptions of the ideal design studio instruct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studio instructor from student perspectives. Three award-winning design studio instructors' studio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the three instructors and their 40 student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characteristics in four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author argues that providing customized feedback and allowing student autonomy are the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students value in design studio as compared to students in other fields or type of courses.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design educators who would like to strengthen their teaching studios by listening to student voices.

인터넷 기반 가상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하이브리드 건축 협업 설계 방법론에 관한 연구 (An Internet-based Hybrid Design Methodology for Collaborative Virtual Design Studio)

  • 박재완;최진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158-164
    • /
    • 2003
  •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much influence on architectural design. Collaboration beyond time and space has been possible by networking the work environment and digital products. Thus, the virtual design studio on architectural design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virtual design studio methodology for effective collaboration. The building design process and the communication model are studied and possible modes of design collaboration are defined. This paper proposes an internet-based Virtual Reality(VR) communication tool as well as new design methodology that we call the 'Hybrid Design Methodology'. We expect that this design methodology will dramatically increase design feedbacks, and thus results in better design alternatives. There are two issues involved in developing the collaborative virtual design studio: 1) an intuitive interface that presents collaborative relations, and 2) three-dimensional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ool using sketch as a modeling method. Further research issues identifi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include developing algorithms that translate mapping images to polygons for the drafting phase in the design process.

BIM도구를 이용한 건축설계 교육방법 연구 (The Study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method on BIM tools)

  • 고인룡;오형석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3-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architectural studio in university to implement BIM process. There have been several BIM education methods occurred in school, but most of them are not successive courses but independent events. To integrate BIM into architectural curriculum successfully, it needs continuous and gradual approach. This study is proceeded by the research of precedent and analysis of key factors in foreign school program. Also fundamental objectives of the current domestic architectural curriculum are categorized to match the BIM process and functiona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w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process integrated with milestone of BIM tool is proposed.

BIM을 이용한 건축디자인 교육의 실험연구 (The Experiment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by means of BIM)

  • 김용일;양관목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43
    • /
    • 2012
  •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in university-based design studio suggests that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vites the adoption of a dramatically different design process, traditional design process and BIM-aided design process. Experiment method is used the actual experiment by students. In contrast to traditional design process rooted in successive refinement of abstractions and dependence on tacit knowledge, the studio BIM-aided design process depends on a complete and comprehensive date base and alterative solutions by complete analysis for helping choice of finial result. BIM viewed as provocateur of design education provides great potential for the critical analysis of how architectural design is taught. The results reflect new ways of teaching and addressing BIM methods and process in the design studio project.

BIM을 적용한 건축설계 수업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Using BIM)

  • 민영기;정광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3-4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curriculum for architectural studio in university to implement BIM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vantages of the BIM tool.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 study of only half year a single university. University education in the design process, the design that can be used in applying BIM content should be universal, university education considering the special working conditions, excessive BIM-based application can be difficult. Therefore, a systematic and reliable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education applies BIM design process is necessary to establish. University education applying BIM design review and design proposal the various 3D visualiz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to determine. In addition, the planned representation for thinking about and drawing 3D model building, architectural space can be used for visualization, and other subjects in conjunction with structural analysis, environmental analysis, facility layout, etc. can be used.

Exploring Integrated Design Strategies for the Optimal Use of BIM

  • Park, Hyoung-June;Lee, Ji-Hyu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14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an experimental design studio that explores the optimal use of current digital technologies in order to emplo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t the early phase of design process. Based upon the outcomes from the aforementioned studio, the paper discusses the integrated design strategies for BIM in the design process. In this paper, BIM is proposed as a design tool that increases an overal design productivity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ompared to BIM as a construction tool with encouraging a design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partakers in the design process.

건축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 제안 (A Digital Design Curriculum Model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김명선;최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14-5320
    • /
    • 2011
  • 현재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기술매체는 새로운 디자인 매체로 재인식되어 설계 커리큘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산업적으로도 비정형 설계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디자인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진보적 건축 그룹들이 등장해서 실질적인 디지털 설계교육으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국내 설계교육에서도 디지털 관련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기존 설계스튜디오를 보조하는 교과과정으로 운영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국내의 설계교육에서도 실무분야의 디지털 설계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모델이 제시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더불어 건축설계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설계의 이론적 고찰과 교육 사례 고찰을 통해 건축설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설계스튜디오의 특성에 따른 실내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Interior Spac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4-463
    • /
    • 2013
  • 본 연구는 건축학과 설계스튜디오 운영실태와 사용자 인식의 분석을 통해 설계스튜디오 실내공간에 대한 개선요소를 제안하였다. 공통적인 개선사항으로 첫째, 개인공간의 명확한 구획이다. 개인공간의 독립성과 영역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가변파티션(movable partition)을 통해 획일화된 구성보다 분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개인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선호했다. 둘째, 공동공간 면적의 확보이다. 공동작업공간은 스튜디오내 유일한 공동공간으로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만큼 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면적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명확한 공간 구분이다. 이를 위해 주어진 면적에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파티션, 공용통로 등의 융통성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유형별 스튜디오의 주요 개선사항으로 개실형은 공동작업 공간 확보, 혼합형은 인접스튜디오의 간섭차단, 오픈형은 수업공간의 별도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조경교육에 있어 학습자 중심 스튜디오 수업의 쟁점 (Issues of Learner-Centered Studio Cl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9-156
    • /
    • 2015
  •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조경전문가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스튜디오 교육은 조경학과 교과과정에서 실천적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실무현장과 대학교육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는 스튜디오 수업의 의미와 주요 쟁점을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하여 스튜디오 수업을 재정비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경의 외부적, 내부적 여건 변화와 교육의 관계성을 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스튜디오 교육을 학습자의 관점에서 고찰하며, 조경교육의 변화를 추적하여 현재 우리나라 조경 스튜디오 수업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스튜디오 교육을 진단하기 위한 다섯 가지 쟁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역량에 대한 총체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두 번째로 전체 교과과정에서 스튜디오 과목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이론과목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재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설계 스튜디오의 의미를 되짚어 학년별 차별화 전략을 도입할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네 번째로 스튜디오 방법론의 연구와 실천을 통한 실질적인 수업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튜디오의 현장성 강화 및 다양성 확보 전략 수립과 기반시설의 확충과 관련한 문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