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abinose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32초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Complement Polysaccharide from Spirodela polyrhiza

  • Min, Jin-Gi;Lee, Doo-Seog;Park, Jeong-Heum;Heo, Moon-Soo;Kim, Tae-Jin;Shim, Kil-Bo;Cho, Young-J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21-28
    • /
    • 2004
  • We purified and characterized a crude polysaccharide from Spirodela polyrhiza with anti-complement activities. The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P-0) which had potential anti-complement activity was extracted in hot water for 4 hrs at 10$0^{\circ}C$. The ethanol-precipitate, the crude polysaccharide traction (SP-1), showed a potent anti-complement activity. Further purification of the crude polysaccharide (SP-1) was carried out by cetavl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column chromatography. Among cetavlon fractions, SP-4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mplement activity. When 100 $\mu\textrm{g}$/mL of SP-4 was incubated with an equal volume of normal human serum (NHS), the TCH$_{50}$ was reduced by about 78%. When the SP-4 fraction was further purified by DEAE-Sepharose (Cl$^{[-10]}$ ), the SP-4IIa, SP-4IIb and SP-4IIc, absorbed fractions, were almost the same as the anti-complement activities of SP-4. SP-4IIc, having the greatest potential activation and the highest yield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further purified by gel column chromatography on a Sepharose CL-6B column. Four polysaccharide fractions of SP-4IIc-1, SP-4IIc-2, SP-4IIc-3 and SP-4IIc-4 were obtained, consisting mainly of arabinose, rhamnose, galactose and glucose, with approximate molecular weights of about 305,000, 132,000, 64,000 and 12,000, respectively. Among these subfractions, SP-4IIc-1 had the most potent anti-complement activity. When the SP-4IIc-1 aggregate was applied to a gel column chromatography in 10 mM and 50 mM NaCl solution, the position of the peak fractions shifted to a low molecular weight region, and the molecular weight of SP-4IIc-1 decreased with increased NaCl concentration in the gel column chromatography. It was found that the self-aggregation formed spontaneously in void volume by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Sepharose CL-6B in water and the self-aggreg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anti-complement function.

흑액 유래 유기산의 Escherichia coli MG 1655 성장에 미치는 영향 탐색 (Effect of Organic Acids Derived from Black Liquor on Growth of Selected Escherichia coli MG 1655)

  • 문준관;엄병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58-767
    • /
    • 2014
  • 본 연구는 펄프 흑액 내 포함된 아라비노스를 당기질로 대사할 수 있는 대장균 균주인 Escherichia coli MG 1655를 선별하고 흑액 유래 유기산(초산, 포름산, 및 젖산)이 선별 균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서로 다른 유기산 농도 및 유기산 조합에 의한 대장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발효배지 내 다양한 유기산 농도의 조합에 따른 E. coli MG 1665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유기산 포함된 배지에서의 E. coli MG 1665 배양 실험 결과에 의하면 초산 $1.0g/{\ell}$, 젖산 $1.2g/{\ell}$, 포름산 $0.8g/{\ell}$ 조건에서는 유기산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초산 $1.5g/{\ell}$, 젖산 $2.0g/{\ell}$, 포름산 $1.2g/{\ell}$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 조건에서는 E. coli MG 1665의 성장이 강하게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기산들의 혼합된 배지에서는 3종의 유기산 중 포름산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흑액 내 아라비노스를 당기질로 이용하여 높은 발효 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흑액 내 포함된 유기산인 초산, 젖산, 포름산이 각각 최소 $1.0g/{\ell}$, $1.2g/{\ell}$, $0.8g/{\ell}$ 이하로 흑액 내 존재하는 유기산 제거 방법을 개발하거나 높은 유기산 농도에서도 정상적인 성장을 갖는 유기산 내성 균주의 개발이 요구될 수 있다.

천연물로부터의 다당류에 의한 항종양효과에 관한 연구 I. 형광기표지와 HPLC에 의한 당의 분석

  • 김영식;박호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32-132
    • /
    • 1993
  • 정상세포의 암세포로의 전환에 수반하는 세포표면상에 당구조 변화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탄수화물이 세포간의 상호작용, 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당구조 변화를 야기 시키는 당분해소효소나 전이활성 효소의 활성이 주요한 임상적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천연물에서 유래된 다당류 등이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면서 항종양 효과를 보여준다. 이와같은 일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당을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당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된 것 중의 하나가 유도체를 만들어 GC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고 또한 당은 chromophore가 없기 때문에 굴절율의 검출기를 이용한 HPLC에 의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HPLC에 의한 또 다른 방법으로 당의 환원당 말단에 형광기를 결합시켜 감도를 매우 높게하여 역상 칼람을 이용해 당을 분리할 수 있다. 환원당에 결합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대부분 amine기를 띄고 있고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형광기를 결합시켜 전기영동과 HPLC에 의해 동시에 추적이 가능한 물질을 결합시켜서 분석을 용이하게 한 방법을 이용하여 단당류를 $C_{18}$ column에 의해서 분리하였고 또한 모델로서 면역증강제로 사용되는 운지버섯 및 영지버섯 다당류와 생약에서 분리한 지유의 당을 분석하였다. 현재까지의 결과로 가장 좋은 방법은 $C_{18}$-->phenyl column을 연결하여 isocratic 방법으로 분리하였을 때이었다. 버섯의 당은 대부분이 glucose로 이루어졌고 지유는 arabinose가 주 구성성분이었다. 위의 분석 기술을 이용하면 피코몰 범위내에서 정확한 구조를 가진 항암효과의 올리고당 및 암세포의 발현에 따른 당단백질의 당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eonol이 aspirin과 같거나 강한 사망 억제 효과가 있었다.cyclopropyl-7-(2-furanyl) -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4), 1-cycloprop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6) ,1-cycloprop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8), 1-cyclopropyl-7-(2-fluoro-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10^{-7}$ M)에 의한 단백인산화에 대하여는 더 미약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PDE-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2-}$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 PDF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xylan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생산(I) - Xylan의 단리 및 정제 - (Manufactures of Functional Materials by Using Xylan from Agricultural & Forest Residues(I) -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Xylan -)

  • 변지혜;임부국;양재경;장준복;이종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25-33
    • /
    • 2000
  • 본 연구는 농산 및 임산폐자원을 폭쇄처리한 후 xylan을 단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과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으로는 볏짚, 보릿짚 및 신갈나무를 시료로 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화학 조성을 살펴보면, 볏짚 및 보릿짚에서의 추출물 함량과 무기물 함량은 신갈나무보다 약 10~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폭쇄전처리는 20kgf/$cm^2$의 압력에서 3, 6분처리 하였다. 폭쇄처리된 시료의 리그닌 함량은 폭쇄처리 전보다 약 3~22% 정도 높게 났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한 xylan 단리를 시도하였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해서 단리된 xylan의 형태를 살펴보면, 열수추출로 단리된 xylan은 소당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차적으로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으로 단리된 xylan을 5% 수산화바륨 용액과 에탄올 적하법으로 정제를 시도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제된 xylan의 xylose 함량은 약 85% 이상이었지만, 기타의 당류들이 존재하였다.

  • PDF

VPP (Value Prior to Pulping)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Using By-product of VPP (Value Prior to Pulping))

  • 이재원;김혜연;;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561-567
    • /
    • 2010
  • 본 연구는 diethyl oxalate 처리로부터 얻어진 가문비나무 가수분해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생산에 적합한 조건을 탐색하였다. 가문비나무 가수분해산물의 단당류 분석 결과 아라비노오스를 제외한 발효가능한 당 농도 는 29.04 g/${\ell}$이었으며 가수분해산물에 포함된 올리고머로부터 분해된 단당은 대부분 만노오스(39.26 g/${\ell}$)와 갈락토오스(12.83 g/${\ell}$)가 차지하였다. 발효저해물질인 5-HMF, furfural의 농도는 각각 0.09 g/${\ell}$, 0.04 g/${\ell}$, acetic acid는 1.4 g/${\ell}$, total phenolic compounds는 2.83 g/${\ell}$로 나타났다. 가수분해산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최적 pH는 6.0으로 발효 48시간 후 11.7 g/${\el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시간당 에탄올 생산량은 pH 5.0와 5.5에서 0.15 (g/(${\ell}^*h$))로 나타났으며 pH 6.0에서는 0.24 (g/(${\ell}^*h$))로 나타났다. 시간당 생성된 에탄올 생산량은 에탄올 발효 초기 pH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가수분해산물에 xylanase 20 IU를 첨가하여 올리고머를 분해한 후 발효를 실시한 결과 48시간 후 14.3 g/${\el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이것은 xylanas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에탄올 생산량이 22.2% 증가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마의 산 가수분해와 에탄올 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cid-hydrolysi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Laminaria japonica)

  • 나춘기;송명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41-148
    • /
    • 2012
  •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대체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갈조류인 다시마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 가수분해와 에탄올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산 가수분해는 발효 가능한 당류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에탄올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최대 환원당 생산량은 묽은 황산(1.0 N)을 이용하여 $130^{\circ}C$에서 6시간 가수분해하는 조건에서 다시마 건조무게 기준 135 mg/g이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ATCC 24858)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와 같은 $C_6$-당을 에탄올로 발효시킬 수 있지만 아라비노오스나 자일로오스와 같은 $C_5$-당은 에탄올 발효기질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최적 발효시간은 글루코오스 48시간, 갈락토오스 72시간, 만노오스 96시간으로 단당류에 따라 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35^{\circ}C$에서 96시간 발효를 통해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탄올 생산량은 가수분해물 중의 총환원당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생산량에 비해 4배 정도 높은 다시마 건조무게 기준 242 mg/g에 달하였다. 이는 가수분해물에 용존되어 있는 비환원당과 올리고당류들이 에탄올 발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가수분해 용액 대비 다시마의 주입비율을 1에서 5%(w/v)로 증가시킴에 따라 에탄올 농도는 2.4에서 9.2 g/L로 증가하는 반면 단위무게당 에탄올 생산량은 242에서 185 mg/g으로 감소하였다. 다시마의 에탄올 생산성은 대략 7,400~9,600 kg/ha/year 정도로 평가되어 다시마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천연식물류를 첨가한 약주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Properties of Yakju Brewed with Natural Plants)

  • 신정혜;최덕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24
    • /
    • 2004
  • 천연 식물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용성 페놀화합물은 천연식물 첨가 약주에서 대조군(5.5 mg/kg)에 비하여 약 1.7배 더 높게 정량 되었으며, 잔존율도 47.4%로 더 높았다. 유리당은 대조군에서는 arabinose와 maltose가 각각 16.2, 15.6 mg/100 g 검출된 반면, 천연식물을 첨가한 약주에서는 lactose가 6.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무기물의 함량은 인> 칼륨 > 마그네슘 >칼슘 >철분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철분과 나트륨은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른 함량 차이가 거의 없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였는데 대조군의 경우 숙성 30일에 총 아미노산 함량이 약 72% 감소한 반면 천연식물을 첨가한 약주의 경우 약 6.8%로 감소 비율이 훨씬 낮았다. 약주를 각기 다른 농도로 희석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희석배수가 증가할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전자공여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천연식물류를 첨가한 약주는 숙성 30일까지 희석 배수에 관계없이 95.7∼96.7%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희석배수 및 숙성기간의 경과와 서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SOB 유사활성을 나타낸 숙성 3일째의 천연식물류 첨가 약주의 경우 원액과 2배 희석한 시료에서 각각 51.5, 53.9%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rhamnogalacturonan I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from red ginseng

  • Lee, Sue Jung;In, Gyo;Han, Sung-Tai;Lee, Mi-Hyang;Lee, Jong-Won;Shin, Kwang-S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570-579
    • /
    • 2020
  • Background: Many researchers reported that the various immune activities of red ginseng are due to acid polysaccharides. But, the exac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cidic polysaccharide in red ginseng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refore, we isolated the acidic polysaccharide from red ginseng and characterized the structural property of the active moiety of this polysaccharide, which contributes to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red ginseng. Methods: A polysaccharide (RGP-AP-I) was purified from red ginseng via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using Sephadex G-100. Immunostimulatary activity of RGP-AP-I was investigated via anti-complementory and macrophage stimulatory activity. The structure of RGP-AP-I was characterized by HPLC, sugar composition, β-glucosyl Yariv reagent and methylation analysis. Results: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using RGP-AP-I significantly augmented the production of various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6,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The primary structure of RGP-AP-I was elucidated by assessing its sugar composition and methylation analysis. RGP-AP-I is a 96 kDa acidic polysaccharide, and comprises nine different monosaccharides, which mainly include sugars such as rhamnose (Rha, 9.5%), galacturonic acid (GalA, 18.4%), galactose (Gal, 30.4%), and arabinose (Ara, 35.0%). RGP-AP-I exhibited an considerable reaction with the β-glucosyl Yariv reagent, revealing the presence of arabino-β-3,6-galactan. Methy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RGP-AP-I comprises 21 different glycosyl linkages, such as 3-, 4-, 6- and 3,6-linked Galp; 5-linked Araf; 2,4-linked Rhap; and 4-linked GalAp,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rhamnogalacturonan I (RG-I). Conclusion: we assumed that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RGP-AP-I may be due to the RG-I structure, which comprises a main chain with a repeating linkage unit, [→2)-Rhap-(1→4)-GalAp-(1→] and three groups of side chains such as (1→5)-linked arabinan, (1→4)-linked galactan, and arabino-β-3,6-galactan, which branch at the C(O)4 positions of Rha residues in the main chain of RGP-AP-I.

Trichosporon cutaneum의 균체생육(菌體生育) 및 Lipase 생산(生産)에 미치는 당류(糖類)의 영향 (Effect of Sugars on Cell Growth and Lipase Production by Trichosporon cutaneum)

  • 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105-111
    • /
    • 1977
  • 전보(前報)에 이어 Trichosporon cutaneum의 lipase 생산(生産)에 미치는 당류(糖類)의 영향을 더욱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몇가지 당류(糖類)를 첨가(添加)한 대두분추출액(大豆粉抽出液) 기본배지(基本培地)를 151bs에서 20분간(分間) 살균(殺菌)하였을때 일어나는 pH 및 착색도변화(着色度變化), 착색물질(着色物質)이 균체(菌體)의 생육(生育) 및 lipase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30^{\circ}C$에서 진탕 배양(培養)하면서 배양중(培養中)의 pH 변화(變化)와 균체(菌體)의 생육(生育) 및 lipase 생산(生産)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두분추출액(大豆粉抽出液) 기본배지(基本培地)에 각중당류(各種糖類)를 첨가(添加)하여 살균(殺菌)하였을 때 일어나는 갈변(褐變)은 xylose 첨가구(添加區)가 가장 심(甚)하고 다음이 galactose와 mannose, glucose 첨가구(添加區)의 순(順)이 었고 maltose와 sucrose 첨가구(添加區)는 당무첨가구(糖無添加區)와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2. 살균후(殺菌後)에 갈변(褐變)이 심(甚)한 것일수록 pH가 낮았다. 3. 살균중(殺菌中)에 형성(形成)된 착색물질(着色物質)은 당(糖)의 종류(種類)에 비(比)하여 균체(菌體)의 생육(生育)및 lipase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이 작았다. 4. lipase 생산량(生産量)이 많을수록 균체(菌體)의 생산량(生産量)이이 작았다. 5. 살균중(殺菌中)의 갈변(褐變)이 가장 심(甚)한 xylose 첨가구(添加區)에서는 균체(菌體)의 증식(增殖) 및 lipase 생산저해작용(生産沮害作用)이 약천(若千) 약화(弱化)되었다. 6. 균체(菌體)의 증식(增殖)이 왕성(旺盛)할수록 배지(培地)의 pH가 낮아졌다.

  • PDF

보리잎의 성숙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Leaves During Growth)

  • 김경탁;석호문;김성수;이영택;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1-474
    • /
    • 1994
  • 보리잎을 식품소재로써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보리잎의 성숙시기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보리잎의 크기가 10cm 정도일 때 85.9%, 50cm 정도일 때 78.4%이었고 조섬유질은 각각 5.0% 및 10.8% 정도로 성숙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은 20 cm 크기에서 4.3%로 가장 높았고 회분과 조지방은 성속시기에 띠라 큰 변화가 없었다. 총chlorophyll 함량은 보리잎의 크기가 10cm 및 20cm 정도일 때 각각 1096.3mg%, 1138.7mg%를 나타낸 뒤 점차 감소하였다. 무기질함량은 K>Ca>P>Na>Mg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보리잎의 크기가 10cm 정도일 때 K 2354mg%, Ca 402.9mg%, P 394.6mg%, Na 367.3mg%, Mg 158.9m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Vitamin C의 함량은 보리잎의 성숙이 진행되면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10cm, 20cm, 35cm, 50cm일 때 각각 245mg%, 564mg%, 406mg%, 369mg%이었다. 보리잎의 유리당은 arabinose, glucose, fructose, sucrose, raffinose 및 kestose 등의 당이 검출되었고 이 중 glucose. frutose 및 sucrose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유리당 함량은 성숙중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숙시기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는 각 아미노산마다 일정치 않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1068.5mg%, 969.2mg%, 657.4mg%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