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insec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생물 군집의 회복력 및 저항력 : 하천생태계 건전성 평가를 위한 응용성 (Resilience and Resistance of Biological Community : Application for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ment)

  • 노태호
    • 환경정책연구
    • /
    • 제1권1호
    • /
    • pp.91-110
    • /
    • 2002
  •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s an emerging concept regarded a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evaluating ecosystems. The stability of ecosystem is the main theme in the assessment. Generally, two components - resilience and resistance - are involved in the mechanism of ecosystem stability. In this study, relative degrees of the resistance and the resilience were quantified for most aquatic Insects Inhabiting running waters in Korea. A total of 34 groups were newly categor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conceptual model has been produced. The model was applied for the aquatic insect communities inhabiting different streams and demonstrated that each stream ecosystem possessed different degrees of stability.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it was possible to compare stabilities of different ecosystems using relative degrees of resilience and resistance. Using the conceptual model, suit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could be recommended in ecological assessments. The model can be used as a stepping-stone for developing more comprehensive methodology that objectively diagnoses and evaluates the ecosystem stability.

  • PDF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교란정도가 다른 연못의 수서곤충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Fauna in Differently Disrupted Ponds Located in Gungdaeoreum, Jeju)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33-441
    • /
    • 2020
  • 본 연구는 교란 정도가 다른 정수역 연못에서 수서곤충 분포 특성을 이해하고자, 2018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3곳의 인공연못(연못 1, 2, 3)과 2곳의 자연연못(연못 4, 5)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목 15과 50종의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잠자리목 4과 14종, 850 개체, 노린재목 6과 14종, 4,391 개체, 딱정벌레목 4과 22종, 2,014 개체가 확인되었다. 수서곤충의 개체수와 종의 수는 상대적으로 기존 동식물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잘 조성된 자연연못에서 인공연못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공연못의 경우도 수초 등을 도입하여 재조성한 경우 개체 수와 종수가 회복되는 현상을 보였다(연못 1). 잠자리목 유충은 포식자인 대형 어류가 존재하지 않고 성충의 진입이 차단되지 않는 연못에서는 다수 발견되었다. 노린재목의 경우 식식성인 물벌레과의 곤충들이 전체적으로 많이 발견되었으며, 딱정벌레목은 식물생태계 분포에 따라 물진드기과의 개체수에 영향을 받았다. 이렇게 수서곤충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형과 수생식물을 통한 은신처와 포식자의 존재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잠자리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결과는 향후 습지를 복원 및 인공 습지를 조성하거나 종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갈수기 영월 한반도지형 습지 주변 유수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Yongwol West River Tributary)

  • 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33권3호
    • /
    • pp.330-337
    • /
    • 2015
  • 춘계 영월 한반도습지 주변 유수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 연구를 위하여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3개 정점에서(정점 1: 영월 서강, 정점 2: 평창강, 정점 3: 주천강) 4회의 동물플랑크톤 시료를 채집하였다. 총 58종류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27종의 윤충류, 18종의 지각류, 8종류의 요각류, 4종류의 수서곤충 유생 및 한 종류의 선충류로 이루어져 있었다. Alona속의 종들과 같은 씨물벼룩과에 속하는 지각류가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정수역 대표종들인 물벼룩과와 긴뿔물벼룩과의 지각류가 미출현한 것은 조사 수역의 유수성을 보여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정점 3에서만 입방미터당 4,451~ 8,011개체로 높았고 나머지 정점들에서는 500개체를 넘지 않았다. 정점 1에서 3월부터 6월까지는 수서곤충의 유생이 우점하다가 7월에는 지각류와 요각류의 우점으로 천이가 이루어졌으며 유사한 천이가 정점 3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정점 2에서는 이러한 천이가 없었다. 종다양성지수는 3월을 제외하면 정점 1에서 항상 높게 나타났다. 조사 기간 내내 높은 용존산소량은 ($9.0{\sim}11.0mg{\cdot}liter^{-1}$) 산간 계류의 특성을 보이는 것이며 수온은 3월에 $10.1^{\circ}C$에서 7월에 $27.9^{\circ}C$로 서서히 증가하였고 높은 pH는 (7.9~ 8.9) 조사 수역 주변의 석회석 광산과 시멘트 공장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A Repetitive Secretory Protein Gene of A Novel Type in Hydropsyche sp. Is Specially Expressed in the Silk Gland

  • Eun, Jai-Hoon;Goo, Tae-Won;Park, Kwang-Ho;Yun, Eun-Young;Hwang, Jae-Sam;Kang, Seok-Woo;Han, Sung-Sik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153-154
    • /
    • 2003
  • Trichoptera, or caddisflies, comprise one of the major aquatic insect orders. Like Lepidoptera, caddisflies are capable of spinning silk from specially modified salivary glands, and the diversity of ways this silk is used probably accounts for the success of the order as a whole. These utilize silk to construct both larval and pupal shelters, often incorporating materials from the environmental among the silk thread.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and characterize novel type genes that should be translated to major component protein of aquatic silk. (omitted)

  • PDF

Fine structure of the silk spinning system in the caddisworm, Hydatophylax nigrovittatus (Trichoptera: Limnephilidae)

  • Hyo-Jeong Kim;Yan Sun;Myung-Jin Moon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6.1-16.11
    • /
    • 2020
  • Silk is produced by a variety of insects, but only silk made by terrestrial arthropods has been examined in detail. To fill the gap,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silk spinning system of aquatic insect. The larvae of caddis flies, Hydatophylax nigrovittatus produce silk through a pair of labial silk glands and use raw silk to protect themselv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although silk fibers are made under aquatic conditions, the cellular silk production system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errestrial arthropods. Typically, silk production in caddisworm has been achieved by two independent processes in the silk glands. This includes the synthesis of silk fibroin in the posterior region, the production of adhesive glycoproteins in the anterior region, which are ultimately accumulated into functional silk dope and converted to a silk ribbon coated with gluey substances. At the cellular level, each substance of fibroin and glycoprotein is specifically synthesiz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then transported from the rough ER to the Golgi apparatus as transport vesicles, respectively. Thereafter, the secretory vesicles gradually increase in size by vesicular fusion, forming larger secretory granules containing specific proteins. It was found that these granules eventually migrate to the apical membrane and are exocytosed into the lumen by a mechanism of merocrine secretion.

GIS와 원격탐사를 활용한 토양학 연구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in Soil Science)

  • 홍석영;김이현;최은영;장용선;손연규;박찬원;정강호;현병근;하상건;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4-695
    • /
    • 2010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being increasingly used for decision making, planning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management because of its analytical capacity. GIS and remote sensing have been combined with environmental models for many agricultural applications on monitoring of soils, agricultural water quality, microbial activity, vegetation and aquatic insect distribution. This paper introduce principles, vegetation indices, spatial data structure, spatial analysis of GIS and remote sensing in agricultural applications including terrain analysis, soil erosion, and runoff potential.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NA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as a spatial database of agricultural soils,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weeds, aquatic insect, and climate data, and established a web-GIS system providing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since 2007. GIS-based interactive mapping system would encourage researchers and students to widely utilize spatial information on their studies with regard to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combined with other national GIS database. GIS and remote sensing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support and make decisions from a national level of conservation and protection to a farm level of management practice in the near future.

Insect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Crude Saponin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Park, Hee-Yeon;Kim, Ji-Young;Kim, Hyun-Ju;Lee, Geon-Hwi;Park, Jin-Il;Lim, Chi-Won;Kim, Yeon-Kye;Yoon, Ho-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5
    • /
    • 2009
  • Crude saponin, extracted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was assessed for its capacity as a biological pesticide. As part of this analysis, its insect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in addition to its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were test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secticidal activity of saponin against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in kale, Brassica loeracea was low at 36.4%. Repellent activities of the extracted saponin against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nd S. litura, on soybean leaf, Glycine max and kale were 65.6% and 35.0% at $1^{st}$ day, and 54.5% and 30.0% at $3^{rd}$ day, respectively. Acute and chronic toxicity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cute immobilizatioin test and reproduction impairment test, respectively. The saponin had 48 h-$EC_{50}$ of $65.21{\mu}g/mL$. Twenty-one day accumulative reproduction after treatment was lower in Daphnia magna at $7{\mu}g/mL$ saponin (78 young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29 you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ed saponin exhibited some toxicity and has potential as a repellent against insects.

Chikuma 강 상-중류 수역 수서곤충의 분포 양상 (Central Japan) (Distribution Pattern of Aquatic Insects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Chikuma River in Central Japan)

  • Kimura, Goro;Fukunaga, Yachiyo;Kimio, Hirabayashi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394-399
    • /
    • 2004
  • 일본에서 가장 긴 Chikuma강의 세 지점에서 2002년 여름 동안 수서곤충의 종조성과 밀도를 light trap에 의해 조사하였다. 하루 동안 총 3,278 성체가 채집되었으며, 그 중 가장 주요한 분류군은 파리목(57.5%)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날도래목(35.4%), 하루살이목(7.1%)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수서곤충의 밀도와 생체량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종수와 다양도지수(H')는 감소하였다. 제1, 제3조사 지점에서 종 수는 각각 36종(H'= 4.30), 31종(H'= 2.81)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1 지점에서 제3 지점으로 갈수록 기능적 섭식군(functional feeding group)의 상대밀도는 제1 지점에서 'collectors'가 증가하고 제3 지점에서 'shredder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