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 물환경 기준의 개선방향 (Future Direction of Water Quality Standards in Korea)

  • 이재관;조순;정일록;황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37-747
    • /
    • 2006
  •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Korea has been implementing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to focus on the control of organic matters (BOD and COD) for 28 years since 1978 when the water quality standards had been established. Howeve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have begu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reating the best water environment for people and aquatic life, and also formulating the various measures of water pollution, Consequently, MOE of Korea is establishing the basic plan o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with the vision of "Clean Water, Eco River 2015." The major targets o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are to maintain ecosystem health and to protect water quality from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in water bodies. In order to achieve the major targets, it is essential to amend the water quality standards, which bring abou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arious pollutants and healthy ecosystem. Introduction of the new techniques of water environment assessment is also prerequisite to maintain sustainable water environment. These can be accomplish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following suggestions in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First, several criteria should be complemented in water quality standards; they include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water quality classification system, the strengthening and supplement of relevant parameters considering human health in the standards, the introduction of biotic indices, and management standards on eutrophication. Secondly, it should be considered to introduce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standards using biotic indices and the management standards for sediments. Lastly, it needs to introduce or develop an ecological status classification which could be used in the assess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as a whole.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of Changwon Stream as a Preliminary Diagnosis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 Han, Jung-Ho;Bae, Dae-Yeul;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27-536
    • /
    • 2007
  • In this study, we applied 10-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during 2006 in the Changwon Stream, which is located in the Changwon city, Gyeongnam province, S. Korea, and then compared with water quality data.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in the Changwon Stream varied from 18 to 38 in the watershed depending on the sampling location and averaged 30.3 (n=6) during the study. Analysis of tolerance guild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was 13%, but tolerant and intermediate species were 34% and 53%, respectively.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veraged 43.3 (range: 65-104, n=6) indicating non-supporting condition, based on the criteria of U.S. EPA (1993). Values of QHEI showed a typical longitudinal decreases from the headwater reach to the downstream location, except for Site 1 with a low QHEI value by artificial habitat by concrete construction. Minimum QHEI was found in Site 4 where fish diversity was minimal. Conductivity increased continuously along the gradients and especially showed abrupt increases in the downstream sites along with turbidity. Stream ecosystem health of IBI matched to the values of QHEI except for S6. Low IBI values in the sites 4 and 5 was considered to be a result of combined effects of chemical pollutions and habitat degradations. Our results support the hypotheses of Plafkin et ai. (1989) that physical habitat quality directly influences the trophic structure and species richness,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IBI values.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생물다양성 정량화의 적정공간단위 연구 (Study on the Appropriate Spatial unit to Measure Biodiversity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 이경일;황진후;장래익;류지은;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9-37
    • /
    • 2018
  • Biodiversity refers to the diversity of organisms originating from all sources, including terrestrial ecosystems, aquatic ecosystems, and complex ecosystems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standard of the area to be preserved and protected. So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increasing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quantify biodiversity and to develop indices have been made, but there are insufficient researches on the use of biomass databases and their quantifi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biodiversity map was constructed using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Mammal Data with three spatial units(Administrative Area, 1:5,000 index map, hexagonal lattice). and the difference of map constructed by spatial unit was suggested to help research on qua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diversity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biodiversity index for the same area varied according to the spatial unit and overall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ifferent to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appropriate spatial unit considering the suitability and purpose of quantification rather than using specific unit. It also show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for biodiversity index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ecosystem and nature map. Based on this research, compreh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rough further research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qua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diversity, set standards.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Several Major Pharmaceutical Products In Aquatic Ecosystem

  • Park, Su-Jung;Oh, So-Rin;Jung, Jin-Yong;Kim, Young-Hee;Kim, Pan-Gyi;Choi, Kyung-Ho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국제학술대회
    • /
    • pp.345-350
    • /
    • 2005
  • Acute toxicities of five pharmaceutical products were evaluated with aquatic microbes, invertebrates, and fish. The test pharmaceuticals, i.e., cimetidine, carbamazepine, diltiazem, acetaminophene, and metformin have been often detected in aquatic environment, but theire cological hazard on receptors of various trophic levels has seldom been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cute toxicity assays with a marine bacterium, Vibrio fischeri, an invertebrate, Daphnia magna, and a fish, Japanese medake (Oryzias latipes). In general, D. magna, showed the most sensitive response to the test chemicals. Diltiazem exhibited the lowest EC50 value after 96 hr of exposure at 7.6 mg/L, followed by cimetidine >acetaminophen > metformin = carbamazepine in an order of decreasing susceptibility. With the fish, diltiazem and carbamazepine showed the 96 hr EC50 values at 14.1${\sim}$35.4 mg/L while acetaminophen, cimetidine, and metformin did not cause 50% mortality at 100 mg/L. Similar pattern was noted with the Microtox Assay, with which the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s for acetaminophen, cimetidine, and metformin were found at the range between 301.8 and 755.4 mg/L. Carbamazepine and diltiazem exposure to the microbes resulted in EC50 values around 50 mg/L.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s (PECs) of these pharmaceuticals derived from the EC5O values obtained from this study, and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PECs) obtained from available literatures were utilized to estimate ecological risks of the test compounds. No test pharmaceuticals resulted in risk quotients (PEC/PNEC) greater than 1, which suggests no serious potential ecological concern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further studies including the refinement of PEC derivation, identification and toxicity assessment of the metabolites and/or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stressors may be warranted to better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he residual pharmaceutical discharge to the waterway.

  • PDF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 손진관;신민지;신지훈;강동현;강방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9-325
    • /
    • 2014
  • 연못형습지(Pond Wetland)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연못형습지(Pond Wetland)에 대한 연구는 유형분류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기능분석, 기능도출, 중요도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22가지의 기능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 결과 22개 항목 중 생물, 환경, 사회문화 분야에 각 4 기능씩 총 12개 기능으로 선별하였다. 항목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하여 기능별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중복된 기능은 통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10가지(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 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 7. 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10. Aesthetic landscape)를 도출하였다. 향후 기능별 중요도 분석과 경제적 가치 지표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를 이용한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using aquatic ecosystem health data)

  • 이지완;우소영;김용원;박종윤;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57-666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유역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서식처 평가결과는 생태·자연도 및 수생태 건전성 평가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금강유역의 서식처 질은 0.0 ~ 0.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하류보다 상류에서 서식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 등급별 평균 서식처 질을 비교한 결과 1등급, 2등급, 3등급에서 각각 0.80, 0.76, 0.71이었다. 수생태 건전성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R2은 0.58, Pearson 상관계수는 0.76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서식처 보호의 강화와 장기적인 생물 다양성 관련 정책의 실행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제주도 내 점개구리밥(Landoltiapunctate) 분포와 생태계 위해성 평가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Ecosystem Risk Assessment of Dotted Duckweed (Landoltis punctate) in Jeju Island, Korea)

  • 최종윤;김남영;류태복;최동희;김덕기;김성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5-439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점개구리밥의 분포와 서식생물상에 대한 점개구리밥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주도 내 43개 습지 및 하천에서 환경요인과 서식생물상을 조사하였다. 점개구리밥은 43개 중 총 18개 조사지역에서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점개구리밥 외 수생식물의 생물량은 낮은 편이었다. 점개구리밥 등 수생식물과 환경요인에 대한 서식생물상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OM(Self-Organizing Map)을 활용한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동물플랑크톤 등 서식생물상은 환경요인보다는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개구리밥의 생물량은 부착성 종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 내 하천 및 습지는 수원이 일정하지 않고 수위변화가 급격하여 수생식물의 현존량이 적은 점을 감안하면, 제주도 지역의 교란 특성에 비교적 강한 점개구리밥은 서식생물상(동물플랑크톤 등)에게 서식처로서 중요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점개구리밥의 점유 공간 내 유기물이 서식동물상의 먹이원으로 활용되는 점 등을 볼 때 점개구리밥은 서식처인 동시에 먹이터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점개구리밥의 밀생이 그늘 효과 등으로 일부 수생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은 부유식물이 수표면에 우점하는 특성 때문이며, 점개구리밥의 위해성이라 판단하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점개구리밥은 제주도 지역 내 대부분의 수계에서 확산 및 정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식생물상 및 수중 환경 내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제주도 지역 외 내륙에서의 점개구리밥 분포 및 확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보 설치로 인한 만경강 중류의 하천지형과 서식처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s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mid-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by weirs)

  • 최미경;김지성;옥기영;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791-799
    • /
    • 2019
  • 본 연구는 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만경강을 대상으로 항공사진(1948, 1967, 1973, 1989, 2010)을 이용하여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고, 시간에 따른 서식처 구조 변화를 설명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지형과 하도서식처 중 물이 있는 서식처로 구분되었으며, 지형은 나지, 식생부, 수면부, 경작지, 교란지로 분류하였으며, 하도서식처는 자연여울, 인공여울, 평여울, 머리완도, 꼬리완도, 중앙완도, 못, 첩수로로 구분하여 면적을 산출하여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1970년대 골재채취와 1980년대 보 설치로 인하여 나지는 소멸되고 수면부와 식생부는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평여울은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흐름이 다소 정체되어 습지와 유사한 중앙완도 서식처의 비율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나지와 식생부 위에 존재하는 머리완도, 꼬리완도, 못과 같은 서식처는 보 설치 이후 사라지거나 일부만 남아있다. 본 연구는 생태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교란에 따른 하천 환경의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내 잔류 향정신성 의약품의 독성평가를 위한 zebrafish의 행동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Change of Zebrafish For Toxicity Evaluation of Residual Psychoactive Medic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 윤효직;김민재;김종락;김성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4-579
    • /
    • 2019
  • As interest in health issues increases, it is imperative to ensure good water quality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to preserve environmental health. In particular,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water ecosystem risk assessment on pharmaceutical substances remaining in effluent. In this study, antidepressant escitalopram (ESC), antiepileptic carbamazepine (CBZ) and lead, which impact the behavior of aquatic organisms, were used to test their impact on the potential behavior of zebrafish. Zebrafish have been widely used in toxicological assessment studies due to the ease of handlinggenerically and genetically. It was possible to observe changes in the growth of organisms through monitoring the embryos' cognitive and behavior assessment. In this study, the embryo lethal dose test showed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ESC and CBZ was at 10 ppb, which is below the water quality criterion (100 ppb), increased by 32.5 % and 40 %, respectively. In the cognitive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ability function decreased by 22 % and 17% for ESC(500 ppb) and CBZ(1,000 ppb) respectively relative to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itiate efforts to remove these trace pollutant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protect the health of aquatic organisms.

생태독성실험을 위한 한국 우점종 유리물벼룩(Daphnia galeata)의 특성 및 독성민감도: 큰물벼룩(Daphnia magna)과의 비교연구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Sensitivity of Korean Dominant Species Daphnia galeata for Ecotoxicity Testing: Comparative Study with Daphnia magna)

  • 최영설;곽진일;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3-200
    • /
    • 2016
  • 생태독성 관리제도가 국내에 도입된 이래 Daphnia magna(큰물벼룩)는 시험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D. magna는 국내 비서식종으로 국내의 담수 환경을 반영한 생태독성 평가에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내 서식 물벼룩 중 적합한 시험종을 선정하여 생태독성 평가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Daphnia galeata(유리물벼룩)는 국내 한강 수계 우점종이며 대부분의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물벼룩이다. 본 연구에서는 D. galeata의 국내 고유 시험종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D. galeata의 특성 및 생활사를 확인하여 D. magna와 비교하였다. 또한 D. galeata의 독성민감도를 확인하고자 D. galeata 및 D. magna에 대한 7종 중금속(As, Cd, Cr, Cu, Hg, Ni, Zn) 급성독성자료 조사, 수집하여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D. galeata의 생활사 측정결과 D. galeata의 생존기간은 $28{\pm}8$일로 D. magna의 절반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존기간 동안의 어미 개체당 새끼 생산량도 D. magna보다 적었으며, 평균적인 체구도 D. magna보다 D. galeata가 작았다. 독성민감도는 7종의 중금속에 대해 D. galeata가 D. magna보다 더 민감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D. galeata는 국내 고유 생태독성 시험종으로 적합하며 차후 D. magna를 대체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험종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