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Toxicity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4초

신규 살조물질인 Thiazolidinedione 유도체 (TD49)의 해양생태계에 대한 급성독성평가 (Acute Toxicity Assessment of New Algicides,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to Marine Ecosystem)

  • 임은채;신준재;박인택;한효경;김시욱;조훈;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25권6호
    • /
    • pp.527-532
    • /
    • 2010
  • A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with the highly selective algicide to red tide was newly synthesized and its acute toxicity was examin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n aquatic ecosystems of coast. Major three species having important role in the food chain of marine ecosystem, such as Skeletonema costatum of microalgae, Daphnia magna of crustacea, Paralichthys olivaceus of flatfish fingerling were employed for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EC_50$ or $LC_50$ as the assessment criterion was investigated to each specie, and 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and 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from most sensitive specie to toxicity of TD49 were further calculated. $EC_50$ of S. costatum in 96-hour, $EC_50$ of D. magna in 48-hour, and $LC_50$ of P. olivaceus in 72-hour for TD49 were $0.34\;{\mu}M$, $0.68\;{\mu}M$, and $0.58\;{\mu}M$, respectively. NOEC from the results of S. costatum was estimated to be $0.20\;{\mu}M$ and PNEC was estimated as 3.40 nM by applying factor value of 100 to $EC_50$ $0.34\;{\mu}M$ of S. costatum.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Solutol used as the dispersing agent of TD49 had very little toxic influence und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0{\sim}0.4\;{\mu}M$ used in TD49 toxicity experiment. Although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D49 that will be sprayed onto the coastal field for the algicide is higher than NOEC value, it is considered that the spraying concentration would not be a considerable problem due to a dilution effect by tide at the opened coast.

해양으로 배출되는 실리콘계 소포제의 생태독성 연구 (A Study on the Eco-Toxicity of Silicone-Based Antifoaming Agents Discharging into Marine Environments)

  • 김태원;김영윤;박미옥;전미해;손민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1-88
    • /
    • 2019
  • 본 연구는 실리콘계 소포제가 해양으로 배출되었을 때 소포제 내에 존재하는 주요 성분들이 해양 저서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리콘 및 알코올계 소포제에 대해 저서성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와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하여 해양생태독성실험을 수행하였고 실리콘계 소포제의 주요성분인 디메틸폴리실록산(PDMS)에 대한 수중생물 독성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리콘 및 알코올계 소포제에 대한 발광박테리아와 저서성단각류를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실험생물별 독성영향은 발광박테리아가 저서성 단각류에 비해 알코올계 소포제에서 최대 9배 까지 민감한 독성영향을 보였으며 소포제 종류별 독성영향은 실리콘계 소포제가 알코올계 소포제에 비해 최대 400배 이상 높은 독성영향이 나타났다. 실리콘계 소포제의 주요성분인 PDMS가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무척추동물 및 어류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및 반수영향농도($EC_{50}$)값은 $10{\sim}44,500{\mu}g/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물질의 정성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PBT(P: persistency, B: bioaccumulation, T: toxicity)특성을 PDMS에 적용한 결과, 지속성(P)과 생물농축성(B)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PDMS가 해양으로 배출될 경우 생물농축 및 먹이사슬을 통한 상위 영양단계로 축적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저서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향후 실제 해양으로 배출되는 다양한 소포제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조사시 소포제 내 주요성분을 고려한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위해성평가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평법에 따른 급성 수생독성 예측을 위한 QSAR 모델의 활용 가능성 연구 (Applicability of QSAR Models for Acute Aquatic Toxicity under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in the Republic of Korea)

  • 강동진;장석원;이시원;이재현;이상희;김필제;정현미;성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9-166
    • /
    • 2022
  • Background: A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QSAR) model was adopted in the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 EU) regulations as well as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AREC, Republic of Korea). It has been previously used in the registration of chemicals.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data provided by three prediction programs using a QSAR model and actual experimental results (acute fish, daphnia magna toxicity). Through this approach, we aimed to effectively conjecture on the performance and determine the most applicable programs when designating toxic substances through the AREC. Methods: Chemicals that had been registered and evaluated in the Toxic Chemicals Control Act (TCCA, Republic of Ko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prediction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U.S. EPA - the Ecologic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ECOSAR) and Toxicity Estimation Software Tool (T.E.S.T.) models - were utilized along with the TOPKAT (Toxicity Prediction by Komputer Assisted Technology) commercial program. The applicability of these three program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ree parameter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The prediction analysis on fish and daphnia magna in the three programs showed that the TOPKAT program had better sensitivity than the others. Conclusions: Although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TOPKAT program when using a single predictive program was found to perform well in toxic substance designation, using a single program involves many restrictions.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predictions by utilizing multiple methods when applying the prediction program to the regulation of chemicals.

멕시코산 황소눈복어 (Sphoeroides annulatus)의 독성 및 정미성분 (Toxicity and Taste Components of the Pufferfish, Sphoeroides annulayus (bull's eye puffer), from Mexico)

  • 김경삼;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78
    • /
    • 2000
  • 수산물 수입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앞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이 급증할 것으로 여겨지는 시기에 외국산 복어 가운데 멕시코산 황소눈복어에 대한 독성 및 정미성분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mouse assay법에 의하여 독성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정미성분인 ATP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도 분석하였다. 생식선은 약한 독성 (무독 내지 $25{\mu}/g$)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외의 부위 및 가식부인 근육 및 껍질의 독성검사 결과는 모두 $10{\mu}/g$이하로서 무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 가운데 IMP 및 ADP가 $5.61{\mu}mol/g$$2.7{\mu}mol/g$으로 많았고, 전체 ATP 관련물질의 $41.4{\%}$를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두 19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1,648.2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중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L-glycine, L-alanine, L-anserine, L-threonine 및 L-valine으로 각각 233.5 mg/100 g, 169.0 mg/100 g, 149.1 mg/100 g, 135.7mg/100 g 및 132.3 mg/100g이었고, 또한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중량 비율은 각각 $14.28{\%},\;10.33{\%],\;9.12{\%},\;8.30{\%}$$8.09{\%}$로서 이들 5종류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50.12{\%}$를 차지하였다. 또한 taurine의 경우는 119.3mg/100 g, L-histidine의 경우는 14,7mg/100 g이었다.

  • PDF

Initial Risk Assessment of Disodium Disulphite in OECD High Production Volume Chemical Program

  • Sanghwan Song;Park, Yoonho;Park, Hye-Youn;Kwon, Min-Jeoung;Koo, Hyun-Ju;Jeon, Seong-Hwan;Na, Jin-Gyun;Park, Kwang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02
  • Disodium disulphite, the HPV chemical, was assigned to Korea in order to implement OECD SIDS program in 1999. It was produced about 3,200 ton/year in 1998. This report evaluates the toxic potency of disodium disulphite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d mammalian effects as well as human exposure. Oral $LD_{50}$ in rats is 1,540 mg/kg b.w. and effects was observed to the stomach, liver and the GI track that was filled with blood. For repeated dose toxicity, the predominant effect was the induction of stomach lesion due to local irritation.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r for local (stomach irritation) was about 217 mg/kg bw/day. There is no evidence that disodium disulphite is genotoxic in vivo. No reproductive or developmental toxicty of disodium disulphite was observed for the period up to 2 yr and over three generation. In humans, urticaria and asthma with itching, edema, rhinitis, and nasal congestion were reported. Disodium disulphite is unlikely to induce respiratory sensitization but may enhance symptom of asthma in sensitive individuals. This chemical would be mainly transported to water compartment when released to environmental compartments since it is highly water soluble (470 g/l at 20). Low K oc (2.447) indicates disodium disulphite is so mobile in soil that it may not stay in the terrestrial compartment. The chemical has been tested in a limited number of aquatic species. hem acute toxicity test to fish, 96 hr-$LC_{50}$ was > 100 mg/1. For algae, 72 hr-$XC_{50}$ was 48.1 mg/1. For daphnid, the acute toxicity value of 48 hr-$EC_{50}$ was 88.76 mg/1, and chronic value of 21day-NOEC was > 10 mg/1. Therefore, PNEC of 0.1 mg/l for the aquatic organism was obtained from the chronic value of daphnid using the assessment factor of 100. Based on these data the disodium disulphite was recommended as low priority for further post-SIDS work in OECD.

연안산 흰점복 (Takifugu poecilonotus)과 국매리복 (Takifugu vermicularis)의 독성 (Toxicity of Puffer Fish, Takifugu poecilonotus (Heuinjeombok) and Takifugu vermicularis (Gukmaeribok) from Coastal Water of Korea)

  • 김지회;목종수;손광태;황혜진;오은경;유홍식;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09
  • The toxicity of two species of puffer fish, Takifugu poecilonotus (Heuinjeombok) and T. vermicularis (Gukmaeribok) collected from the coastal regions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a mouse bioassay. In the T. poecilonotus collected in Jeju and Tongyeong, the proportion of toxic specimens containing ${\ge}10$ mouse units (MU) per gram exceeded 95% for the skin, liver, ovary, and fin, and approximately 30% for the testis and muscles. In each of the organs, the highest toxin levels were 79 MU/g in the muscle, hundreds (158-365) of MU per gram in the fin, intestine, testis, and gallbladder, but thousands (1,147-2,406) of MU per gram in the skin, liver, and ovary. In T. vermicularis collected from Incheon and Gunsan, the proportions of toxic specimens were 100% for the gallbladder, and 56-68% for the skin, fin, liver, and intestine however, no toxic muscle specimens were noted. The highest toxin scores were below 10 mouse units (MU) per gram in the muscle, 20-94 MU/g in the skin and fin, 319 MU/g in the intestine, and thousands (1,548-4,624) of MU per gram in the liver, gonad, and gallbladder. The toxicity in the muscle of T. vermicularis was deemed acceptable for human consumption, whereas the toxicities in the muscle of T. poecilonotus and the skin of both species of puffer fish were significantly high, such that special attention may be required when the fish is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부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복어류의 독성 (Toxicity of Several Puffers Collected at a Fish Market of Pusan, Korea)

  • 정동윤;김동수;이명자;김상록;변대석;김현대;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2-689
    • /
    • 199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독성이 알려져 있지 않은 복어류에 대한 검토 및 현재까지 식용 또는 비식용으로 분류되어 있는 일부 복어류의 독성에 대한 재검토와 유독 복어류의 출현을 감시할 수 있는 정기적이며 지속적인 연구 자료를 축적할 목적으로 부산 시중에서 구입한 9종류의 복어류 96개체를 시료로 하여 그 종류별, 조직 부위별 독성을 재검토하였다. 검밀복 4개체 및 별복 1개체의 껍질은 독성치가 10MU/g 이상으로 검출되었으나, 검밀복과 별복의 나머지 개체 및 자주복, 검자주복, 검복, 횐 밀복의 경우는 식용으로 하는 껍질 및 근육이 무독하였다. 까치복의 경우는 27개체 중 9개체의 껍질(최고독력, 40MU/g)과 1개체의 근육(10MU/g)에서 약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었으나, 그 이외의 개체 및 근육은 무독하였다.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에서는 최고 독력이 각각 550MU/g. 382MU/g 및 528MU/g으로 독성이 강하여 조리 취급시 주의가 요망된다. 국매리복의 경우는 근육에서 약독 내지 강독(최고독력, 219MU/g), 껍질에서 약독 내지 맹독(최고독력, 1,115MU/g)의 독성치가 검출되었다. 특히, 간장, 내장 및 난소에서는 최고독력이 각각, 3,820MU/g. 1,191MU/g 및 5,620MU/g의 맹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어 식용 어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어 충분한 재검토가 요망된다.

  • PDF

농약의 급성독성 평가를 위한 담수생물의 감수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Susceptibility of Freshwater Organisms for the Acute Toxicity Test of Pesticides.)

  • 신천철;이성규;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0-134
    • /
    • 1986
  • 본 실험은 3종의 농약(butachlor, trichlorfon, BPMC)에 대하여 3가지 실험종인 S. subspicatus, M. rectirostris와 O. latipes에 대해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여 급성독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각 실험종간의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1) 제초제 butachlor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 값은 S. subspicatus가 0.23 mg/1, M. rectirostris는 1.3 mg/1, O. latipes 0.58 mg/1으로서 S. subspicatus에 대해 butachlor가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2) 살충제 trichlorfon과 BPMC의 96시간 및 48시간의 급성독성값은 S. subspicatus에 대해 290 mg/1와 56 mg/1이상이었고, M. rectirostris에 대해서는 0.0011 ㎎/1와 0.011 ㎎/1, 그리고 O. latipes에 대해서는 70 ㎎/1와 11mg/1였다. 따라서 갑각류인 M. rectirostris가 이들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3) 급성독성값의 비율로 농약별 실험종간 민감도를 비교해 보면 제초제 butachlor에는 S. subspicatu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이며, 살충제 trichlorfon, BPMC에 대해서는 M. rectirostris가 가장 민감한 실험종임이 판명되어 차후 각종 화학물질의 급성독성 실험시에는 실험된 3종 모두를 이용한 실험방법이 요구된다.

  • PDF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1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97-302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