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과정(항공정비사) 평가준거 개발 (Evaluation Criteria Development of Course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Dedicated to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 남명관;박상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dedicated to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ers scrutinized related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initiated the draft for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and secured validity for evaluation conformity initiated through Delphi Method survey. To secure validity for evaluation conformity, the researchers conducted two Delphi Method surveys of an expert panel of 22 professionals from relevant fields including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searchers from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structor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and officials from industries. Through the surveys, the researchers determined 4 evaluation areas, 13 evaluation items and 52 evaluation indexes as the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for aircraft maintenance mechanics. On top of that, the researchers established evaluation system in the courses for aviation professionals (aircraft maintenance mechanics), and suggested a follow-up studies regarding manag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tudy on EBT Implementation and Approval Process in Korea

  • Han, Kyoung-Keun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1-146
    • /
    • 2020
  •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developed Doc 9995 "Manual of Evidence-based Training,"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guidance by establishing a new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and conduct of a recurrent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 The airline pilot training regulations were largely based on the evidence of hull losses from early generation jets, and in order to mitigate a risk, simply repeating an event in a training program was sufficient. At the time, studies concluded that it was time to change the paradigm of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 for pilots. One airline alone implemented Evidence-Based Training (EBT) program in their flight crew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 while another airline partially implemented the EBT program. In the regulatory framework of MOLIT, specific EBT regulations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rules and standards that comply with ICAO SARPs as soon as possible. In this study we review the key step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eline EBT, approval process of baseline EBT program, and policy option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EBT. It will provide guidance to operators,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ATO), and stakeholders.

차세대 항공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력양성체계의 평가 (Evaluation on the Personnel training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of Aviation Professionals)

  • 김웅이;노건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1
    • /
    • 2013
  • The NGAP and TRAINAIR PLUS programme goal is to improv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air transport through the establishment,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high standards of training and competency of aviation personnel on a world-wide basis and in a cost-effective manner. According to the trend,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 must be change. In this study, personnel training system and certification mechanism were studied.

항공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n Anslysis on the Pilot Training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Aviation Professionals)

  • 조영진;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6-72
    • /
    • 2015
  • Recently due to shortage of pilots from aviatio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America, Japan and etc, not even regional airlines but also major airlines are facing difficulties of pilot shortage. Through statistic data, ICAO and Boeing Company are predicting that roughly 8 thousands of new pilots will be short per year. Therefore, to solve this pilot shortage, countries are searching solutions like reducing air route, and extending regular retirement.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pilot supply market and compares systems of pilot training between the domestic system and the system of America and Japan. From the comparison, the study has deducted improvements for the role of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ATO(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oper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government.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sent Educational Aspect of Korean Teacher Librarians and Their Supply-demand Problems)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1-186
    • /
    • 2008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양성현황과 수요전망을 통해서 사서교사 양성체제와 수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서교사의 교육체제, 양성기관 현황 및 양성인원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양성능력을 전망하고, 사서교사 선발현황과, 한국도서관협회 기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기준을 적용하여 필요한 사서교사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서교사 수급불균형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미래의 수요에 필요한 적정 인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직과정 승인인원의 재조정과 사범대학의 문헌정보교육과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 PDF

FAA와 EASA의 MRO 조직인증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s for MROs of FAA and EASA)

  • 김종복;이진;허희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3-134
    • /
    • 2017
  • In order to advance into the MRO industry, the Avi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 with suitable for the standards for personnel, facilities and operations should be first approved by FAA and EASA. The purpose of study is designed to arrange the standards required for personnel, facility, operation rule for approval of Repair St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s certified by FAA PART 145 of the US Federal Aviation Regulation. Also to consider the following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domestic AMO cer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Maintenance Process, and Quality System for approval of maintenance organization authorized, the additional EASA PART 145. As a comparative analysis on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ion in the country between FAA and EASA, this study could show us that domestic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ed manual contents are used by applying just many of the FAA system. And we could know that as part of the EASA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ion process, airmen personnel were relatively systematically segmented and controlled. For domestic maintenance organization certification, operational as policy implications we would like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implication of rating system of Aviation Mechanic License like EASA,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training center to resolve the shortage of the FAA or EASA license holders, operational organization as "CAMO" for systematic aviation mechanic certified system should be required, continued construction of hangar or MRO for airworthiness repair under Governmental support, and varied application of DER system from FAA accordingly.

치과위생사의 조직후원인식과 조직애착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 유은지;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93-1001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recognition of sponsorship on their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turnover and to improve their attachment affinit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Methods: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distributed 220 questionnaires from the date of approval to October 31, 2019, at the dental hygienist maintenance training site and onlin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0 program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sponsorship,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2.97, 2.86, and 3.43, respectively. The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when participants were unmarried, had high work intensity, a clinical career of 4-6 years, low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a 53.7% explanation. Conclusion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ppropriate compensations according to the long-term root of the experienced person, to adjust the work intensity, an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workers' attachment so that workers and organizations have the same values.

A Study on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S -Focusing on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 Yoo, Kyung-In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27
    • /
    • 2017
  • 가장 진보된 항공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항공기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반면 승객수송 항공교통량은 향후 15년간 갑절로 증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항공기사고 발생 후에 안전조치로 수행되는 항공기사고조사만으로는 항공안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선제적이고 예측적인 사고예방대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명목으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이 2008년부터 도입되어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SMS는 선제적이고 예측적인 항공기사고 예방대책으로서, 항공안전과 관련된 기술적 요소, 인적요소를 넘어 조직적 요소에 접근함으로써 근원적인 위험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방법론적으로는 항공기운항에 필요한 모든 현장에서 잠재되어 있는 위험요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위험을 분석하여,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위험을 수용가능하거나 그 이하로 유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SMS의 부적절한 이행은 항공기사고 예방의 미흡함을 나타내며 항공기사고와 직결된다. SMS에 있어 자신의 실수를 포함하여 업무상 발생하는 위험요소의 보고가 필수적이고,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이를 위하여 자발적 보고에 대한 공정문화의 정책 하에, 정보제공자의 익명성, 비처벌 및 비문책 보장이 기본적인 것으로 되어있으나, 조직에 대한 신뢰의 부족으로 보고는 미미한 수준으로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최고관리자가 고위관리자와 더불어 자신의 조직에 대한 안전과 수익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의식을 갖고, 공정문화가 주축이 된 안전문화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근거는 국토교통부 훈령인 "항공안전관리시스템 인 및 운영지침"에 최고관리자가 및 고위관리자가 받아야할 교육이 명시되어있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고시인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의 항공안전관리시스템 승인신청서의 구비서류에, 최고관리자 및 고위관리자의 SMS 교육이수증명서가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항공기사고조사에 SMS항목이 누락되어 있어 안전문화와 관련된 조직적 요소 및 위험관리 부분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는 근원적인 원인에 대한 규명이 불가능하여 향후 사고예방에 장애요소로 작용된다. ICAO가 발행한 항공기사고조사매뉴얼에는 SMS조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3의 최종보고서 양식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사고조사의 실질적 표본이 되고 미국교통안전위원회가 SMS조사에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부속서 13에 의거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조사기구들은 SMS조사를 조사항목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항공기사고 조사관들은 SMS 조사방법이나 기법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속서 13의 최종보고서 양식 중 조직 및 관리정보 목에 SMS조사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국내적으로는 항공 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운영규정 중 최종보고서양식에 동일하게 SMS항목을 추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법적 제도적 개선방법이 보완되면 SMS의 이행이 효율적으로 이행되어 향후 항공안전증진에 기여하리라고 기대한다.

  • PDF

강제동원 구술자료의 관리와 활용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장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Management and Use of Oral History Archives on Forced Mobilization -Centering on oral history archives collected by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Republic of Korea-)

  • 권미현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303-339
    • /
    • 2007
  •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라 함은 만주사변 이후 태평양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일제에 의하여 강제동원 되어 군인 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생활을 강요당한 자가 입은 생명 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말한다.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피해당사자, 유족,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이루어져왔고, 그 결과 2004년 3일 5일 ${\ll}$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등에 관한 특별법${\gg}$ (2007년 5월 17일 일부 개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를 근거로 2004년 11월 10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강제동원위원회)가 발족하였고, 2005년 2월 1일부터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강제동원 피해신고접수 및 피해신고조사(피해자 및 유족 심사 결정), 진상조사신청접수 및 진상조사, 진상조사 및 피해판정 불능에 관한 사항, 피해판정에 따른 호적정정, 강제동원 관련 국내외 자료수집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유해발굴 및 수습 봉환, 사료관 및 추도공간 조성사업 등이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조사 및 진상조사 업무를 위해 다양한 기록을 발굴 수집해 오고 있다. 여타 피해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이미 공개되었거나 새롭게 발굴되는 기록은 강제동원의 다양한 역사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그 양이나 질에 면에서 부족하다. 피해의 역사에서 피해당사자의 이야기는 기록의 부재를 메우기도 하고, 기록 이상의 근거적 가치를 갖기도 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생존자와의 구술면담을 통해 다수의 구술자료를 생산하였고 조사업무에 활용하며 체계적인 관리방법을 토대로 관리하고 대중적인 활용까지 꾀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생산 당시부터 철저한 기획에 의해 이루어졌고, 생산단계부터 관리와 활용의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디지털매체의 생산을 유도했다. 또한 조사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구술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차례 면담자 교육을 실시하고, 면담자로 하여금 구술당시의 상황을 면담일지로 남기도록 했다. 강제동원위원회는 소장 기록을 관리하는 별도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피해 진상 관리시스템과 전자결재시스템을 통해 생산되어 관리되지 않는 생산 수집 기증 기록을 등록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구술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등록이 되어, 실물과 중복 보존되고 있다. 구술자료는 등록과 동시에 분류, 기술행위가 이루어지고 구술자료의 관리 아이디인 등록번호, 분류번호, 비치번호 등을 부여받게 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구술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구술기록집의 발간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고, 영상물 등의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정부차원의 조사 업무 과정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한계, 예산부족이나 기록관리시스템 등의 부재 등을 넘어서 한시조직으로서 가능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생산 관리 활용되고 있다. 축적된 구술자료는 향후 특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대로 사료관 등이 건립된다면 대중 이용자들을 위해 더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