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icability estimation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7초

Markov Chain Monte Carol estimation in Two Successive Occasion Sampling with Radomized Response Model

  • Lee, Kay-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7권1호
    • /
    • pp.211-224
    • /
    • 2000
  • The Bayes estimation of the proportion in successive occasions sampling with randomized response model is discussed by means of Acceptance Rejection sampling. Bayesian estimation of transition probabilities in two successive occasions is suggested via Markov Chain Monte Carlo algorithm and its applicability is represented in a numerical example.

  • PDF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 추정: 2. 범용모형의 적용성 (Parameter Estimation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2. Applicability of the Universal Model)

  • 최종남;안원식;김형수;박민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31-1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개발한 범용모형을 토대로 관측수문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16개 댐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저류함수법의 기존 매개변수 추정식은 대부분 한정된 조건에서 얻어졌고 다양한 유역특성을 고려할 때 물리적 의미가 없는 값이 얻어지는 경우가 많아 미계측유역에서 적용이 회피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매개변수 추정결과는 이러한 문제를 보이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유역특성인자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CN방법에 의해 직접적으로 도출된 유효우량과 함께 범용모형을 이용한 매개변수 추정을 토대로 미계측유역에서 저류함수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9-216
    • /
    • 2001
  • 개발등 인위적 건설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기법은 연평균 토사생산량을 산정하기위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l본 연구에서는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향 산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을 강우자료와 토사유출 실측값이 있는 국내 개발현장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MUSLE 적용시 필요한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산정기법 중 국내여건에 적합한 산정기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MUSLE 적용결과와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역해석기법에 의한 기존의 p-y곡선 적용성에 관한 고찰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Conventional p-y curve for Lateral Behavior of Pile Foundation based on Inverse Analysis)

  • 김현욱;고재신;김남호;김연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390-400
    • /
    • 2010
  • BNWF(Beam on Nonlinear Winkler Foundation) method has long been adopted for lateral behavior analysis of pile foundation and widely recognized for its simplicity and accuracy up until now. However, due to lateral load tests which were done in limited conditions and theory-based input Parameter estimation, the applicbility of p-y curve has not been fully examined. Accordingly, we researched on the applicability of conventional input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p-y curve to be determined by the estimation through inverse analysis based on lateral load tests.

  • PDF

소하천 설계홍수량 추정모형의 적용성 검토 (Study on Applicability of Design Flood Estimation Methods in Creeks)

  • 김양수;이병주;이준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3-167
    • /
    • 2004
  • Creeks, defined by creek's improvement law, have strong localities in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During the recent ten-years, lots of flood damages have occurred rather in the creeks. However, quantity and stream design information are poor while the national-class and local-class streams have sufficient. This causes a problem on improving the safety from flood. This study focuses on assessment of practical applicability for design flood estimation models. For this, Rational formula, Clark's model and Nakayath synthetic unit hydrograph method are estimated by data of the creek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report, etc.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및 SCS 유출량 산정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SCS Runoff Estimation using Remotely Sensed Imaged)

  • 이윤아;함종화;장석길;김성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544-549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land cover image classified by remotely sensed data ; Landsat TM merged by SPOT for hydrological applications such as SCS runoff estimation . By comparing the calssified land cover image with the statistical data, it was proved that hey are agreed well with little errors. As a simple application , SCS runoff estimation was tested by varying rainfall intensity and AMC with Soilmap classfied by hydrologica soil map.

  • PDF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개략비용 예측시스템 개발 - 토양경작법 정화비용사례를 중심으로 적용가능성 검토 - (Development of Approximate Cost Estimation System Based on CBRT echnique; Applicability Study for Landfarming Soil Remedation Technology)

  • 김상태;심진아;김흥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9
    • /
    • 2016
  • 가중사례기반추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Excel VBA 기반의 개략비용 예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의 특징은 사례학습과 신규추정시 학습사례건수와 신규추정건수 만큼의 시트를 자동생성하며, 각각의 시트는 셀수식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시스템의 활용성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영향인자를 최대 10개까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영향인자의 조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비용예측시스템을 토양경작법 정화비용예측에 이용하여 토양정화 예측모델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평균단가 예측모델은 물론 최적다중회귀 예측모델보다 개선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경작법을 대상으로 검토 하였으나 토양정화기술과 오염물질 종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타나는 토양정화사업분야에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비용예측모델은 향후 사례데이터 축적과 더불어 적용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 (I);R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199-207
    • /
    • 2001
  • 개발에 의하여 증가된 토사유출량의 유역외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침사지 등의 설계에 필요한 검증된 토사유출량 산정기법이 국내에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각종 장·단시간 호우에 대한 외국의 토사유출량 산정 기법들 중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 7개 개발현장에서 실측한 강우 및 토사유출량 자료를 RUSLE공식에 적용, 그 적용범위 및 한계성 등을 검토한 결과 국내 개발지역에 대한 토사생산량 산정기법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RUSLE공식의 적용시 우리나라에서 많이 범하고 있는 각 인자별 산정 오류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RUSLE공식 적용시 필요한 토사전달률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에 적합한 두 가지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누적 일괄추정 기법을 이용한 수동 선배열 소나 방위 주파수 - 표적기동분석 연구 (Study on Bearing and Frequency Target Motion Analysis for Passive Line Array SONAR Using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 김인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88-796
    • /
    • 2016
  • Bearing and frequency measurements of TMA (Target Motion Analysis) in passive line array SONAR have lower bearing rate and frequency doppler, and are not detected or tracked continuously because of various ocean environments. This is a main reason to effect the TMA performanc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get TMA solutions. We propose the bearing and frequency TMA(BFTMA) using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to solve the TMA problem of line array passive SONAR. The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structure is based on 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ut used accumulative measurements. The accumulative batch estimation is applied for the BFTMA with nonlinear Kalman filter to estimate the target range, speed and course. Simulation and sea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