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earance of cold water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초

Spatio-Temporal Variation of Cold Water Masse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in 2013 and 2014

  • Han, In-Seong;Park, Myung-Hee;Min, Seung-Hwan;Kim, Ju-Yeon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6-295
    • /
    • 2016
  • With the results of observations in 2013 and 2014 including ocean buoys, in-situ investigations and wind data, we examined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cold water masse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Usually, a cold water mass first appears along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ern coast from May to July, and then along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ern coast from late June to mid-August. Cold water masses appear 3~5 times a year and remain for 5~20 day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A distinctive cold water mass appeared usually in mid-July in this area, the surface temperature of which was below $10^{\circ}C$ in some cases. During the appearance of a cold water mas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was large at the surface and a significant low water temperature below $8^{\circ}C$ appeared at the bottom level. This appearance of cold water masses clearly corresponded to southwesterly winds, which generated coastal upwelling.

울산-감포 해역의 냉수 출현과 동물플랑크톤 분포 (Appearance of Cold Water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off Ulsan-Gampo area,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 이창래;박철;문창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2호
    • /
    • pp.51-63
    • /
    • 2004
  • 여름철 울산-감포 연안 해역은 냉수대가 출현하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 출현하는 냉수대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1년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연안과 외양 4개, 총 8개 정점에서 약 2 주간의 간격으로 세 차례에 걸쳐 채집을 실시하였다. 여름철 냉수대가 출현한 울산-감포 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은 약 19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 수와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채집 시기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지만(ANOVA, p>0.05), 분류군 수는 외양역에서, 총 개체 수는 연안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수온 변화에 따른 변동에서는 출현 분류군 수는 수온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p<0.05), 출현 개체 수는 수온과의 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p>0.05). 비슷한 시기에 계절 변동에 준하는 큰 수온 변동이 있었음에도 생물량과 수온 관계가 유의적이지 않고 연안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생물량이 나타났다. 용승에 의한 냉수의 출현은 연안역에 풍부한 영양염을 공급하고 이로 인해 높은 생산력이 유지되어 동물플랑크톤에 풍부한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을 초래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지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 큰 수온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온보다는 먹이 조건이 더 큰 분포의 영향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남동 연안역의 용승현상에 관한 수치실험 (Numerical Simulation of Upwelling Appearance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김동선;김대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08
  • 1999년 6월 한국 남동 연안역의 울산과 감포 앞바다에 출현한 용승에 의한 냉수출현현상을 3차원 진단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치실험에 의한 냉수출현은 바람 영향으로 인하여 울산-감포 앞바다의 수심 50-100m 층에서 발생한 상승류의 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용승현상은 인접한 부산, 울산 및 감포에서 관측한 바람의 2배인 5.0/m/sec 크기의 바람을 모델에 적용했을 때 발생했다. 따라서 용승현상과 같은 특이한 해양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육지에서 관측한 자료가 아닌 그 해역에 적절한 바람자료를 이용해야 한다.

  • PDF

남해 서부해역 저수온수 출현에 따른 진도 연안 낭장망에 채집된 어류 군집구조 변화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Jindo Island in Response to a Cold Water Appearance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 유준택;성기탁;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76-782
    • /
    • 2015
  • We examin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off the coast of Jindo Island in response to a cold water appearance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each August between 2013–2015. Using a gape net with wings, we collected 31 taxa during the study period, wherein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Collichthys lucidus and Neosalanx andersoni, which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sea of Korea, increased in abundance and were dominant in August 2013, possibly due to the apparent intrusion of cold water (< 19°C) from offshore into the coastal waters of Jindo Island. Meanwhile, Scomberomorus niphonius and Sardinella zunasi, which are known as warmwater migratory species, increased in abundance and were dominant in August 2015, likely influenced by the warmer water (> 20°C) at the coast, which resulted in a noticeable lessening of the cold water in the study are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month of August between 2013–1015. This implies that the small-scal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cold water had limited effects o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even though the abundances of several dominant species varied in the coastal waters.

한국남서연안해역의 저수온 출현과 안개 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ld Water Appearance and Fog Formation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 윤종휘;정희동;조규대;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3-127
    • /
    • 2004
  • It is known that cold water appears and fog frequently forms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in summer. The authors investigate the time and place. of cold water existence, and also whether the cold water affects the occurrence of fog formation. As a result, cold water begins to appear around Daeheugsando at the early summer. It gets colder with times and cold water area moves toward southwest of Jindo in mid-summer, then disappears in this area around mid-Oct. Fog mostly forms in April through August and most frequently occurs at Chukdo(Jindo) where sea surface temperature shows lower than that at the adjacent area. Accordingly it is taken that the cold water i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form the dense and frequent fog around Jindo area.

  • PDF

손의 한랭자극이 인체생리반응과 의복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랭혈관반응, 온랭감각, 한랭통증을 중심으로- (Effect of Cooling Hands in the Cold Water for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lothing Comfort -Focused on Vascular Hunting Reaction, Thermal Sensation and Pain Sensation-)

  • 이원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2호
    • /
    • pp.279-28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hunting reaction of finger in the cold water. Finger skin temperature is measured the left middle finger tip immersion in cold water of 5℃ for 30 minutes and measurements were made on finger skin temperature(Ts), thermal comfort, and cold pain sensations during the experiment at the spring (March) and Winter(December). Results were follows. Is before immersion was at the highest in spring and at the lowest in winter and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door temperature Ts during immersion and recovery. Mean of finger skin temperature(MST), the skin temperature at the first rise(TTR) and amplitude of finger skin temperature reaction during immersion(AT) were significant higher in spring than that in winter(P<.01). The lowest skin temperature(LST) during the cold water immer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pring than that in winter (P<.05).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cold-Induced vase dilation(CIVD) was higher in spring than that in winter. However, time for the first temperature(TTR) and recovery time(RT) had no seasonal variation. In addition, cold pains during immersion were felt more strongly in spring than in winter. Local thermal sensation, finger thermal sensation in dynamic state during hand immersion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Winter. Spring was slowly cold in cold water immersion.

  • PDF

소나무 집성판의 표면화장 재료별 외관품질 및 접착성 평가 (Evaluation on the Appearance and Gluing Characteristics of Pine Laminated Boards according to Overlaying Materials)

  • 소원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27-35
    • /
    • 2007
  • 적절한 화장재료를 표면에 오버레이하는 방법으로 집성판을 2차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국산 소나무 소경 간벌목을 제재하여 집성판을 제조하고 표면화장 재료로서 화장단판, 종이류, 포류를 집성판의 표면에 오버레이 접착가공을 설시하였다. 제조된 화장집성판의 외관품질과 접착성을 조사하고 국산재의 집성이용 및 화장효과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티크 슬라이스드 단판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단판 부풀음, 균열 및 접합틈새가 발생하였고 종이 및 직물류 오버레이 화장집성판의 경우 미약한 밀림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재면 및 겉모양 품질은 양호하였으며 KS규격의 1급에 해당하였다. 화장집성판의 박리율을 비교했을 때 단판이 종이 빛 직물류 오버레이보다 내수접착성이 불량하였다.

한국 남서해역에서 조석전선의 변동과 저수온역 확장기작 (Fluctuation of Tidal Front and Expansion of Cold Water Regi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 정희동;권철휘;김상우;조규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9-296
    • /
    • 2009
  • 본 연구는 장기 해양관측(1966-1995)자료, 위성관측자료 및 수치모델기법을 이용하여 한국 남서해역에서 하계에 형성되는 조석전선괴 저수온역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한국 남서 연안해역에서는 6월과 8월에 대흑산도~진도간 해역의 표면에서 주변 해역보다 $2{\sim}3^{\circ}C$ 낮은 저수온역이 분포하면서 조석전선역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온수평경도가 $0.3^{\circ}C$/km 이상인 조석전선은 성층계수 2.0~2.5 범위이며, $0.03^{\circ}C$/km 이상인 저수온역은 성층계수 2.5~3.0의 범위와 일치하였다. 소조시에서 대조시까지 조석주기가 변하는 동안 조석전선의 위치변동은 전선은 25~75km, 저수온역의 범위는 60~90km로 조류의 세기에 정비례하여 이동 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서쪽 외해역으로 저수온역이 확장되는 원인은 진도 남서쪽으로 향하는 10cm/s 이상의 강한 조석잔차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남서연안해역의 저수온 출현과 안개 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ld Water Appearance and Fog Formation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 윤종휘;정희동;조규대;김동선;이은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83-588
    • /
    • 2005
  • 하계 한국 남서연안 해역에는 저온수가 나타나고 안개가 자주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수의 출현시기 및 장소와 이 해역에서 형성되는 안개에 미치는 저온수의 영향에 대해 조사${\cdot}$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수온역은 초여름 대흑산도 부근해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것은 점차 이동하여 7월 말${\~}$8월 초 진도 남서쪽 해역에 위치하고, 그 후 10월 중순경 이 해역에서 소멸된다. 그리고 이 해역에서는 주로 4${\~}$8월에 안개가 발생하는데, 특히 인근해역에 비해 해면온도가 현저하게 낮은 진도해역에서 안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이 해역에 나타나는 저온수가 안개의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2006년 동해 연안의 수괴 분포 (Water Distribution at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06)

  • 최용규;정희동;권기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9-406
    • /
    • 2010
  • Based on the Results of Annual Monitoring Report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in 2006, it was shown that 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around Korean peninsula could be clear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area of upwelling and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upwelling area, the chlorophyll-a and nutrients were increased by the influence of the decrease of temperature and the increase of salinity. These mean that the appearance of cold water due to the upwelling causes nutrient rich water and also resulted in the high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