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acea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초

The taxonomic status of Angelica purpuraefolia and its allies in Korea : Inferences based on IT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 Lee, Byoung Yoon;Kwak, Myounghai;Han, Jeong Eun;Kim, Se-J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9-214
    • /
    • 2011
  • The taxonomy of the umbelliferous species Angelica amurensis and its allies was reviewed on the basis of molecular phylogenies derived from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Strict consensus of six minimal length 119-step trees derived from equally weighted maximum parsimony analysis of combined nuclear rDNA ITS1 and ITS2 sequences from 29 accessions of Angelica and outgroups indicated that Angelica purpuraefolia, known to be endemic to Korea, is the same species as A. amurensis. Comparisons of sequence pairs across both spacer regions revealed identity or 1-2 bp differences between A. purpuraefolia and A. amurensi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taxa are not distinguished taxonomically. Also, nuclear rDNA ITS regions are discussed as potential barcoding loci for identifying Korean Angelica.

남한지역 한약자원식물의 수집분류와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III. 충청도지역 한약자원식물의 수집분류 (A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III.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ountain of Chungcheong-Do)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9-150
    • /
    • 1994
  • The plants medicinal resouces of middle ar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 1993 to November 30. 1994.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middle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Medical wiId plants of middle southern area consisted of 100 familis, 380 specis in all. The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ae, Liliaceae, Polygonaceae,Ranunculaceae, Brassicaceae, Rosaceae, Fabaceae, Apiaceae, Labiatae, Solanaceae, Scrophulariaceae,Campanulaceae, Compositae. The herb dru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 mountains in ourcountry.

  • PDF

설페이티드 다당류의 실험실적 효능 검색과 동물내에서의 비교

  • 김영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76-76
    • /
    • 1993
  • 헤파린은 혈액응고계에서 antithrombin III 존재하에서 thrombin과 factor Xa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항응고제로서 작용을 한다. 심정맥혈전증 등 임상에 응용성이 높지만 장기적 사용시 혈소판 감소효과, 출혈,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본연구는 식물성 생약으로부터 당을 분리 정제하여 화학적으로 sulfation시켜 in vitro와 ex vivo에서 항응고활성을 비교하였다. 우선적으로 aPTT를 측정하여 응고시간의 연장을 시키는 다섯종류의 식물생약을 선택하였고 이 중에서 청호(Artemisiae apiaceae)로부터 산성당을 분리하여 pyridine과 chlorosulfonic산으로 sulfation 시켰율 때 in vitro상에서 항응고활성은 sulfation전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농도를 달리 하여 실험동물에 투여시 응고시간의 연장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Thrombin 억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sulfate기와 항응고 활성과는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 PDF

Genetic Variation in Geographically Peripheral Populations of Bupleurum euphorbioides (Apiaceae) with Comparison to a Widespread Congener, B. longiradiatum

  • Kim, Hui;Chang, Chin-S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27-35
    • /
    • 2005
  • Bupleurum euphorbioides is isolated and restricted to high mountains in Korea northeastern China. Its conservation depends on whether it is threatened by inbreeding or a loss of genetic diversity. We compared the genetic variability in B. euphorbioides with B. longiradiatum, a widespread congener, to understand how they differ in their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lthough B. euphorbioides showed a little lower genetic variability than B. longiradiatum, $F_{IS}$ statistics for most loci were strongly positive in both B. euphorbioides (0.445) and B. longiradiatum (0.553). In addition, B. euphorbioides showed higher mean $F_{ST}$ value than B. longiradiatum (0.297 vs 0.194). It might be due to the polycarpic nature of B. longiradiatum, which holds higher genetic potentials effectively in homogeneous environment than the monocarpic B. euphorbioid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B. euphorbioides is a genetically viable species, and that they are threatened primarily by environmental factor.

추월산 한약자원식물의 분포 및 분류체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ces in Mt. CHU-WOL)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63
    • /
    • 1990
  • 추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 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월산에 분포되어 있는 약용자원 식물은 113 과, 304 속, 428 종이었다. 2. 분포수종중 초본류는 73 과, 223 속, 317 종, 목본류는 49 과, 85 속, 111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로 전초 또는 근을, 목본류는 수피, 과실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이었다.

  • PDF

남한지역 한약자원식물의 수집분류와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1. 남한지역 한약자원 식물의 수집분류 (A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1.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ountain of south Korea)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27
    • /
    • 1992
  •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southern area(Soraksan, Bughansan, Odesan, Gwanagsan, Sollaegsan, Gyeryongsan, Sogrisan, Deogyusan, Chinsan, Jogyesan, Mudeungsan, Hallasan) of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1992 to November 30,1992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southem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bution.Medical wild plants of southern area consisted of 94 familis,284 speci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Brassicaceae, Rosaceae, Favaceae, Apiaceae, Ldbiatae, Solanaceae, Companulaceae, Compositae.The herb dry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in other mounteins in our country.

  • PDF

Lsolation of Diterpene acid from Anisotome Lyallii

  • Lim Jin A;Choi Young;Oh In Kio;Kim Hyung Min;Kim Young Ok;Perry Nigel B;Baek Seung Hwa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12-1115
    • /
    • 2003
  • The diterpene acid 1 was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isotome lyallii(Apiaceae/Umbelliferae).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elucidated as anisotomenoic acid 1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This compound was evaluated against P388 murine leukaemia and B 16/F10 melanoma cells.

New records of flowering plants of the flora of Myanmar collected from Natma Taung National Park (Chin State)

  • Kang, Dae-Hyun;Ling, Shein Man;Kim, Young-Dong;Ong, Homervergel 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6
    • /
    • 2017
  • The last four years of joint botanical collections by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South Korea in Natma Taung National Park and adjacent areas in the Chin State of Myanmar have revealed the presence of 20 naturally occurring species of angiosperms new to the flora of Myanmar. Plants not previously recorded include species originally considered to be only found in neighboring mega-diverse countries. Examples (e.g., for India) include Boehmeria manipurensis Friis & Wilmot-Dear (Urticaceae), Trigonotis hookeri Benth. ex C. B. Clarke (Boraginaceae) and Mycetia radiciflora (C. B. Clarke) Airy Shaw (Rubiaceae); those for China include Microtoena delavayi Prain (Lamiaceae), Pimpinella kingdon-wardii H. Wolff (Apiaceae) and Senecio diversipinnus Y. Ling (Asteraceae). The data presented in this report are expected to be useful sources for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these species.

전북지역 시설 채소류 작물별 해충 발생양상 및 종 동정 (An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Insect Pests in Greenhouse Vegetables in Jeonbuk Province)

  • 임주락;박성희;문형철;김주;최동칠;황창연;이관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1-280
    • /
    • 2012
  • 전북지역에서 재배되는 시설 채소류 5과 20종의 작물을 대상으로 해충 종류 및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총 22과 39종의 해충이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대만총채벌레 등 7과 10종, 십자화과는 16과 25종, 미나리과는 9과 10종, 백합과는 6과 7종, 국화과는 13과 21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5개 과의 채소 모두에서 발생하였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완두굴파리는 백합과(파, 부추)를 제외한 4개과 채소에서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흰띠명나방을 포함한 13종의 해충은 각각 1개과의 채소에서만 발생하였다. 명아주과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4종이 주요해충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 온실가루이, 완두굴파리, 양배추은무늬밤나방 4종은 미기록해충이었다. 배추과에서는 양배추가루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좁은가슴잎벌레, 배추벼룩잎벌레,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배추흰나비, 무잎벌 9종에 의한 피해가 컸고, 대만총채벌레를 포함한 6종은 미기록 해충이었다. 미나리과에서는 해충 발생에 의한 피해는 크지 않았으며, 차응애, 대만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담배거세미나방, 완두굴파리는 미기록 해충이다. 백합과 주요해충은 파총채벌레, 파좀나방, 파밤나방, 파굴파리 4종이었다. 국화과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을 제외하고 피해가 큰 해충은 없었다.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큰참나물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position of Cymopterus melanotiligia (H. Boissieu) C.Y. Yoon based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 윤창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5
    • /
    • 2001
  • 한국산 큰참나물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엽연부와 분과의 횡단면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밝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근연 속과의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큰참나물은 엽연부가 아래로 급격히 돌출하여 ridge 가 형성되고, 분과에서 한쪽은 2개의 측륵과 2개의 중간배륵, 다른쪽은 2개의 측륵과 1개의 배륵이 날개상으로 발달하는 비대칭적 특징을 보여 Angelica s.l.와는 구별되며, Cymopterus 속에 포함되는 것이 타탕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