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yocypris chinensi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관행 논과 친환경 논의 어류상 및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 특성 (Fish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Aphyocypris chinensis populations i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 방정환;김민경;최순군;어진우;엽소진;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138-147
    • /
    • 2022
  • 논은 농업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서식지이다. 최근 안전한 먹거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필요성이 증가하여 벼 재배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행농업지역 논과 친환경농업지역 논을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하고 영농 방법에 따른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어류상 조사 결과, 총 6과 13종, 2,703 개체가 출현하였고, 관행 논과 친환경 논 모두에서 미꾸리와 왜몰개의 높은 개체수 비율을 보였다. 영농 방법에 따른 개체군 특성 조사 결과, 어류의 개체수 비율의 차이를 보였고, 개체 크기별 빈도 분포에서 친환경 논의 개체수가 관행 논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꾸리 개체군의 전장, 체장, 체중을 비교한 결과, 두 지역 간에는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왜몰개의 경우, 관행 논보다 친환경 논 개체군의 전장, 체장, 체중 값이 높게 나타났다. 전장-체중의 상관관계에서 회귀계수 b 값은 왜몰개보다 미꾸리가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 지수(K)를 분석한 결과, 미꾸리와 왜몰개 모두 관행 논의 K 값보다 친환경 논의 K 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농 방법에 따라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농업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어류급성독성시험 대체법으로서 잉어표피세포를 이용한 Neutral Red Uptake 분석법 적용 (Application of Neutral Red Uptake Assay Using EPC Cells as an Alternative to the Fish Acute Toxicity Test for Pesticide)

  • 서지현;박준우;이성규;김우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3
    • /
    • 2014
  • 본 연구는 5가지 제품농약을 이용하여 어류 급성독성시험 결과 (반수치사농도)와 잉어의 표피에서 유래된 EPC 세포를 이용한 neutral red uptake 결과 (반수저해농도)를 비교함으로써 동물 실험의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어류 급성 독성시험은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를 포함하여 OECD와 농촌진흥청의 농약에 대한 독성시험기준에서 추천하는 어종인 송사리 (Oryzias latipes)와 잉어 (Cyprinus carpio)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5가지 제품 농약에 대한 민감도는 어류에 비하여 세포에서 약 10배 더 낮게 확인되었지만, 독성을 서열화 하였을 때 나타나는 순서는 두 가지 방식에서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5가지 제품 농약에 대한 세포와 어류 독성값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A. chinensis, O. latipes와 C. carpio에서 각각 $r^2=0.38$ (p = 0.26), $r^2=0.76$ (p = 0.05), $r^2=0.90$ (p = 0.01)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의 결과, EPC 세포를 이용한 NRU 시험은 O. latipes와C. carpio에 대한 어류 독성시험 결과와 상관성이 높으므로 향후 더 많은 약제시험을 통해 어류 급성독성시험의 대체시험법으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만경강 유역 수계의 담수어에 기생하는 흡충류 피낭유충 조사 (Survey on Encysted Cereariae of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es in Mangyeong Riverside Area)

  • 이재구;이호일백병걸김평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87-192
    • /
    • 1983
  • In order to clarify infestation Pattern for the encysted larvae of digenetic trematodes from fresh-water fishes, thi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rch to September, 1983. A total of 380 fishes of 32 species wore collected with netting at the three reaches, upper, middle and lower in Mangyeong riverside area. After the fishes were dissected into small scraps, they were pressed under cover glass and examined-for the presence of those of digenetic trematodes with a microscope. The resillts obtailled were as follows; Out of a total of 380 knishes inspected, 320 fishes(84%) from 31 species were found positive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more than 10 species of the metacercariae Ivere detected in Pseuderasbora parva; .Gnnthepegen mtajimae, Microphysogokio yaluensis, Cultriculus eigenmanni and Gnnthopogon coreanus (more than 8 species) ; Aphyocypris chinensis (8 species) and etc. respectively.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were found positive from 93 fishes (25%) from 12 species and detection rates in other species of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from various fishes were; Exorchis oviformis, 261 fisles (57%) from 28 species; Cyathocotyle criensalis, 47 fishcs (12%) from 12 species; Metorchis orientalis, 21 fishes (6%) from 12 species; Metagonimus yokogawai, 164 fishes (43%) from 26 species; Pseudesorchis major, 71 fishes (19%) from 18 species; Metacercaria haiegawai, 77 fishes (20%) from 25 species; Centrocestus armatus, 24 fishes (6%) from 7 species; Echinochasmus japonicus, 2 fishes (0.5%) from 2 species, and unidentified species, 34 fishes (9%) from 15 species respectively. The sums of average number of the encysted larvae of all species found in fish body/gram showed 83 in P.parva, Cobitis taenia (74.2), A. chinensis (28.5), Pseudoperilampus uyekii (26.6), G. majimae (19.6) and etc.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peak number of each metacercaria in fish body/gram showed 21.7 C. sinensis, 245. ovifcrmis, 15, 3 M, crientalis and 6.1 5. japonicus in P. parva. 42.7 C. orientalis and 25.1 M. yohogawai in C. taenia; 8.3 C. armatus and 8.3 M. hasegawai in P. uyekii. 6.3 P. major in Carassius carassius, and 2.9 unidentified species in G, niajimae respectively.

  • PDF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살충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ute Toxicity of an Insecticide Cartap to Several Species of Freshwater Animals)

  • 변상지;최승윤;김광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49
    • /
    • 1984
  • 본 시험은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 발현(發現)에 미치는 동물(動物)의 종류(種類), 수온(水溫) 및 pH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담수산동물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 LINNE),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G{\"{U}}NTHER$), 미꾸리(Misgurus anguillicaudatus CANTOR) 및 둥근물벼룩(Moina macrocopa STRAUS)이었다.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과 물의 경도(硬度)는 각각 $6{\sim}8\;ppm$, $22{\sim}40\;ppm$으로 고정하고, 수온(水溫)의 수준(水準)은 $20^{\circ}C$, $25^{\circ}C$, $30^{\circ}C$이었고 pH치(値)의 수준(水準)은 6, 7, 9이었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水溫) $25^{\circ}C$, pH 7에서 cartap의 TLm (median tolerance limit)치(値)는 금붕어, 왜몰개, 미꾸리에서 낮았고, 등근물벼룩에서 높았다, 금붕어에 대한 48시간 TLm치(値)는 0.88 ppm, 왜몰개는 0.26 ppm, 미꾸리는 0.13 ppm이었고, 등근물벼룩의 3시간 TLm치(値)는 306 ppm이었다. 2) pH치(値)를 7로 고정하고, 수온을 $20^{\circ}C$, $25^{\circ}C$, $30^{\circ}C$로 하였을 때, cartap의 TLm치는 금붕어와 왜몰개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낮아졌으나 둥근물벼룩에서는 $25^{\circ}C$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둥근물벼룩에 대한 3시간 TLm치(値)는 $20^{\circ}C$에서 107 ppm, $25^{\circ}C$에서 306 ppm, $30^{\circ}C$에서 77 ppm이었다. 3) 수온을 $25^{\circ}C$로 고정하고 pH치를 6, 7, 9로 하였을 때, 금붕어와 왜몰개는 pH치가 높아질수록 TLm치(値)도 높아졌으나, 둥근물벼룩은 높은 pH치에서 TLm치가 낮아졌다. 미꾸리의 사망율은 pH치가 커질수록 사망율이 현저히 증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cartap의 담빙산동물(淡氷産動物)에 대한 독성발현도(毒性發現度)는 동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수온(水溫)과 pH의 영향도 크게 받는데, 그 변화양상(變化樣相)은 요인(要因)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 PDF

동진강 유역 담수어에 기생하는 흡충류 피낭유충 조사 (Survey on Encysted Cercaria of Trematodes from Eresh-water Fishes in Tongjin Riverside Areas in Korea)

  • 이재구;임문호백병걸이호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90-202
    • /
    • 1984
  •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distomiasis in Tongjin riverside area, the prevalence of distomiasis in the residents and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es were investigated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from January to April, 1984.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ut of a total of 931 fresh-water fishes which composed of 33 different species, 611 fishes(65.6%) of 31 species were found positive with digenetic trematode metacercariae of 16 different species,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among the fishes in the 3 parts of the river; 53.8% in upper, 80.7% in middle, and 61.0% in lower reaches, respectively. 2.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of Exorchis oviformis, Metagonimus yokogawai, Echinochasmus japenicus, Metorchis orientalis and Clonorchis sinensis in the fishes were 48%,29%, 115, 7.9% and 6.3oA, respectively. 3. The average number of the encysted larvae of Clonorchis found in fish body/gram showed 4.44 in Pseudorasbera larva, Gnathepegon coreanus (1.2), Microphysogoio yaluensis (0.76), Abbottina springeri (0.4), Acanthorhodeus asmussi (0.21) and Cultriculus eigenmanni (0.17), respectively. 4. The average number of the metacercariae of Metagonimus found in fish body/gram disclosed 34.01 in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16.46), Carassius carassius (5.35), Moroco oxycephalus (1.54) , Aphyocypris chinensis (1.5) and etc., respectively. 5. Detection rates of the eggs of Clonorchis and Metagonimus among residents were 1.1% and 0.8%, respectively, out of a total 923 Persons.

  • PDF

만경강 유역에 있어서 간흡충증의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tudios of Clonorchis sinensis in Mangyeong Riverside Areas in Korea)

  • 이재구;백병걸이상복고홍범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57-166
    • /
    • 1983
  •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epidemiological feature of C. sinensis in Mangyeong riverside area, the prevalence of clonorchiasis, infestation rate of the cercariae in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detection rate of th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es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1 to September 30, 1983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etection rate of C. sinensis egg among inhabitants was 8.2% out of a total of 1,266 personsr, but the differences in detection rat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According to sect, the detection rates were 10.3% in male and 6.1% in female (p<0.05), but by age groups, increases of the rates were observed as increase in age (p<0.05). 2. Out of a total of 380 fresh-water fishes of 32 different species, 93 fishes (25%) of 12 species were found positive with Clonorchis metacercariae,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ection rates of the metacercariae among the fishes in 3 parts of the river; 11% in upper, 35% in middle, and 34% in lower reaches respectively. The metacercarial detection rates from various fishes were 97% in Pseudorasbora larva, Cultriculus eigenmanni (85%) , Gnathepogon strigatus (67%), Microphysogobio yaluensis (50%), Gnathopogon coreanus (47%), Pungtungia hergi (44%), Abbotting riwularis (40%), Moroco oxycephalus (33%), Coreoleuciscus splendidus (32%), Gnathepogon majimap (26%), Rhodeus ocellatus (7%), and Aphyocypris chinensis (3%) respectively. 3. Although very few p. manchouricus were collected at upper reach, 12 snails (0.7%) among a total of 1,713 were found infected with Clonorchis cercariae. Also the cercariae of Echinochasmup iapenicus (7.99%), Lexogenes liberum (0.99%), Cyathocotyle orientalis (0.75%), Esorchis oviformis (0.23%) and Asymphylodora japonica (0.05%) were detected from the snails.

  • PDF

낙동강 중류(구미 지역)의 어류군집구조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 서준원;금지돈;양홍준;강영훈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227-235
    • /
    • 2004
  • 2001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낙동강 중류-구미지역 중심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0과 32속 39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어과 어류가 25종 (64.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 어류가 3종(7.7%)이었다. 한국고유종은 4과 11속 14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35.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 어종은 Micropterus salmoides (2.5%)였다. 출현종 중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36.7%), 아우점종은 끄리 (22.7%)였으며, 붕어와 여울마자가 상대풍부도 4.0${\sim}$4.3%로서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칼납자루, 왜몰개, 왕종개, 쉬리, 갈문망둑, 참중고기, 메기, 가물치는 1${\sim}$3개체만 출현하여 희소종이었다. 1990년대 중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인 끄리(O. uncirostris amurensis) 개체군의 밀도가 낙동강 중류역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분포상 주목되는 흰수마자는 하상이 주로 모래로 된 여울(유속 0.43${\sim}$o.67m $s^{-1}$)에 서식하였으며, 보호가 요망된다. 조사지역의 어류군집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균등도 및 우점도지수는 각각 1.008, 0.633 및 0.196으로 나타났다. 수변식물이 발달하고 다양한 서식처를 포함하는 지류부의 종다양도가 1.112로 0.787의 본류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재채취로 인해 하천생태계가 교란된 St. 3, 11, 13, 14에서 종다양도가 0.421 ${\sim}$ 0.574로 낮게 나타났다.

소규모 어도 설치에 따른 논 주변 생태계의 연계성 평가 (Distribution of Fish in Paddy Fields and the Effectiveness of Fishways as an Ecological Corridor between Paddy Fields and Streams)

  • 김재옥;신현상;유지현;이승헌;장규상;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203-2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배수로를 연결하는 소규모 어도를 설치하고 그 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어도주변 수로와 논의 어류상을 조사하여 어도를 중심으로 주변 생태계의 연계효과를 살펴보았다. 용 배수로 조사결과, 친환경 농업지역(A) 용수로에서는 5종 83개체, 배수로에서는 9종 133개체가 채집되었다. 농산물 우수관리지역(B)에서는 용수로에서 4종 128개체, 배수로에서 8종 489개체가 채집되었다. 대호 지역 배수로에 서식하는 어류상 조사결과, 논으로 소상하여 산란과 서식을 할 것으로 판단되는 어종은 왜몰개, 붕어, 참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등 5종으로 선정되었다. 논 농법별로 구분하였을 때, 용 배수로에서 출현한 종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는 농산물 우수관리지역(B)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농법의 차이보다는 조사지점의 특성상 농산물 우수관리지역(B)의 배수로가 흐르는 물의 양이 더 많고 주변 하천과의 연계성이 더 좋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논 어도를 통하여 논으로 소상하는 어류는 미꾸리, 미꾸라지, 왜물개 3종으로 조사되었다. 어류의 주요 이동시간은 주간보다는 야간에 주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논 어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용수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은 논에서 물의 흐름을 확보하고 어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간보다는 야간과 새벽 시간대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중부산악 DMZ 민통선이북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 (Appearance Patterns of Freshwater Fish in Central Mountain Area of DMZ, Korea)

  • 명라연;서형수;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0-542
    • /
    • 2020
  • 중부산악 DMZ 민통선이북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해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동안 24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12과 43종 7,744개체를 채집하였고, 우점종은 참갈겨니(30.3%), 아우점종은 피라미(18.5%)였으며, 그 다음으로 버들치(10.0%), 버들개(6.7%), 돌마자(5.9%), 묵납자루(4.5%), 돌고기(4.2%), 대륙종개(2.6%),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법정보호종은 천연기념물 어름치 1종,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의 다묵장어,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3종 등 모두 4종이, 한국고유종은 20종(46.5%)이 채집되었다. 또한 기후변화민감종(냉수성어류)은 금강모치와 새미, 둑중개 3종이, 육봉형 어류는 다묵장어와 둑중개와 밀어 3종이, 외래종은 배스 1종이 출현하였다. 지점별 우점종은 참갈겨니(15개 지점), 피라미와 버들치(4개), 둑중개(1개)였으며, 우점도는 상류부에서 하류부(김화남 대천 본류)로 갈수록 낮아지고, 반대로 다양도와 종풍부도는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갈수록 높아졌다. 군집구조는 크게 최상류, 상류, 한강, 임진강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조사와 비교한 결과, 본 조사에서 가장 많은 종(43종)이 채집되었고, 새로 채집된 어류는 2종(참중고기, 배스), 채집되지 않은 종은 6종(쏘가리, 대농갱이, 열목어, 흰줄납줄개, 왜매치, 왜몰개)이었다. 김화남대천은 법정보호종(4종)을 비롯한 많은 종이 서식하고 다양도와 풍부도지수가 높아 생물학적 가치가 높았고, 끝으로 이 지역의 보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