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낙동강 중류(구미 지역)의 어류군집구조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urveyed in the Nakdong River, Gumi City, Kyeongpook province from April 2001 to July 2002. During the surveyed Period, 39 species, 32 genera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Cyprinid fish occupied 64.1% (25 species) and cobitid fish had 7.7% (3 species). Fourteen species(35.9%) of observed species were known as endemic species. The exotic fish was Micropterus salmoides (2.5%) . The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36.7%) and Opsariichthys uncirorstris amurensis (22.7%). Carassius aurafus and Microphysogobio rapidus were numerous (4.0${\sim}$4.3%). The rare species comprising less than 0.15% were Acheilognathus koreensis, Aphyocypris chinensis, Iksookimia longicorpus, Coreoleuciscus splendidus, Rhinogobius giurinus, Sarcocheilichthys variagatus wakiyae, Silurus asotus astus, and Channa argus.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density of carnivorous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mid-reach of the Nakdong river since it had been introduced from the other native rivers in the middle 1990s. Gobiobotia nakdongensis inhabit riffle (water velocity : 0.43${\sim}$0.67 m $s^{-1}$) of which the river bed is mainly sand. This species is considered to be in need of conservation. As the result of analyzing fish community in the surveyed area, the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t indices were 1.008, 0.663 and 0.196 respectivel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ributary, which the waterside plants were abundant and had various habitats, had a higher species diversity (1.112) than the main river (0.787). Sand mining had been disturbing the river ecosystem of the study stations 3, 11, 13 & 14, and these stations showed a quite low species diversity (0.421 ${\sim}$0.574).

2001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낙동강 중류-구미지역 중심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0과 32속 39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어과 어류가 25종 (64.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 어류가 3종(7.7%)이었다. 한국고유종은 4과 11속 14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35.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 어종은 Micropterus salmoides (2.5%)였다. 출현종 중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36.7%), 아우점종은 끄리 (22.7%)였으며, 붕어와 여울마자가 상대풍부도 4.0${\sim}$4.3%로서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칼납자루, 왜몰개, 왕종개, 쉬리, 갈문망둑, 참중고기, 메기, 가물치는 1${\sim}$3개체만 출현하여 희소종이었다. 1990년대 중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인 끄리(O. uncirostris amurensis) 개체군의 밀도가 낙동강 중류역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분포상 주목되는 흰수마자는 하상이 주로 모래로 된 여울(유속 0.43${\sim}$o.67m $s^{-1}$)에 서식하였으며, 보호가 요망된다. 조사지역의 어류군집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 균등도 및 우점도지수는 각각 1.008, 0.633 및 0.196으로 나타났다. 수변식물이 발달하고 다양한 서식처를 포함하는 지류부의 종다양도가 1.112로 0.787의 본류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재채취로 인해 하천생태계가 교란된 St. 3, 11, 13, 14에서 종다양도가 0.421 ${\sim}$ 0.574로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금지돈. 2001. 비슬산생태계조사보고서.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 156-179
  2. 권오택. 1990. 내성천의 어류군집 구조.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금지돈, 양홍준. 2002. 남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5(3): 220-231
  4. 김영호. 1977. 미천산 담수어의 미세분포상에 관하여. 충북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7. 김재엽. 1985. 감천 (낙동강)의 어류상과 Cyprinidae 어류의 형질조사.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명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96 한국육수학회 심포지움: 31-45
  9. 남명모, 강영훈, 채병수, 양홍준. 1998. 청도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1(2): 88-92
  10. 수자원공사.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수자원연구소 WRRI-GT-96-2: 264
  11. 양홍준. 1973. 낙동강산 어류의 조사. 목록과 분포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6: 19-36
  12. 양홍준, 정 준. 1984. 합천댐 예정지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경북대 논문집 38: 125-141
  13. 양홍준, 채병수. 1993. 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I). 한국육수학회지 26(1): 1-10
  14. 양홍준, 채병수. 1994. 대도시주변 하천수계의 수질환경과 육수 생물학적인 연구. 금호강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II). 한국육수학회지 27: 177-188
  15. 윤희남. 2000. 한국산 피라미속 어류의 서식 제한요인에 관하여. 상명대 석사학위논문
  16. 이충렬. 1988.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17. 장민호, 조가익, 주기재. 2001.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34(3): 223-238
  18.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전상린. 1985. 주왕산계류의 담수어류상. 자연보존협회보고서 23: 111-128
  20. 전상린. 1987. 낙동강 하류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보고서 9: 77-90
  21. 전상린, 1999. 반변천에서 채집된 끄리 (잉어과)에 관하여. 한국환경과학회지 17(4): 499-501
  22. 전상린, 손영목. 1983. 한국산 흰수마자의 분포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6(1-2): 21-26
  2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24. 주일영, 전상린. 1977.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1. 상주, 안동을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0: 19-28
  25. 주일영, 김익수, 고재명. 1980.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2. 지리산 일대의 계류를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3(3-4):25-31
  26. 채병수. 1999. 자연생태탐사 (금호강을 중심으로).-어류편-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 47-83
  27. 채병수. 2002. 국내 서식어종의 다른 하천수계로의 도입-사례 및 주요종의 현황-. 2002 한국어류학회 심포지움: 69-82
  28. 채병수, 강영훈, 이용호. 1996. 낙동강생태보고서-낙동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 287-402
  29. 채병수, 남명모, 양홍준. 1998a. 낙동강수계 영강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1): 67-76
  30. 채병수, 강영훈, 양홍준. 1998b.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1): 77-86
  31. 채병수, 남명모, 강영훈, 양홍준. 1999. 낙동강수계 밀양강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2(1): 58-68
  32. 최기철, 전상린. 1978. 월악산, 주흘산 및 조령일대의 담수어에 관하여. 자연보존협회 보고서 15: 25-31
  3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34. 홍영표. 1991.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피라미 (Zacco platypus)와 갈겨니 (Z.temmincki)의 분포 및 군집동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可兒藤吉. 1944. 溪流昆蟲의 生態. 姸究祉, 東京.
  36. 內田惠太郞. 1939. 朝鮮魚類誌. 第1冊, 絲顎類, 內顎類.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6
  37.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38. Kim, I.S, J.H, Lee. 1990. Diploid-triploid Hybrid Complex of the Spined Loach Cobitis sinensis and C. longicorpus (Pices, Cobitidae). Kor. J. Ichthyol. 2(2): 203-210
  39. Mori, T. 1935. Descriptions of two new genera and seven new species of Cyprinidae from Chosen. Annot. Zool. Japan. 15(2): 169-171
  40.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41.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131-144
  42.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43.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44. Yang, H.J. and M.M. Nam. 1985. An investigation of fish fauna, zooplankton, water quality and climatic condi-tion in the planned Unmun Dam area, Cheongdo. Res. Rev. Kyungpook Univ. 40: 325-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