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rture Size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3초

Ka-대역 위상배열안테나 배열 구조 분석 (Array Configuration Analysis of Ka-Band Phase Array Antenna)

  • 김영완;권준범;강연덕;박종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41-14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Ka-대역 위상배열안테나의 배열소자 개수 및 빔 조향 범위에 따른 빔 패턴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Ka-대역의 전기적 길이 특성으로 인해 배열구조 설계 시 배열 소자간의 거리가 짧아져 동일한 개구면 적용 시 배열 소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배열 간격을 넓혀서 배열소자의 개수를 줄이면, 빔 패턴의 가시 영역에 주빔과 동일한 크기의 그레이팅 로브가 발생하게 된다. 배열소자의 개수가 최소화되어야 하는 시스템에 적용되어야 할 경우 배열소자의 개수를 72% 줄이며 빔폭 및 부엽준위 등의 성능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Physical protection system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 small nuclear research reactor due to TNT-shaped charge impact on its reinforced concrete wall

  • Moo, Jee Hoon;Chirayath, Sunil S.;Cho, Sung G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6호
    • /
    • pp.2135-2146
    • /
    • 2022
  • A nuclear energy facility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ilities to be safely protected during and after operation because the physical destruction of its barriers by an external attack could release radioactivity into the environment and can cause harmful effects. The barrier walls of nuclear energy facilities should be sufficiently robust to protect essential facilities from external attack or sabotage. Physical protection system (PPS)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 typical small nuclear research reactor was carried out by simulating an external attack with a tri-nitro toluene (TNT) shaped charge and results are presented. The reinforced concrete (RC) barrier wall of the research reactor located at a distance of 50 m from a TNT-shaped charge was the target of external attack. For the purpose of the impact assessment of the RC barrier wall, a finite element method (FEM) is utilized to simulate the destruction condi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hole-size of diameter 342 mm at the front side and 364 mm at the back side was created on the RC barrier wall as a result of a 143.35 kg TNT-shaped charge. This aperture would be large enough to let at least one person can pass through at a time. For the purpose of the PPS vulnerability assessment, an Estimate of Adversary Sequence Interruption (EASI) model was used, which enabled the determination of most vulnerable path to the target with a probability of interruption equal to 0.43. The study showed that the RC barrier wall is vulnerable to a TNT-shaped charge impact, which could in turn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he PPS.

영아기에 우연히 진단된 십이지장 격막 (Incidentally Diagnosed Duodenal Web in Infancy)

  • 김서영;한병희;박기영;남궁정만;우다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24-729
    • /
    • 2022
  • 십이지장 격막은 십이지장 관강 내의 불완전한 막으로 부분폐쇄 또는 간헐적인 완전 폐쇄를 일으킨다. 격막의 개구부 크기에 따라 폐쇄의 정도,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영상의학적 소견이 다르다. 저자들은 이물질 섭취를 주소로 내원한 14개월 남아에서 우연히 진단된 십이지장 격막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복부 방사선 촬영, 상부 위장관조영술, 내시경, 수술 소견들을 종합하여 기술하였다. 저자들은 영아기에 섭취한 이물질의 배출이 지연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이물질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할 경우, 폐쇄 위치로 십이지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한 소동물 SPECT 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nimal SPECT System Using Philips ARGUS Gamma Camera and Pinhole Collimator)

  • 김중현;이재성;김진수;이병일;김수미;정인순;김유경;이원우;김상은;정준기;이명철;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45-455
    • /
    • 2005
  • 목적 : 임상용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특별 제작한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하여 animal SPECT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물리적인 성능을 평가하고 소동물 실험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스텝 모터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피사체 회전장치를 개발하였다. 작은 입구(0.5, 1.0, 2.0 mm)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제작하였고 평면 공간해상도, 민감도, 단층촬영해상도 등을 포함한 물리적 성능을 모든 입구 크기에 대해 실험하였다. 조준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같은 간격만큼 떨어진 여러 선선원의 영상을 얻고 영상의 시야 내에서 보이는 선 영상의 개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였다. 시야의 정중앙에 놓인 내경 0.5 mm, 길이 12 mm의 Tc-99m 선선원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평면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반값두께를 'mm'단위로 얻기 위한 환산인자를 평면 영상에서의 두개의 서로 떨어진 선선원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시스템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경 1.0 mm의 Tc-99m 점선원을 사용하였다. 또한 냉소반점 모형과 열소반점 모형, 그리고 [I-123] FP-CIT를 정맥내 주사한 흰쥐의 뇌 영상의 SPECT 영상을 얻었고 여과후역투사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결과: 사용 가능한 시야의 크기는 조준기의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였고 이들의 관계는 선형 함수로 근사되었다(y=1.4x+0.5). 3 cm에서 1.0 mm 조준기로 측정한 민감도와 평면해상도는 각각 71 cps/MBq과 1.24 mm이었다. 1.0 mm 바늘구멍조준기에 대하여 [I-123] FP-CIT를 이용한 흰쥐의 뇌 SPECT 영상에서 각 반구의 줄무늬체 도파민 전달체 분포가 잘 구분되어 보였다. 결론: Philips ARGUS 스캐너와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로 개발한 새로운 소동물 SPECT 시스템이 소동물 영상을 얻는데 충분한 성능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화분 형태에 의한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 식물의 분류학적 유연관계 (Relationships of Korean Euphorbia L.(Euphorbiaceae) based on pollen morphology)

  • 오병운;김영수;정규영;김미경;박기룡;김주환;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9-362
    • /
    • 2002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화분 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특히 화분 극축의 길이, 적도면의 직경, 발아구의 크기, 표벽의 두께 등이 측정되었다. 또한 화분 형질의 분석을 바탕으로 화분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평가 및 분류군의 유연관계가 논의되었다. 화분 극축의 길이(P)와 적도면 직경(E)의 평균치를 바탕으로 한국산 대극속은 다음과 같이 3군으로 구분되었다 : 1군. 흰대극아속의 낭독절, 대극절; $(P)x(E)=(54.88-67.17{\mu}m)x(44.30-64.75{\mu}m)$, 2군. 흰대극아속의 흰대극절, 등대풀절; $(P)x(E)=(39.98-47.24{\mu}m)x(36.07-38.83{\mu}m)$, 3군. 땅빈대아속의 큰땅빈대절, 땅빈대절; $(P)x(E)=(30.32-32.51{\mu}m)x(21.71-26.23{\mu}m)$. 또한 각 분류군에서 관찰된 다양한 표벽무늬는 소공의 크기와 소공 간 간격의 차이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화분 형질 중에서 화분의 크기 및 표벽무늬는 비교적 아속과 절 수준에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땅빈대아속은 매우 작은 화분의 크기에서 뿐만 아니라 표벽에 소공이 치밀하게 분포한다는 점에 의해서 흰대극아속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각 종의 지역집단에 따라 화분의 크기에 심한 변이가 존재하였고 또한 여러 유형의 표벽무늬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화분의 크기 및 표벽무늬는 대극속의 각 종을 분류하는 데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표벽무늬의 유사성을 근거로 단주낭독이 낭독보다는 붉은대극에 더 가깝고, 대극, 두메대극, 참대극은 밀접한 유연관계가 있음이 밝혀지는 등, 대극속 일부종의 분류에는 그의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초음파 영상을 위한 계층적 특징점 기반 블록 움직임 추출 (Hierarchical Feature Based Block Motion Estimation for Ultrasound Image Sequences)

  • 김백섭;신성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4호
    • /
    • pp.402-410
    • /
    • 2006
  • 연속된 초음파 영상 시퀀스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접된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을 추정해야 한다. 기존에는 고정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정확성을 높이고 계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다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특징점 기반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블록 움직임 추정 방법은 규칙적으로 블록을 배치하기 때문에 추정된 움직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블록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을 중심으로 블록을 배치하여 움직임 추정의 정확도는 유지하면서 블록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어파츄어문제(aperture problem)을 줄이기 위해 코너점을 특징점으로 하였다. 움직임 추정 영역은 일정한 크기의 부영역으로 나누고, 각 부영역에서 가장 코너 강도가 큰 점을 선택하였다. 특징점을 선택하는 데는 해리스 스테판 코너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코너점들이 한 곳으로 편중될 경우 블록들이 움직임 추정 영역에서 골고루 분산되지 않아 이렇게 구한 블록 움직임을 이용하여 전역 움직임을 구하면 오차가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징점을 선택하는 영역에 제한을 두도록 하였다. 초음파 영상에는 스펙클과 잡음이 많아 코너점을 구하기 전에 영상 평활화를 해야 한다. 계산시간을 줄이고 잡음이 감소된 영상에서 코너점을 구하기 위해 저해상도 영상에서 블록 움직임을 구한 후 점점 고해상도로 확산하는 형태로 다해상도 영상을 사용한다. 실제 세가지 종류의 초음파 영상 시퀀스에 대해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움직임 추정 오차(Displaced Frame Difference)를 평균 66.02에서 58.98로 줄이면서 계산시간은 평균 71ms에서 44ms 으로 빠르게 됨을 알 수 있었다.

Cellularity of Adipose Tissue Obtained from Different Sex and Growth Stages of Hanwoo Cattle and Sheep

  • Lee, H.J.;Lee, S.C.;Kim, D.W.;Park, J.G.;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55-160
    • /
    • 200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ex or age on cellular characteristics of adipocytes from Hanwoo and sheep, samples were obtained from omental, subcutaneous, intermuscular and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depots of bulls, steers, heifers and cows in Hanwoo, and perirenal, oment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of fetal lambs, suckling lambs and wethers in sheep. In case of Hanwoo, mean diameter, surface area and volume of adipocytes from each depot were obtained by multisizer II (Coulter Co., UK). Osmium-fixed adipocytes were sized and counted using $560{\mu}m$ aperture. For samples obtained from sheep, cellularity was measured by using microscope and MCV program of Texas Instrument. Bulls had less subcutaneous and kidney fat than steers even though their slaughter and carcass weight were heavier. The amounts of fat from cows were greater in subcutaneous, kidney and internal organs than heifers. Steers had larger adipocytes in subcutaneous, intermuscular and intramuscular adipose tissues than bulls,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only for th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depots. Adipocytes appeared to be largest in omental and smallest in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issues. In a comparison of heifers and cows, significant site effects (p<0.05) were shown in adipocyte diameter, surface area and volume, and adipocyte appeared to be largest in omental tissue. Statistical difference (p<0.05) was only shown in cell volume of intramuscular tissue which was higher in cow than heifer.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tended to have relatively greater numbers of cells per gram tissue and reflect lesser maturity of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relative to other adipose tissues. In sheep, regardless of adipose tissue depots, wethers had the greater adipocyte diameters than those at any other growth stage of sheep. Within adipose depots, the ranking of cell size was the greatest in the omental tissue of wether and the lowest in the ren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depots of fetal lamb. The cell size of adipocyte became larger with age, especially from fetal to suckling lamb due to a rapid hypertrophy of both perire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s during the suckling period.

소맥엽신의 기공분포 및 기공수와 타형질과의 관계 (Frequency, Distribution of Stomata and Relationship Between Stomatal Frequency and Other Characters of Wheat Cultivars)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7-314
    • /
    • 1984
  • 소맥 품종들에 대한 기공수의 품종간 차이, 엽각부위의 기공분석 및 기공수와 출수기, 간장및 타 광합성 관련형질들과의 관계를 구명코져 조광외 100품종을 공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엽표면의 기공수는 최저 51(/$ extrm{mm}^2$), 최고90, 이면의 최저는 35, 최고는 65개로서 표면은 이면비해 1.5배가 많았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기공수가 표면은 61~75, 이면은 41~50개인 품종들이었다. 2. 기공의 크기는 표면은 38.5~46.6$\mu$, 이면은39.4$\mu$48.0$\mu$으로 이면의 기공이 다소컸으며 기공수와 기공의 크기 간에는 표면 -0.63**, 이면 -0.48*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위엽의 기공수는 하위엽보다 많고 각 분얼 동신엽의 기공수는 지엽은 고위분얼이 그 하위엽에서는 저위분얼에서 발생한 엽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동일엽신내에서는 표면은 선단부나 중앙부가 많고 기부가 적은 반면 이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지엽 및 제2엽의 엽초에도 기공수는 상당히 존재하여 제3엽이나 제4엽이면의 기공수보다도 많았다. 6. 지엽표면의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타엽신이나 엽초에도 많았다. 7. 지엽표면의 기공수와 간장, 출수기와는 각각 0.53*, 0.51*의 상관이 있었고 엽면적당 건물중(SLW)과는 -0.48*, 엽록소함량 0.53*, 엽면적 -0.59**, 기공개도와는 -0.53* 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엽맥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공수가 많은 품종은 간장이 크고, 출수기는 늦어지는 경향이며, 엽유의 두께나 엽면적은 작고 엽록소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ERS-Envisat SAR Cross-Interferomety를 이용한 고정밀 DEM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Precision DEM Generation Using ERS-Envisat SAR Cross-Interferometry)

  • 이원진;정형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1-439
    • /
    • 2010
  • 교차간섭기법은 ERS-2와 Envisat SAR 데이터를 이용하여 긴 기선거리를 지니면서도 양질의 간섭도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긴 기선거리에 의해서 고도에 대한 프린지 변화율이 약 5m 내외로 계산되며 이는 매우 정밀한 DEM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ERS-2와 Envisat 교차 간섭기법으로부터 정밀한 DEM을 추출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경사가 매우 완만한 알라스카지역에서 교차간섭기법으로 제작된 CInSAR(Cross-Interferometry SAR) DEM과 기존에 존재하는 NED(National Elevation Dataset) DEM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차분 간섭도 생성과정에서 NED DEM 오차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발견되었으며 이 부분에 대한 CInSAR DEM과의 고도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는 2.63m로 계산되었다. 하지만 전체지역에 대해서는 NED DEM과 CInSAR DEM의 고도값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는 약 1m로 NED DEM과 매우 유사한 값이 계산되었다. 이는 연구대상 지역이 매우 편평한 지형으로 양질의 DEM이 구축되어 있으므로 매우 유사한 값이 계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두 DEM에 대한 공간주파수 분석을 하였을 경우 CInSAR DEM은 약 0.08 rad/m(약 40m) 보다 고주파영역에서도 높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지닌 반면 NED DEM은 그렇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16m로 해상도로 구축된 CInSAR DEM의 경우 NED DEM보다 약 2.5배 공간해상도가 높아졌으며 경사가 심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정밀한 DEM이 생성되었다.

우리나라 자생나리의 종별 화분형태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ilium Native to Korea by Pollen Size)

  • 남유경;박기배;이진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62-65
    • /
    • 2010
  • 한국산 나리속 7종의 화분 관찰에 의한 나리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단립(monad)으로 발아구가 한 개인 장형(prolate)을 띠었다. 화분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별로 차이를 나타내어서 말나리가 2.59로 제일 큰 장타원형을 나타냈고, 하늘말나리는 1.82로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나타냈다. 화분의 길이와 폭은 참나리가 각각 115.90와 $46.54{\mu}m$로 가장 컸으며 하늘말나리는 길이와 폭이 각각 $70.33{\mu}m$$38.72{\mu}m$로 가장 작았다. 외막의 표면 무늬는 망상(reticulate)으로서 망강(lumen)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다각형으로 7종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속의 종간 분류는 말나리와 중나리가 오차범위 내에서 유사한 화분 크기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나머지 종들의 화분 길이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분의 길이를 통한 나리속의 분류는 외막 모양이나 화분의 단면적보다는 화분 크기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