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Brand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8초

웰빙 아파트에 대한 부산지역 잠재 수요자의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s of Potential Customers in Busan towards Well-being Apartments)

  • 김주형;빈주영;오승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154-161
    • /
    • 2004
  • 최근 새로운 트랜드로 떠올라 산업전반을 강타하고 있는 웰빙(well-being) 개념이 주택업계에도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공동주택 구매자들은 안락함을 누리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차별화 된 아파트를 선호 하였고 이후 관련업계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건강 친환경 개념을 강조한 웰빙 아파트를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업계는 침체된 부동산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하고 있다. 업계측은 설계 및 평면에서 단지조경, 마감재의 차별 화등을 시도하면서 이를 웰빙 아파트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업계가 주장하고 있는 웰빙 아파트에 대한 개념을 수요자들도 공감하고 있는지와, 실재 이들이 어떤 요소 혹은 기능을 웰빙 이라고 여기는지에 대한 조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부산지역에서 웰빙 아파트를 구매할수 있는 잠재 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웰빙 아파트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 및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나 기능에 대한 세부집단별 차이를 분석해 관련업체가 향후 이들 세부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마케팅 방안을 수립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저관여 생필품 소매업체상표 구매자의 특성: 스캐너 데이터 분석 (Characteristics of Private Label Users of Low Involvement Products: Scanner Data Analysis)

  • 조재운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5호
    • /
    • pp.95-102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with high private label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demographics such as gender, age, income, and residence type affect private label purchase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psychographics rather than directly. For instance, higher income group is time pressured, price-insensitive, quality-sensitive, less likely to enjoy shopping utilitarian products, and less likely to be variety-seeking.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sults found in the previous empirical foreign research using scanner data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label users between Korea and the foreign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scanner data of a Korean major super center was analyzed. Results -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rivate labels are more favored by old people over 50s, dwellers in individual house, lower income group, and frequent store visitors. Age of 30s, dwellers in the apartment of 30 pyung, higher income group, and consumers who purchased a large amount are less likely to purchase private labels. Gender turned out not to affect private label purch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ulticollinearity among in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 for retailers' private label strategy. In general, retailers heavily send private label coupons to the customers with high purchase volume. According to the research, however, store visit frequency is much mo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ivate label purchase than purchase amount. The study has some limitations. The samples are only consumers with private label purchase experience. The data were drawn from one store and only 8 commodity produ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lso, if more demographics were available, a more complete description on the private brand users' profile could have been derived. We propose the following future research. Research using the data including consumers without private label experience, research investigating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private label loyalty and store loyalty, and research using hedonic private label products such as TV and PC could be promising.

주택문화관의 지역복합커뮤니티센터로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ctivation Plan of Housing Cultural Center as Local Complex Community Center)

  • 신해철;박경난;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122
    • /
    • 2008
  • As a model house has attempted a role change from a conceptual perspective as a housing cultural center starting from the 90ties, it began to direct the change into a high end building. In particular,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recently invested on an unimagined scale, unlike in the past, in building a model house and pursued the construction of new attractions of cities as well as the upgrade of a brand image by hiring and implementing the designs of celebrity architects or designers. In addition, they have been in pursuit of a change by enhancing the satisfaction and pride of residents by offering spaces and programs for various cultural arts for apartment residents or potential customers and having them participate in those programs. This study aims to expound on the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of a housing cultural center as a local complex community center by analyzing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al program of a housing cultural center appearing since the 90ties. With this aim, the study analyzed the cases of a complex community center and the program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a housing cultural center within the case study in order to propose the possibilities for the utilization of a local complex community center. The elevation of the cultural and economic level of citizens and a rapid social change are shown as various demands for welfare, and the subsequent social physical change has led to the expansion of a space as a complex community. A housing cultural center is also directed to grow as a complex community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e demands and participations of consumers, and prepares a field for a broad spectrum of commun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ousing and cities.

  • PDF

첨단산업단지가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Impacts of High-Tech Complex on Neighborhood Housing Price)

  • 박동웅;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543-455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의 첨단산업단지가 주변지역과 상호보완적 발전을 이루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성공사례로 꼽히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산업시설'요인 뿐 아니라 기존의 연구에서 주택가격 요인으로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던 주변 입지특성으로 '교통시설', '편의시설', '안전시설', '문화체육시설' 등 다양한 주변 도시계획시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자료를 SPS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첫째, 단지특성부문에서는 '노후도', '아파트 브랜드', '난방방식' 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입지특성의 중분류 부문으로 '교육시설', '교통시설', '안전시설', '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편의시설' 등에서 세부 영향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셋째, '첨단산업 내 우수기업' 역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실증분석 되었다. 향후 첨단산업단지 주변지역의 상생발전을 위한 배후 주거지 개발계획이 수립 시 종합적 입지적 특성, 단지특성 등 주택가격 형성요인을 고려하고 첨단산업단지의 종사자와 부양가족에 실수요에 맞는 적합한 주택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기능성 우렁이 만두제품의 마켓 테스트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Testing of Ready-to-Eat Mandu with Pond-Snail as a Health Food)

  • 장혜자;황윤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50-660
    • /
    • 2006
  • Recently, according to increase in production of pond snails resulting from the widespread organic farming, organic farmers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s in the promotion of consumption and extending the market of pond snai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of the ready-to-eat pond-snail Mandu as a health food, to show the results of market test of the pilot product,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periods. For the market test of pond-snail Mandu, the survey was developed and delivered to consum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parts such as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ustomer's perception of pond-snail Mandu before tasting, and customer's perception of that after tasting. And the market test was carried out with university students, welfare institution residents and apartment resi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most important purchasing factors were determined in the order of taste (49.5%), hygienic quality (12.5%), nutritional value (10%) and price (9%). And only 4.2% of respondents selected brand name as an important purchasing factor. After tasting pond-snail Mandu, consumers had suggested the better taste (t=6.986, p<0.000) and price (t=2.082, p<0.05) than those of before tasting. In response to favorable impression of pond-snail Mandu, 54.5% of total respondents evaluated positively. The favorable impressions came from iron-rich Mandu (27.6%), high protein and nutritious Mandu (24.4%), calcium-rich Mandu (17.9%), diet Mandu (13.3%), and delicious Mandu (12.5%) respective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nd-snail Mandu were evaluated by professional panels in terms of the softness of Mandu skin, chewiness, moistness, toothpacking, color, aroma, saltiness, and degree of plain, taste, and aftertaste. The evaluati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n a 7-point scale, showed that softness of mandu skin (4.44) and aftertaste (4.11) got a low scores.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tastes (p>0.05) was not founded by storage period of 7, 14, 21 and 28 days. Based on the result, the improvement of these characteristics are desired in developing the pond-snail Mandu. Research method applied to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a new product.

식품의 안전성요인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Differenciation Test on Food Safety Factor′s for Purchasing Rice)

  • 이순석;오상헌;이상용;박주섭;김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2-125
    • /
    • 2004
  • 본 논문은 브랜드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들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1,00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들이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항목을 5점 리커르트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쌀의 잔류 농약 정도로서 4.12점이 나왔고, 영양가 높은 쌀(4.01점), 쌀알의 모양(3.96점) 및 쌀의 생산지(3.88접)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위해 고유치(eigen value) 값이 0.8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요인 수를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특징은 유형적 차원과 무형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전자인 유형적 차원은 건강성 요인(잔류농약, 도정일자, 완전미 여부), 지역성(생산지), 외관성(크기, 모양) 및 가격성 등의 가시적 차원으로 소비자가 쉽게 판단하거나 쌀간의 비교가 용이한 특성이며, 후자는 심리적 속성이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브랜드 상표와 품질 인증 마크가 가지는 신뢰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형적 차원인 식품의 안전성이 도시 주부 간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독립 2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도시주부가 특성별로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기준은 자의적 분류보다는 공통적인 기준을 이용하고자 평균값(나이, 학력, 소득, 동거가족 수)을 기준으로, 그 외의 경우는 더미변수(주부직업 유무, 주거형태 및 거주지역)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으로 추출된 요인 값의 평균에 대해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거형태가 1% 유의 수준에서, 주부취업 여부 및 거주지역이 각각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주부간의 나이, 학력, 소득수준 및 동거가족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추정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식품의 안전성 요인을 포함하는 쌀의 마케팅 전략은 취업주부, 아파트 거주자 및 강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활동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시 주부의 특성 변수들을 세밀하게 구분해서 분석하는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