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Scale

검색결과 1,229건 처리시간 0.033초

The efficacy of photobiomodulation on dental injection pai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 Maryam Altuhafy;Virda Baig;Luay Jabr;Junad Kh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145-159
    • /
    • 2024
  • Dental injections are routinely performed and can result in pain and anxiety in patients.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hotobiomodulation therapy (PBMT) in dental injections for pain management in patients undergoing dental treatment. Indexed databases, including PubMed, EMBASE, Scopus, ISI Web of Knowledge, and Cochrane Library, were electronically searched without a time limit up to February 2024. A risk of bias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Cochrane tool. A preliminary investigation using electronic and manual methods yielded 4,920,881 manuscripts. Based on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13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were included. Self-assessed pain was determin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Face, Legs, Activity, Cry, Controllability scale, or Wong-Baker face pain scale. Eight RCTs demonstrated a notable decrease in needle pain in patients undergoing dental needle injections using PBMT. Based on current evidence, PBMT may help reduce needle pain related to dental anesthesia. Further standardized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PBMT for postoperative pain in patients undergoing dental injections.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Scale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in University Students)

  • 김대식;성현호;이종우;조은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08-315
    • /
    • 2017
  •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CIMT) 검사는 심장 질환의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도 안전하고 비 침습적으로 죽상경화증을 검사하고 모니터 할 수 있는 표준화 된 초음파 절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로 측정 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기타 질환이 없는 대학생 168 명(남자 46 명, 여자 122 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참가자들의 연구 참여는 문서를 통하여 개인적으로 동의를 받았다.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는 비 침습성 고 해상도 Medison Accuvix V20 초음파 장비를 사용하여 분기점 아래 1 cm의 좌우 총경동맥에서 측정되었고, 스트레스 인지정도는 10 가지 항목의 PSS (Perceived Stress Scale)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PSS가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과 체중을 추정하는데 적절함을 나타냈다. 스트레스 유무에 따라 좌측 CIMT와 체중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 연구의 결과는 체중 측정이 부분적으로는 일반화 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CIMT에 대한 인지된 스트레스와 일반화 된 불안의 영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황장애 환자 치료 결과에 대한 6개월간의 전향적 추적조사 (6-months Prospective Follow-up Study of Panic Disorder Treatment)

  • 유제춘;이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58-65
    • /
    • 2001
  • 연구목적 : 공황장애는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적 치료에 의해 두드러진 급성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많은 환자에서 만성적으로 되고 자주 재발하는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6 개월간의 전향적 추적 조사를 실시하여, 공황 장애의 치료 경과를 관찰하고, 좋은 치료 경과와 연관이 있는 인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외래를 처음 방문해서 SCID(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II-R)에 의해 공황장애로 진단된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방문시의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공황 증상의 임상적 특징 등을 측정하였고 6 개월이 경과한 후에 불안, 공포, 장애의 세 가지 척도를 이용해서 치료 경과를 측정하여 좋은 치료 경과를 보이는 환자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공황장애의 좋은 치료 결과와 연관이 있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19명에 대해 최종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 중에 장해 척도와 공포 척도에서 각각 10명(52.6%)이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고, 불안 척도에서는 8명(42.1 %)이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다. 또한 8명(42.1 %)이 세 가지 척도 모두에서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다. 공포 증상면에서는 최초 방문시 공포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치료 경과와 상관이 있었고(p=0.005) 유병기간이 짧은 것이 좋은 치료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상관성의 경향을 보였다(p=0.07). 결론 : 공황장애를 가진 환자 중에서 절반 정도(42.1%) 가 좋은 치료 경과를 보였고, 최초 방문시 공포 증상이 심한 환자와 유병 기간이 짧은 환자가 좋은 치료 경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선택적 함구증 환자에서의 Fluoxetine 치험 (A CLINICAL TRIAL OF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SELECTIVE MUTISM)

  • 박민숙;남수용;육기환;노경선;이홍식;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66-272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적 함구증 환자에게 강력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fluoxetine을 투여한 후에 임상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선택적 함구증 환아 17명으로 8주간 fluoxetine $20{\sim}60mg$을 투약하였고,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척도의 변화를 통해 치료효과를 평가함과 아울러 선택적 함구증의 동반병리 및 fluoxetine의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Fluoxetine 치료후의 CGI 척도 점수는 치료전의 4.3(${\pm}0.6$)점에서 1.9(${\pm}0.9$)점으로, CDI는 치료전 17.8(${\pm}5.6$)점에서 11.6(${\pm}3.9$)점으로, RCMAS는 치료전 13.2(${\pm}4.2$)점에서 9.6(${\pm}3.6$)점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8주 치료기간 중 치료 4주 이후에 58.8%의 환자가, 치료 8주 시기에는 76.5%의 환자가 임상적 호전을 보고하였다. 선택적 함구증 환자들은 가족 관계의 문제, 사회공포증, 경계성 지능, 언어문제 등의 정신과적 질환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8주간의 fluoxetine투여기간동안 식욕감퇴, 흥분/탈억제, 입면곤란, 구역질, 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났으나 대체로 내약성을 유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선택적 함구증 환아의 치료에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효과적임이 시사된다.

  • PDF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version of Classism Attitude Scale(K-CAS) for College Students)

  • 신윤정;김은하;이은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05-621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측정하는 한국판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관련 문헌, 대학생들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지 자료를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주요 구인과 초기예비문항을 제작한 후 4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4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 1에서 도출된 상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와 하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의 2개 요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더불어, 연령, 주관적 계층,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부정 정서(우울, 불안), 적대감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통해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 주관적 계층, 가정의 총수입,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 믿음 외에 K-CAS가 추가적으로 부정정서(우울, 불안) 변량의 5%를 설명하여 증분타당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서 계층차별주의 관련 개입 및 예방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주요 시사점이 있다.

암 환자에서 우울증의 선별도구로서 단축형 에딘버러 우울증 척도의 한국 표준화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rief Edinburgh Depression Scale as a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 이정현;김태석;고윤호;윤수정;류인균;전태연;이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2호
    • /
    • pp.112-120
    • /
    • 2009
  • Objectives : Depression is a common psychiatric disorder in cancer patients. The Brief Edinburgh Depression Scale(BEDS), which is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Edinburgh Depression Scale, may serve as a useful tool in screening for th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he medical illnesses. This report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DS(K-BEDS) for the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Methods : One-hundred cancer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completed the K-BEDS, th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HADS), and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ale(KPSS). Reliability, validity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nalysis measures were assessed. Results : The K-BED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0.77) and test-retest reliability(0.94, p<0.001). All item-total correlations were above 0.3. Also, it reveale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depression subscale of the HADS(r=0.617), but no correlation with the K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duced only one factor, accounting for 47.1% of the total variance. The most valid cutoff value to screen for depression was a total score of 5 on the K-BEDS, which showed sensitivity of 62.5% and specificity of 86.4% with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4.60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0.43.

  • PDF

아동의 수술 후 통증사정을 위한 부모용 통증행동관찰척도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liminary Validation of a Postoperative Pain Measure for Parents for Children's Pain Assessment after Surgery)

  • 신희선;정연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47-856
    • /
    • 2000
  • Parents are primary care taker for the children and have an important role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nt of children's pain following surg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clinical utilization of the Postoperative Pain Measure for Parents (PPMP) developed by Chambers et al. Subjects were 52 children aged 4-12 years admitted for tonsillectomy and other minor surgery and their mothers. Faces Pain Scale, State Anxiety, and Postoperative Pain Measure for Parents were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two research assistant on the operation day and 1st day after surgery at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uly 20 to August 28, 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t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15 items of PPMP and child rated pain were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re than .2 for both day. 2. Internal consistency for PPMP were .82 and .83. 3. The scores of the PPMP were 10.73 (SD=3.71) and 9.27(SD=4.07) on the operation day and 1st day after surger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days(p=.056)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hild rated pain by Faces Pain Scale between operation day and 1st day after surgery(p=.001). 4. The correlation(Spearman Rho) between PPMP and child rated pain were .40(p=.003) and .56(p=.000). The score of the PPMP and the children's state anxiety were highly correlated on the operation day and 1st day after surgery (.60, .52, p=.000). 5. Partial correlation between PPMP and child rated pain except state anxiety were .18(p=.23) and .48(p=.001) on the opration day and 1st day after surgery. 6. Using a cut-off score 10 out of 15, the measure showed excellent sensitivity (>80%) and moderate specificity (46.15%, 60% ).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use of the PPMP as a valid pain assessment tool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12 years following surgery. It is suggested to explore the validity with a different subjects with other surgery and to examine the validity for infant and younger children.

  • PDF

비타민 B 복합제가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면역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amin B-Complex on Stress-induced Immune Alteration)

  • 고경봉;유순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196-202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B복합제가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변역변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되었다. 대상은 의과대학 학생들로 시험 4주전, 시험 2주전, 시험기간 세 차례를 모두 완료한 21 명으로 하였다. 이들 중 10명은 비타민 투여군으로, 11명은 비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지각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척도와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를 사용하였다. 세포성 면역기능은 phytohemagglutinin(PHA)에 대한 임파구 증식반응 및 interleukin-2(IL-2)생성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비타민투여군이 비투여군에 비해 SCL-90-R상 불안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비타민 B 투여유무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 및 IL-2생성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경과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시간 경과 및 비타민 투여유무에 따른 임파구증식반응 및 IL-2생성능의 변화량은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타민 B복합제는 불안을 경감시키나 세포성 면역기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시험스트레스는 비타민 B 투여에 관계없이 임파구증식반응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알코올 의존 환자의 수면 장애와 하지불안증후군 (Sleep Disorders and Restless Legs Syndrome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 이문인;정홍주;김한석;황인복;신재정;강상범;윤우상;김상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16-20
    • /
    • 2010
  • 1)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불면은 68.6%의 환자들이 호소하고 있는 중요한 치료적 목표 중 하나이다. 2)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의 불면과 관련된 중요한 원인은 RLS(38.4%)와 이와 흔히 동반되는 PLMD(34.9%)였다. 3) 지속되는 RLS 증상은 환자의 수면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며, 불안과 같은 정서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수면관련 장애들에 대한 진단적 고려와 적극적인 치료적인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한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관한 연구 (Study on 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Education at the School of Korean Medicine)

  • 김성혜;한승윤;김종대;최수미;이수진;임정화;채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3-116
    • /
    • 2015
  • Objectives: Medical students suffer from mental health and academic problems due to academic stress. We investigated academic stress and exhaustion along with psychological issues caused by medical education during the years in the School of Korean Medicine. Methods: Two hundred fifty-one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were asked to complete the Medical Stress Scale (MS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MBI-S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three times during each semester for two years from 2013 onwards.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school term and vacation on educational stress and negative affect with the T-test.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predict chang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r first years of study in the School of Korean Medicine. Results: Academic stress and burnout increased steadily until the first semester of third grade, which was measured with MSS and MBI-SS. The anxiety level was highest when the students started the first grade and i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irst semester. Negative affect repeatedl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ach school term; however, it reduced after each vacation. In the first grade, 19.5% of the last measure of MSS can be explained with the first measure of MSS. Discussion: This study extensively review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four years of academic stress and its related psychological influence, and discussed its importance for developing a more efficient academic curriculum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