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Disorder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32초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심박변이지표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HRV Parameter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Trauma·Stressor Related Disorder)

  • 김지은;박도원;한지연;이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88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를 이용하여,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차이를 비교하고 증상 심각도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 방 법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스트레스 클리닉 내원 환자의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총 473명 환자(불안장애 166명, 우울장애 184명,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123명)의 HRV 지표의 진단 군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지표와 전반적 임상 인상 심각도(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의 연관성이 진단군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세 군에서 HRV 지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심박도 간격(normal-to-normal, NN)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of normal RR intervals, SDNN)와 연속된 NN 간격들의 변이의 제곱 평균값의 루트 값(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의 CGI-S와의 관련성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SDNN, p=0.017 ; RMSSD, p=0.034).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에서는 CGI-S에 따른 SDNN, RMSSD가 음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에서는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세 군의 HRV 지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각 군에서 지표와 임상적 심각도와의 연관성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은 HRV의 특징 및 임상적 활용이 불안 및 우울장애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혼재성 불안 및 우울장애 환자 1례 증례 보고 (A case of Mixe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 김보영;이지인;권순주;정대규;이승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34
    • /
    • 2003
  • This is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mixe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treated by Punsimgieum. The symptoms of the patient were anxiety(agitation), numbness(paresthesia), nausea, dyspepsia, insomnia and hopelessness. In this case, we administrated Punsimgieum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After administration of Punsimgieum medication clinical symptoms improved Punsimgieum showed desirable effect o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 PDF

한방치료와 호흡명상으로 호전된 불면 및 우울증을 동반한 불안 장애 환자 치험 1례 (Clinical Report of One Case with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Improv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Breathing Meditation)

  • 오경민;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7-307
    • /
    • 2009
  • Objectives :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re widespread in elderly patients. Mood disorder and insomnia share complex theoretical and clinical relationships. We investigated i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breathing meditation are effective in patient with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Methods : We treated one patient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such as accupuncture, herb-medication, moxa and breathing meditation Results : After Treatment, the chief complaint and accompanying symptoms were improved, and the score of BAI, SADS, BDI, PSQI, IQ were decresed. Conclusions : According to this stud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for the cure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nd breathing meditation forifies the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 PDF

불안증상을 보이는 환아에서 항우울제 투여로 유발된 조증삽화 (ANTIDEPRESSANT INDUCED-MANIC EPISODE IN ADOLESCENTS WITH PRECEDING ANXIETY SYMPTOMS)

  • 정동선;김정현;하규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124-131
    • /
    • 2005
  •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양극성장애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행동장애 뿐만 아니라 불안장애도 중복진단 비율이 높다. 불안장애 중 강박장애, 사회공포증, 공황장애, 분리불안장애가 많이 공존한다고 보고 되었지만 불안장애와 양극성장애 발생사이의 시간적 관련성에 관한 전향적이면서 믿을만한 연구는 드물다. 본 저자는 양극성장애에 선행한 불안증상에 대해 항우울제를 투여하였을 때 발생한 조증삽화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기분변화의 과거력이나 양극성장애의 가족력이 없어도 선행된 불안증상에 대해 항우울제를 사용할 때는 조증삽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심스럽게 처방해야 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소아, 청소년 양극성장애와 불안장애 사이의 시간적 연관성과 약물학적 치료 지침에 대해 포괄적이며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불안 환자에 대한 불안척도의 연구 (A Study of Anxiety Scale Applied to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 이중훈;박병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56-166
    • /
    • 1992
  • 1987년 1월 부터 1991년 6월 까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정서장애 환자중 불안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남자 127명(77.3%), 여자 38명(23.0%)인 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 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성적의 평균 총점은 $42.40{\pm}7.74$을 보였다. 불안의 항목별 상위성적은 두통 및 신체동통, 피로, 불안, 공황, 빈뇨 등의 순서로 높았다. 항목별 하위성적은 초조, 우려, 호흡곤란, 발한, 불면 등의 항목이었다. SAS에서 심계항진과 공포, 심계항진과 진전, 피로와 혼돈, 졸도와 현기증, 공포와 불안, 악몽과 공포, 혼돈과 공황, 현기증과 혼돈, 심계항진과 공황, 피로와 두통 및 신체동통, 혼돈과 불안, 공황과 불안, 감각이상과 심계항진, 진전과 공포, 진전과 불안, 공황과 공포 등의 문항 간에는 확실히 상관이 있었다. 성적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7.5%(29명)이였다. SAS에서 각 문항들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SAS의 문항 전체의 신뢰도는 0.71로 나타났다.

  • PDF

공황장애에서 단기약물치료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및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Pharmacotherapy on Anxiety Sensitivity,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Panic Disorder Patients)

  • 오윤혜;최관우;김보라;허정윤;유범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0
    • /
    • 2013
  • 공황장애 환자에서 12주간의 escitalopram 약물치료 결과, 공황장애 증상은 관해 상태에 이르렀고, 높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저하 및 기능장애가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하지만 공황장애 환자들은 약물치료 후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저하 및 기능장애를 보여서 이의 회복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겠다.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 치료가 불안 장애 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Korean (MBCT-K) for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 신나연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1권1호
    • /
    • pp.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 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가 불안장애 환자의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4명의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으로 분석하였고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 치료 전후 불안과 우울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치료는 불안과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Z=-1.9, p=.06, Z=-2.9,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마음 챙김 명상을 불안장애 환자에게 적용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황장애 환자에서 공존 주요 우울증과 연관된 임상요인들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orbi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장현채;임세원;신영철;신동원;오강섭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3
    • /
    • 2014
  • Objective : Panic disorders are frequently accompanied by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which clinical factors in panic disorder are associated with comorbid MD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factors related with comorbid MDD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Two experienced psychiatrists diagnosed panic disorder based on DSM-IV criteria. This diagnosis in the 275 subjects was confirmed again by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Lifetime comorbid psychiatric diagnoses were examined by MINI. The Hamilton Depression Scale (HAMD), Hamilton Anxiety Scale (HAMA) and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were used to assess the severity of depressive, anxiety and panic symptoms. Results : The result of MINI showed that 95 patients (34%) with panic disorder satisfied the diagnosis of MD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comorbi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nd the symptom of "fear of losing control or going crazy" were associated with MDD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In female patients, the "chills or hot flushes" symptom was also associated with comorbid MDD.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coexisting GAD and certain symptoms of panic are associated with comorbid MDD.

품행장애 청소년에서의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특성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 한성희;최경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83-91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품행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에서 우울및 불안의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자신의 부모가 보이는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그들이 어떠한 지각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품행장애 환아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방식 사이에는 어떤 상호관련이 있으며 이는 또한 품행장애의 임상경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저자들은 DSM-Ⅳ의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품행장애 입원환아 30명과 정상대조군으로 30명의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소아우울척도(CDI),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행장애 환아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상면에서 상태불안(state anxiety)이 높았으나 우울과 특성불안(trait anxiety)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품행장애 환아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의 돌봄은 우울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어머니의 과보호는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품행장애 환아에 있어 아버지 양육태도의 특성은 그다지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않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 방식이 품행장애 소아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등의 임상경과와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 PDF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Anxiety in Korean Adolescents

  • Kim, Hyunkyu;Kim, Seung Hoon;Jang, Sung-In;Park, Eun-Ch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2호
    • /
    • pp.173-181
    • /
    • 2022
  • Objectives: Anxiety disorder is among the most prevalent mental illnesses among adolescent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sequelae such as suicide and substance use disorde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anxiety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anxiety.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anxiety. Results: In both sexes, anxiety was highly prevalent in participants with poor sleep quality (adjusted odds ratio [aOR], 1.5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3 to 1.71 in boys; aOR, 1.30; 95% CI, 1.19 to 1.42 in girls). Regardless of sleep duration, participants with poor sleep quality showed a high aOR for anxiet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anxiety in Korean adolescents regardless of sleep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