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2,521건 처리시간 0.028초

아몬드 크래커의 과산화 억제에 있어서 천연 항산화제의 활용 (Utilization of the Natural Antioxidants for the Anti-peroxidation of Almond Cracker)

  • 박기범;한규홍;김병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136
    • /
    • 2003
  •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rosemary, tea polyphenol 을 아몬드 크래커에 첨가하여 $25^{\circ}C$와 35$^{\circ}C$에서 70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품질평가를 한 결과 $25^{\circ}C$에서는 rosemary 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보여주었고, 35$^{\circ}C$에서는 tea polyphenol이 우수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아몬드 크래커의 관능 검사에서는 rosemary와 tea polyphenol이 냄새와 맛에 좋은 영향을 주었고, $25^{\circ}C$에서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blank 와 tocopherol은 42일, rosemary와 tea polyphenol은 56일이 지난 후에 제품으로서 품질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35$^{\circ}C$에서는 $25^{\circ}C$에 비하여 모든 기호도 면에서 저하가 빠르게 일어났고, rosemary와 tea polyphenol이 blank와 tocopherol간의 차이가 유의 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천연 항산화제의 첨가에 따른 산화정도를 저장기간 동안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이용하여 반응속도식를 구하였을 때, $25^{\circ}C$에서는 1차 반응식으로 나타났고, 35$^{\circ}C$에서는 0차 반응식이 결정되었다. 이때 반응속도 상수는 $25^{\circ}C$에서 rosemary가 -0.0299, 35$^{\circ}C$에서 tea polyphenol이 -.4038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몬드 크래커를 위한 항산화제 선택에 있어서는 저장온도에 따라 각각의 다른 천연항산화제가 영향을 주는 만큼 rosemary와 tea polypheno1을 함께 첨가하여 그 synergy 효과를 살피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흑마늘 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Garlic Jam Prepar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 김민희;김성민;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16-922
    • /
    • 2010
  • 마늘을 고온에서 장시간 저장 및 숙성시켜 제조한 흑마늘로 잼을 만들어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산도는 대조군과 FTOS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FTO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FTOS 첨가군이었다. 점도는FTO 첨가군이 가장높고, 그 다음으로 FTOS 첨가군이었고, 대조군은 가장 낮았다. 색도는 명도는 FTO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FTOS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FTO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FTOS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FTO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인 조직감은 경도, 탄력성은 FTO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 항산화 실험 결과 중, DPPH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군이 대조군에 비해 $IC_50$ 값이 낮게 나타났고, FTO 첨가군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능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Hydroxy radical 소거능 역시 모든 군이 대조군에 비해 $IC_50$ 값이 낮게 나타났고, FTO 첨가군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능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Total phenol 함량 측정 결과, FTO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고, 모든 군이 대조군에 비해 Total 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강도 특성 및 수용도 평가 결과, 전반적인 수용도 및 구입의사에서 FTO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받아 잼 제조 시 설탕을 넣거나 설탕과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흑마늘 잼을 제조하는 것보다 프락토올리고당을 대체할 때 관능적으로 가장 좋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프락토올리고당 첨가가 흑마늘잼 제조 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칼라꼬마감자와 일반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mall Colored Potatoes and Small Regular Potatoes)

  • 박성진;권민수;신경이;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0-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등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고, 항산화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칼라꼬마감자 100 g(wet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79.7%, 탄수화물 17.9%, 조단백질 1.0%, 조지방 0.1%, 조회분 1.3%가 함유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중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11.45%이었다.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4.0%로 나타났다. 또한 칼라꼬마감자 100 g의 총 열량은 337.3 kcal로 분석되었다. 칼라꼬마감자의 구성아미노산 중 asparagine (1,514.3 mg/100g)과 glutamic acid(1,240.3 mg/100g)함량이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약 1,454.7 m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인(245.3 mg), 마그네슘(82.8 mg), 칼슘(62.1 mg)순이었다. 미량영양소인 철분(28.1 mg), 망간(28.1 mg), 구리(3.4 mg) 및 아연(2.5 mg)이 함유되어 있었다. 칼라꼬마감자 추출물의 페놀 함량은 chlorogenic acid가 $3,730.60{\pm}0.62mg/100g$로서 가장 많은 양이 함유 되어 있었고 catechin, caffeic acid, gall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p-coumaric acid, ferulic acid는 확인되지 않았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및 그 활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천연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칼라영양성분 및 항산화감자 추출물 제조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추출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 이기동;김정숙;배재오;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2
    • /
    • 1992
  • 탈지된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으로부터 물 추출물 및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시판용 식용 대두유를 기질로 하여 $45^{\circ}C{\pm}1^{\circ}C$, 빛이 없는 항온기에서 32일간 저장하였으며, 매 4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와 TBA치를 측정하였다. 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항산화 효력이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BHA와 유사한 효력을 보였으나 BHT보다는 모두 항산화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았으며 유리형은 항산화 효력이 BHA와 유사했고 에스터형은 BHA보다 높고 BHT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불용성 페놀산은 BHT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세가지 페놀산 추출물 중에서는 불용성 페놀산이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스터형, 유리형 순이었다. Gas chromatography 로 부터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vanillin, umbellinferone,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산쑥은 caffeic acid, catechol, protocatechuic acid등의 항산화 효력이 강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좋은 항산화 효력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 PDF

잘피(Zostera marina L.)의 신규 항노화 화장품 소재 응용 (New Cosmetic Agents for Anti-aging from Zostera marina L.)

  • Jin-Hui, Kim;Kyung-Eun, Lee;Jin-Hwa, Kim;Young-Ho, Cho;Sung-Min, Park;Jeong-Jae, Lee;Bum-Chun, Lee;Hyeong-Bae, Py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0
    • /
    • 2004
  • 해양 천연물 유래의 신규 광노화 방지소재의 개발을 위해 항산화 활성과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발현 억제활성을 갖는 잘피(Zostera marina L.)를 선별하였다.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3개의 화합물(compound 1과 2, 3)을 분리하였으며 각각 apigenin-7-O-$\beta$-D-glucoside (1)과 chrysoeriol (2), luteolin (3)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하여 각각 0,18mM과 0.68mM, 0.01mM의 $S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superoxide radical에 대하여 각각 0.04mM과 0.03mM, 0.01mM의 $SC_{50}$/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compound 3은 MMP-1에 대해 35.0$\mu$M의 농도에서 44% 이상의 발현 억제황성을 나타내었으며 MMP-1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물질로 알려 있는 interleukin 6의 생성도 억제하였다. 또한 잘피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3.0% 함유한 크림을 8주간 적용하여 미세주름과 피부거칠음의 현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잘피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과 MMP-1 발현 억제활성을 가지며, 이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은 피부주름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잘피 추출물은 화장품의 새로운 항노화 소재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다래 과즙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ressed Kiwi(Actinidia chinensis var. 'Halla Gold') Juice)

  • 오현정;백진우;이주연;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0-120
    • /
    • 2013
  • 참다래 과즙, 카라기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5가지 참다래 젤리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당도, 산도, 색도, 텍스츄어 등의 품질특성 및 관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5가지 참다래 젤리 시제품의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 수분, 조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은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조회분, 조단백, pH 및 총산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참다래 과즙 첨가량이 높을수록 pH는 낮았고, 산도는 높았다. 참다래 젤리의 당도는 첨가한 참다래 과즙의 양이 많을수록 당도가 높았으며,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페놀,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참다래 과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카라기난의 농도가 높을수록 참다래 젤리 시제품의 경도, 검성, 씹힘성은 높아졌고, L값은 낮아졌다. 5가지 참다래 젤리 시제품 중 향, 단맛, 텍스츄어, 전체적인 기호도는 JKJ(Jeju Kiwi Jelly)-3 시료가 가장 높았다 : JKJ-3 시료의 수분함량은 $75.1{\pm}0.5%$, 탄수화물은 $24.2{\pm}0.5%$, 조단백은 $0.29{\pm}0.05%$, 회분은 $0.44{\pm}0.02%$를 보였다. 참다래 과즙 20% 및 카라기난 2.3% 첨가한 JKJ-3 시료의 향은 3.65, 단맛은 3.35, 경도는 3.35, 텍스츄어는 3.50, 전체적인 기호도는 3.60을 나타내었다.

  • PDF

Acetaminophen 유도 간독성에 대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성금수;전승기;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31-137
    • /
    • 2005
  • 백삼과 홍삼 추출물이 APAP에 의한 산화적 급성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마우스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간장보호 활성에 관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항산화효소인 SOD, CAT의 활성도는 APAP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감소하였고, 백삼과 홍삼추출물을 전처리한 실험군에서는 APAP군에 비해 효소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APAP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백삼과 홍삼 추출물을 전처리한 실험군에서는 APAP군에 비해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3.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투여량을 각각 50mg/kg, 250mg/kg으로 최대 5일간 전처리하여 APAP의 급성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인삼 추출물의 투여량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은 APAP의 활성 대사체에 의한 급성 산화적 간손상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인삼 추출물 성분이 항산화 효소와 항산화물질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 체계를 통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이 간장 보호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APAP중독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로서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단감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of Yogurt Supplemented with Sweet Persimmon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조영수;차재영;권오창;옥민;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5-181
    • /
    • 2003
  • 단감분말을 첨가한 호상 발효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탈지분유에 단감분말을 4% 및 7% 첨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lus 균주를 접종하여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능적 특성 및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단감분말은 단백질 2.2%, 지질 30.5%, 탄수화물 56.6% 및 회분 2.5%를 함유하였다. 단감분말을 첨가하여 24시간 발효시킨 발효유의 유기산중 lactic acid 농도가 1.12%∼1.21%로 탈지분유만을 사용하여만든 발효유 1.05% 보다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단감분말을 첨가시킨 발효유보다는 탈지분유만을 사용한 발효유에서 선호도가 약간 높게 나왔다. 그러나, 발효유의 산 생성능으로 나타낸 pH는 각 발효유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DPPH(a-a'-diphenyl-$\beta$-picrylhydratyl) 측정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탈지분유 14%, 탈지분유 10%+단감분말 4%, 탈지분유7%+단감분말 7%를 함유한 각각의 발효액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시판 항산화제 BHT 0.005%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따라서 단감건조 분말을 이용한 식품 신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단감첨가 발효유의 생리적 유용성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Catechin 가열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물질 분리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평가 (Isolation of Antioxidative Products and Evaluation of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Catechin via Thermal Treatment)

  • 손아영;이진태;권오준;김태완;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2-249
    • /
    • 2013
  • (+)-Catechin을 $121^{\circ}C$에서 0, 1, 2, 3, 6, 12 h 동안 가열처리 하여 각각의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catechin의 3 h 가열결과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인 $6.3{\pm}0.4{\mu}g/mL$$IC_{50}$값을 나타내었으며 6 h 가열결과물에서 $6.5{\pm}0.3{\mu}g/mL$$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활성은 (+)-catechin과 비교하였을 경우에도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catechin의 3 h 가열결과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인 $1.8{\pm}0.1{\mu}g/mL$$IC_{50}$값을 나타내었으며, 3 h 가열반응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중 화합물(1)과 화합물(2)가 이들 활성에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항비만 활성평가에 활용되고 있는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한 효능 평가에서 3 h 반응물의 $IC_{50}$값이 $377.1{\pm}11.1{\mu}g/mL$임을 확인하였고, 가열처리군별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상대함량으로 부터 (+)-catechin의 가열처리에 의해서 생성됨을 물질분리를 통해 구조결정한 (+)-epicatechin 및 protocatechuic acid 이외에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향후 식품 및 음료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catechin의 가열조건에 따른 활성변화에 대한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화합물의 구조변환을 통한 활성물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물질의 화학적 변화와 관련된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재배 삼나물 뿌리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a roots extrac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89-994
    • /
    • 2016
  • 삼나물 뿌리를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의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 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층에서 $IC_{50}$값이 $32.3{\pm}2.3{\mu}g/mL$으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삼나물 뿌리 의 EtOAc 가용부에 다량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 층의 $IC_{50}$값이 $18.9{\pm}2.1{\mu}g/mL$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이 확인 하였고,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57.8{\pm}7.8{\mu}g/mL$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ositive control인 acarbose의 $IC_{50}$값인 $501.1{\pm}17.5{\mu}g/mL$과 비교하여 우수한 활성이었으며, 추출물 상태의 시료를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lpha}$-glucosid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