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2,522건 처리시간 0.039초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추출물이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효과 및 전염증성 Cytokines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unggihwadamhwan Extract on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on High Fat Diet)

  • 이한;박원형;차윤엽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eunggihwadamhwan (CGHDH) extract on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on high fat diet. Methods 40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 high fat diet for 8 weeks and 32 rats (above 400 g)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8 mice in each group) : control group, 100 mg/Kg CGHDH group, 200 mg/Kg CGHDH group, 300 mg/Kg CGHDH group. We fed a control group of rats a basal diet and administered normal saline(100 mg/kg, 1 time/1 day) for 4 weeks. And We fed each experimental group of rats basal diet and administered an extract of Cheunggihwadamhwan extracts (100 mg/kg, 200 mg/kg, 300 mg/kg, 1 time/1 day) for 4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ats were sacrificed to determine their chemical composition. We measured lipid in plasma and liver, concentr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tioxidative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The gene expression level was investigated by the way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1. Concentration of plasma FFA, plasma TG,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plasma LDL-cholesterol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Cheunggihwadamhwan groups. However, concentration of plasma HDL-cholesterol showed a significant increment in 200, 300 mg/kg Cheunggihwadamhwan groups. 2. Concentration of liver total cholesterol and liver TG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Cheunggihwadamhwan groups. 3. Concentration of plasma TBARS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all Cheunggihwadamhwan groups. Concentration of liver TBARS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200, 300 mg/kg Cheunggihwadamhwan groups. Concentration of liver GSH-Px, SOD and CA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Cheunggihwadamhwan groups. 4. Concentration of plasma IL-$1{\beta}$, plasma IL-6, TNF-$\alpha$ and NO,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all Cheunggihwadamhwan groups. Concentration of plasma IL-10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 Cheunggihwadamhwan groups. 5. In the analysis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gene expression of Apo-B and Apo-E in the Cheunggihwadamhwan groups showed a low expression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ratio of Apo-B expression per $\beta$-actin expression in the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all Cheunggihwadamhwan groups. The ratio of Apo-E expression per $\beta$-actin expression in the showed a significant decrement in 300 mg/kg Cheunggihwadamhwan groups.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xtract of Cheunggihwadamhwan showed a positive effect of lowering lipid, antioxidation and a control of producing proinflammatory cytokines.

Bulk와 Emulsion System에서 유지에 대한 항산화제와 유화제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Antioxidants and Emulsifiers in Bulk and Emulsion Systems)

  • 김인원;신동화;장영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77-1083
    • /
    • 1999
  • 다른 유지상(bulk, oil-in-water)에 친수성 항산화제로서 gallic acid를 소수성 항산화제로서 ${\delta}-tocopherol$을 처리하고,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에 따른 유화제를 처리하여 기질의 차이에 따른 항산화제와 유화제가 유지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유지는 정제하지 않은 콩기름을 사용하였고 bulk상에서 12일 경과시 gal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의 유도기간이 Rancimat method로 측정시 4.13인데 비해 ${\delta}-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의 유도기간은 1.18로 친수성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3배 정도의 유지산화지연효과를 보였다. 또한 유화제의 처리에 있어서는 lecithin을 처리한 것의 유도기간이 5.07로 tween 20 처리 2.23, span 60의 경우 2.9인것에 비해 산화안정성면에서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산화물가와 공액이중산함량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Emulsion상(oil-in-water)에서도 bulk상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emulsion상에 소수성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유지 산화안정성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와는 차이가 있는데 기질의 차이, 즉 정제하지 않은 시판 콩기름을 사용한 것에 의한 차이인 것 같다. Emulsion상에서 유지방구의 크기는 저장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유지방구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표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공기와 접하는 면이 커지게 되므로 유지상은 안정해지나 산화는 더 촉진되므로 상의 안정과 산화안정성의 적절한 설정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프락토 올리고당과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국내산 한라봉잼의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ngor Jam including Fructo Oligosaccharide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 최소례;박현주;진현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23-234
    • /
    • 2014
  • 이 연구는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잼으로 저감미잼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고,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한 한라봉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설탕비율에 20, 40, 60%로 대체하여 한라봉잼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과 당도는 이소말토 올리고당 및 프락토 올리고당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의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용성 고형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올리고당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환원당 함량은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H는 이소말토 올리고당 및 프락토 올리고당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고, 총산도는 비슷한 값을 나타내며,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색도에서 L값은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 올리고당을 첨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이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이소말토 올리고당이 6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이소말토 올리고당 40% 순으로 총페놀 함량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40%을 대체하여 제조한 잼의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한라봉잼을 제조시 40%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한다면 한라봉잼의 기호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치자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 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7-243
    • /
    • 2006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치자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저장성을 검토하고 치자 분말을 $0{\sim}0.3%$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치자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300{\sim}1,000$ ppm 농도에서 물 추출물은 $65{\sim}86%$, 에탄올 추출물은 $69{\sim}91%$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치자 추출물 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pH 1.2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79%, 88%로서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치자를 첨가한 국수 생면을 $5^{\circ}C$에서 4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치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는 낮았으며 치자 첨가에 의하여 국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치자 국수의 색도 측정 결과, 적색도(a)는 치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건면보다는 삶은 면에서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황색도(b)는 건면과 삶은 면 모두 치자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치자 국수의 건면과 삶은 면의 관능검사 결과, 색, 향,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0.2와 0.3% 첨가 국수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치자 국수 제조시에 치자분말의 최적 첨가농도는 0.2-0.3%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마를 첨가한 저맥아 맥주의 양조와 품질 특성 (Brewing and Properties of Low-Malt Beer with a Sweet Potato Paste)

  • 양하나;오은비;박정섭;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1-500
    • /
    • 2017
  • 신율미와 신자미 페이스트, 맥아, 효소제, 홉을 사용하여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하고, 하면 발효효모 및 상면 발효효모를 접종, 발효하여 라거 및 에일 고구마 맥주를 제조하였다. 고구마 당화시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첨가했을 때 여과성 향상과 당도 증가 효과가 가장 좋았다. ${\alpha}-Amylase$ 계 효소제를 0.1% 첨가하여 three step infusion 법으로 고구마-맥아 당화액을 제조했을 때 맥주 양조를 위한 최적 당도인 $13.5^{\circ}Brix$를 갖는 당화액이 얻어졌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에서 고구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고,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효과도 크게 증가하였다. 신율미 맥주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맥주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라거 및 에일 신자미 맥주 모두에서 고구마 41.6%를 첨가했을 때 관능평가가 양호하였고, 미려한 적색의 색조를 띄었다.

돌산갓김치의 저온 저장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Mustard Leaf (Dolsangat) Kimchi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김행란;조강진;김진숙;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9-614
    • /
    • 2006
  • 돌산깃김치를 $5^{\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의 pH는 저장 50일과 60일에 제조당일 시료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산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20-40일에 0.69-0.88% 수준을 나타내어 적숙기로 판단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면서 저장 60일째 1.34%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담금 직후의 비타민 C 함량은 다른 저장 기간의 시료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경과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저장 40일째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식이섬유 함량은 제조당일 시료가 수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 모두 그 함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도 마찬 가지로 제조당일 시료가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GC/MS를 이용하여 돌산갓의 휘발성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주요 풍미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 3-butenyl isothiocyanate, phenylethyl isothiocyanate로 확인 되었다. 돌산갓김치의 allyl isothiocyanate와 phenylethyl isothiocyanate 함량은 각각 $43.72\;{\mu}g/g$, $36.17\;{\mu}g/g$ 이었다. 이상의 결과 돌산갓김치의 저온저장 중 적숙기는 산도와 비타민 C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40일 정도이며, 돌산갓 유래 기능성 관련 성분을 활용할 경우 제조 직후의 김치가 비타민 C, 식이섬유, 항산화활성 등이 가장 높아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삿갓의 함유황화합물은 복잡한 김치 제조공정에서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두가수분해물 유래 펩타이드 투여가 자발성 고혈압 흰쥐의 혈중 지질수준, 생화학적 지표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oybean Hydrolysate on Plasma Lipid Profiles, Select Biochemical Index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정선화;최민아;박정순;김길수;정대균;남희섭;신재익;유리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01-1108
    • /
    • 1999
  • 대두가수분해물 분무건조 펩타이드(SoyPep)가 자발성고혈압 횐쥐(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의 혈중지질수준, 생화학적지표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HR을 무작위로 대조군, 3% SoyPep 투여군, 10% SoyPep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8주동안 실험사육하였다. 혈중지질 및 항산화성 비타민 수준, GOT 및 GPT활성을 측정하였고, 신장, 혈관조직, 혈장중 ACE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주요장기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식이 SoyPep은 SHR의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또한, ACE저해활성 및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대두 펩타이드는 혈중 지질수준의 증가를 수반하는 질병의 예방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발효홍삼 농축액을 이용한 노인용 기능성 간식(양갱)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using Fermented Red Ginseng for the Elderly)

  • 김애정;한명륜;이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3-8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혼합물(Lactobacillus casei와 Bifidobacteriumlogum 1:1)을 이용하여 발효홍삼을 제조하여 강화된 기능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혼합물에 의한 발효로 인해 발효홍삼의 전자공여능(EDA%)는 6.11~3.22 mg/g의 범위로 감소하여 홍삼($16.32{\pm}0.29$ mg/g)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및 발효홍삼의 ginsenosides의 함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ginsenoside$-Rb_1$, $-Rb_2$, -Rc 등의 사포닌 함량은 홍삼이 발효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발효홍삼에서는 항암활성이 우수한 대사산물인 20(S)$-Rg_3$, 20(R)$-Rg_3$, Compound K 함량이 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 건강증진 식품을 제조하고자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비율(0%, 5%, 10%, 15%, 20%)을 달리하여 발효홍삼 양갱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홍삼 첨가 수준별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 평가결과, 홍삼농축액 10% 첨가 양갱의 맛, 색, 향, 질감 등이 다른 군들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홍삼의 기능성과 기호적인 면을 함께 고려해 볼 때 10%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차후 본 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효홍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에 대한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Effects of N-acetylcysteine on the energy statu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heart and liver of cold-stressed broilers

  • Li, Chengcheng;Peng, Meng;Liao, Man;Guo, Shuangshuang;Hou, Yongqing;Ding, Binying;Wu, Tao;Yi, D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9호
    • /
    • pp.1444-1454
    • /
    • 2020
  • Objective: Cold stress induces oxidative damage and impairs energy status of broilers. N-acetylcysteine (NAC) exhib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modulates energy metabolism of anim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C on energy statu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heart and liver in the cold-stressed broilers. Method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4 treatments in a 2×2 factorial arrangement with two diets (basal diet or plus 0.1% NAC) and two ambient temperatures (thermoneutral [conventional ambient temperature] or cold stress [10℃±1℃ during days 15 to 42]). Results: No ascites were seen in cold-stressed broilers. NAC did not attenuate the impaired growth performance of stressed birds. However, NAC decreased plasma asparagine but increased aspartate levels in cold-stressed birds (p<0.05). NAC reduced hepatic adenosine triphosphate (ATP) but elevated adenosine diphosphate contents in unstressed birds (p<0.05). The hepatic ratio of adenosine monophosphate (AMP) to ATP was increased in birds fed NAC (p<0.05). NAC decreased plasma malondialdehyde (MDA) level and cardiac total superoxide dismutase (T-SOD) activity in unstressed birds, but increased hepatic activities of T-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stressed birds (p<0.05). NAC down-regulated hepatic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ut up-regulated cardiac heme-oxigenase mRNA expression in stressed birds, and decreased expression of hepati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oactivator-1α as well as hypoxia-inducible factor-1α in liver and heart of birds. Conclusion: Dietary NAC did not affect energy status but enhanced the hepatic antioxidant capacity by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cold-stressed broilers.

Inhibition of ENNG-Induced Pyloric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Carcinogenesis in Mice by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Treated Garlic

  • Kaneko, Takaaki;Shimpo, Kan;Chihara, Takeshi;Beppu, Hidehiko;Tomatsu, Akiko;Shinzato, Masanori;Yanagida, Takamasa;Ieike, Tsutomu;Sonoda, Shigeru;Futamura, Akihiko;Ito, Akihiro;Higashiguchi, Takas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983-1988
    • /
    • 2012
  •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treated garlic (HTPG) has been shown to have enhanc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s. Previously, we reported that HTPG inhibited 1,2-dimethylhydrazine-induced mucin depleted foci (premalignant lesions) and $O^6$-methylguanine DNA adduct formation in the rat colorectum.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modifying effects of HTPG on N-ethyl-N'-nitro-N-nitrosoguanidine (ENNG)-induced pyloric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carcinogenesis in mice. Male C57BL/6 mice were given ENNG (100 mg/l) in drinking water for the first 4 weeks, then a basal diet or diet containing 2% or 5% HTPG for 30 weeks. The incidence and multiplicity of pyloric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duodenal and jejunal) tumors in the 2% HTPG group (but not in the 5% HTP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ell proliferation of normal-appearing duodenal mucosa was assessed by MIB-5 immunohistochemistry and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er with 2% HTPG (but again not 5% HTPG) than in controls. These results in dicate that HTPG, at 2% in the diet, inhibited ENNG-induced pyloric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especially duodenal) tumorigenesis in mice,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