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test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23초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항균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Films Using Water Soluble Polymer)

  • 최준호;최유성;오일홍;김맹수;이인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49-4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A)와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를 사용하여 항균성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ampicillin(0.025~1wt%)과 streptomycin(0.1~1.0 wt%)을 첨가하여 함량에 따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중합도와 검화도에 따른 PVA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을 보면 중합도와 검화정도에 따라 필름의 인장강도가 20.2~51.5 $N/mm^2$이었고, 메틸셀룰로오스 필름의 경우 점도에 따라 15.44~21.70 $N/mm^2$이었다. 사용한 균주와 항균제의 함량정도에 따라 그 기계적인 물성과 항균활성에 차이를 보였지만 함량이 늘어날수록 전체적으로 기계적인 물성은 약간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우수하였다. Ampicillin과 streptomycin을 사용하여 제조한 항균필름의 항균활성은 포도상 구균과 대장균을 disc diffusion test로 확인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모두 streptomycin보다 ampicillin을 함유할 때 항균활성이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산수유의 용매분획별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analis)

  • 김용두;김황곤;김경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9-832
    • /
    • 2003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산수유를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으며, 항균력 이 강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물질의 열안정성 pH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을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의 에탄올 추출물을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 과육과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이 0.25 mg/mL이었고, 효모와 젖산균 이 2 mg/mL이었다. 산수유의 과육 에탄을 추출물 농도의 영향은 B. subtilis는 0.25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균 증식이 증가되었으나 0.5 mg/mL 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E. coli는 0.25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배양 16시간까지 균 증식이 억제되다가 그 이후 서서히 증가되었다 산수유의 에탄을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microbial efficacies of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and commercial disinfectants against Brucella ovis

  • Yoo, Jong-Hyun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7-351
    • /
    • 2009
  • Bruella spp. involves a considerable danger of public health and farm animal industry.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disinfection efficacy of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and three commercial farm disinfectant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sodium dichloroisocyanurate, potassium monopersulphate/sodium dichloroisocyanurate) against Brucella ovis. A bactericidal efficacy test by broth 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lowest effective dilution of selected disinfectants following exposure to test bacteria for 30 minutes at $4^{\circ}C$. Disinfectants and test bacteria are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DW), hard water (HW) or organic matter suspension (OM)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 Three commercial disinfectant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up to dilution of $\times200$ in OM treatment).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demonstrated favorable bactericidal efficacy against B. abortus (at dilution of $\times20$ in OM treatment). Three commercial farm disinfectants possess excellent efficacy against B. ovis. Alkaline disinfectant solution has lower potency than commercial farm disinfectant but could help to limit the spread of brucellosis.

Synthesis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Chitosan Derivatives

  • Lee, Eun Kyoung;Kim, You K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6권4호
    • /
    • pp.254-263
    • /
    • 2021
  • In this study, chitosan obtained after varying extents of deacetylation (i.e., 10%, 30%, and 47%) was employed to introduce antibacterial properties to chitin. The deacetylation reaction completion, wherein the amino group content of chitin was reduced, was ascertained from the FT-IR and NMR analyses. The 47%-deacetylated chitosan exhibited superior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Bacillus in a disk diffusion test. To further improve these properties, chitosan derivatives were grafted by acrylic acid and acrylamide. The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xyl groups, primary amines, and -CH2-CH2- with increasing acrylic acid and acrylamide contents were determined by FT-IR and NMR analyses. The enhance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chitosan derivatives, owing to the increased acrylic acid and acrylamide contents, were revealed by the disk diffusion test. In particular, the derivatives with 1.3% acrylic acid and acrylamide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the bacterial reduction rat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being 99.9%, as observed through the ASTM E2149 standard test.

앵두 Ethanol 추출물의 항균력과 Flavonoid (Flavonoid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Korean Cherry (Prunus tomentosa Thunberg))

  • 황호선;김중만;전예정;송영애;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3-839
    • /
    • 2003
  • 앵두의 기능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50%, 70% 및 95%(v/v)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flavonoid류를 정량하고 MIC와 disk test를 이용한 항균력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조사하였다. 앵두의 70%(v/v)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flavonoid함량을 나타냈고 quercitrin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12.70 mg%, buthanol분획에서 2.11 mg%로 대부분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되었다. 또한 앵두 70%(v/v) ethanol추출물의 flavonoid류는 quercitrin 14.9 mg%, tannin 6.0 mg% 및 catechin 5.2 mg%로 정량되어 quercitrin이 앵두의 주요 flavonoid임을 확인하였다. 앵두의 ethanol추출물에 대한 Staphylococcus aureus aureus(ATCC 6538)와 Staphylococcus epidermidis(ATCC 12228)의 항균력은 flavonoid함량이 높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어 앵두의 flavonoid에 의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앵두의 ethanol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효과는 인체의 피부에 손상을 주는 UVB 파장인 290∼320 nm를 포함하는 210∼380 nm로 넘게 자외선 흡수대를 형성하고 catechin과 quercitrin의 흡수대와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어 그의 기능성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앵두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은 quercitrin으로 피부에 관련된 항균효과와 자외선 차단효과를 예상할 수 있었다.

서울 지역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 보균율과 항균제 내성 (Oropharyngeal Carriag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 pneumoniae in Children of Seoul)

  • 김영기;이창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18-224
    • /
    • 1997
  • 목 적 : 전 세계적으로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증가하고 있고, 우리 나라의 경우 그 어느 나라보다 급속한 폐구균 내성의 증가가 보고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도에 정착되어 있던 폐구균은 부비동염, 중이염, 수막염, 폐렴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저자들은 정상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의 보균율을 알아보고 이들의 항균제 내성양상과 DNA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4월 서울 한 유치원의 어린이 117명에서 구인강 점막을 면봉으로 도말하여 검체를 얻었다. 이들을 배양후 optochin검사와 capsule에 대한 다가항체를 이용하여 Latex 방법으로 폐구균을 동정하였고, 디스크확산법으로 페니실린, vancomycin, erythromycin, TMP-SMZ에 대한 감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폐구균에 대하여 액체배지 미량 희석법을 이용하여 페니실린의 MIC값을 구하였다. 또 분리된 폐구균들에 대하여 REP1R-Dt와 REP2-Dt primer를 사용한 rep-PCR법으로 DNA 분자 형별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서울지역의 유치원에서 폐구균 보유율은 38%(45/117)였고,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페니실린 내성 폐구균의 비율은 89%(40/45)였고, erythromycin은 91%, TMP/SMZ은 63%였고 vancomycin에는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그리고 페니실린에 고도 내성균주는 21예로 전체의 47%를 차지하였고 다제내성 폐구균은 64%였다. DNA 분자형은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중 3가지 유형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결 론 : 서울 지역의 건강한 유치원 어린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예상보다 훨씬 높았고, 이는 이들 어린이들이 빈번한 항균제 노출과 유치원의 밀집환경의 때문이라 추정된다.

  • PDF

Vibrio parahaemoi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김정순;구경모;정용현;양재길;이강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0-504
    • /
    • 2004
  • 산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지 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리 정서에 친숙한 식미와 향기를 가지는 아시아권의 공통적인 향신료이다.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발생 억제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천연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C-MS에 의한 산초 추출물의 분리, 동정 결과에서는 estragole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산초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는 항균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첨가제 및 포장재, 식품포장 외부 충진 물질, 살균소독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황금추출물 담지 제올라이트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원단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Fabric Containin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Loaded Zeolite Microparticles)

  • 이숙영;조미래;김현진;권태엽;한현정;윤영일;손준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7-255
    • /
    • 2017
  • Scutellaria Baicalensis(SB) is widely u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oriental medicine. It possesses several biology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ies. In this study, a functional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abric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was developed using zeolite microparticles as a SB extract delivery carrier. Zeolites loaded with SB extract were prepared by immersing in an SB extract aqueous solution. The average size of the SB extract-loaded zeolites was about 0.1 to $2.0{\mu}m$, and the morphology of the zeolites was not altered after SB extract binding. The resulting SB extract-loaded zeolites were then immobilized homogeneously onto the HDPE fabric using acrylic binder.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SB extract to the zeolite was more than 45%. The in vitro release test of SB extract-loaded zeolites containing HDPE fabrics showed release of 35% of the total SB extract by day 1 in a 24hours immersion study. Moreover, the SB extract-loaded zeolites containing HDPE fabrics showed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indicating that this innovative delivery platform potently imparted antimicrobial activity to the HDPE fabric.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HDPE fabric containing the SB extract-loaded zeolites microparticle carrier system has potential as an effective antimicrobial textile such as safety gloves, protective gloves etc.

Allergy 비염 환자에서 분리된 Klebsiella pneumoniae 289에 대한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및 궁귀향소산(芎歸香蘇散)의 항균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ojungikgi-tang, Gwakhyangjeonggi-san, and Gunggwihyangso-san to Klebsiella pneumoniae 289 extracted from Allergic Rhinitis Patients)

  • 서지용;서은희;박석준;구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5-95
    • /
    • 2004
  • 1. Objectives Although the incidence of allergic rhinitis is increasing continually,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showing favorable treatment outcomes. This study was aimed to tes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Bojungikgi-tang, Gwakhyangjeonggi-san, and Gunggwihyangso-san which are being applied to allergic rhinitis of Soeumin. 2. Methods Klebsiella pneumoniae 289 was extracted from allergic rhinitis patients. Bojungikgi-tang, Gwakhyangjeonggi-san, and Gunggwihyangso-san were boiled down and concentrated, and the substances obtained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n stability to temperature and pH and on antimicrobial activity 3. Results When measured the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the inhibition zones of Bojungikgi-tang, Gwakhyangjeonggi-san, and Gunggwihyangso-san were found 11.42, 11.07, and 10.63mm, respectively. The levels of MIC were $15{\mu}{\ell}$, $20{\mu}{\ell}$, and $10{\mu}{\ell}$ in that ord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increased 13.88% in Bojungikgi-tang, 16.63% in Gwakhyangjeonggi-san, and 10.72% in Gunggwihyangso-san. There was no influence of pH to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 three substances. 4. Conclusions Bojungikgi-tang, Gwakhyangjeonggi-san, and Gunggwihyangso-san had a high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to Klebsiella pneumoniae 289 even at a low concentration.

  • PDF

곰소만 해역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에서 분리한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항균제 내성 및 병원성 유전자의 보유성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he Presence of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Korea)

  • 김태옥;엄인선;박광호;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00-806
    • /
    • 2016
  • In total, 151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re analyzed for their susceptibility to 18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 and for genes associated with virulence. For virulence genes, each strain of the isolates was positive for the enterotoxigenic E. coli (ETEC)-specific heat-stable toxin (estA), enteroinvasive E. coli (EIEC)-specific invasion-associated locus (iaa) gene and enteropathogenic E. coli (EPEC)-specific attaching and effacing (eae) gene. According to a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resistance to ampicillin was most prevalent (23.2%), followed by resistance to amoxicillin (22.5%), ticarcillin (20.5%), tetracycline (18.5%), nalidixic acid (12.6%), ciprofloxacin (10.6%), streptomycin (9.9%), and chloramphenicol (6.6%). More than 35.8%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agent, and 19.9% were resistant to four or more classes of antimicrobials; these were consequently defined as multidrug resistan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es for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the 15 different antimicrobial agents of 54 E. coli strains were confirm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s from $32-2,048{\mu}g/mL$. Overall, these results not only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necessity for seawater and R. philippinarum sanitation in Gomso Bay but they also help to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by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