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fungal substanc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1초

포도나무 (Vitis vinifero L.) 지상부로부터 분리한 항진균성 활성물질의 특성규명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Substance Isolated from Aerial Parts of Vitis vinifero L.)

  • 임태헌;권순열;최용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2-86
    • /
    • 2007
  • 포도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H_2O$으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 하였다.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hromatography와 재결정하여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EI-MS의 조각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 betulin으로 구조결정 되었다. 이 화합물이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한 항균활성(in vitro)을 측정한 결과, 100 ${\mu}g\;mL^{-1}$에서 각각 52.1%, 40.8%의 균사생육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잔디 마름병(Rhizoctonia solani) 균의 균사생육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hytophthora capsici를 길항하는 Pseudononas fluorescens 2112가 생산하는 항진균 항생물질 2,4-diacetylphloroglucinol (An Antifungal Subatance, 2,4-Diacetylphloroglucinol Produced from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이은탁;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2
    • /
    • 2001
  • 우리 지역 토양환경에 도착해 살고 있는 토착 길항미생물을 분리, 선발, 육종하여 다시 지역모양으로 돌렸을 때 우점 능력이 크고 적응력이 큰 토착 생물방제균을 선발하고자 경북 경주지역에서 자연농법을 수행하고 있는 저병해경작지로부터 토착 길항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생육을 강력히 길항하는 항생물질과 siderophore를 동시에 생산하는 복수 길항기작의 토착 길항세균 Pseudomonas fluorescens 2112를 선발하였고, 이 균주로부터 우선 항진균성 항생물질을 생산, 정제한 후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항생물질은 산성 pH 조건에서는 매우 안정하였으나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불안정한 물질로 판단되었고, 또한 열에 비교적 안정하여 $80^{\circ}C$까지 30분동안 열처리하여도 항균활성을 50% 정도 유지하였다. P. fluorescens 2112로부터 이 균주의 중요 생물방제 기작인 항진균 항생물질을 단일물질 수준으로 분리하여 그 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선발된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은 다른 Pseudomonas sp. 에서도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진 2,4-diacetylphloroglucinol로 동정이 되었다. 고추역병균 P. capsici의 생육을 억제하는 토착 길항세균 P.fluorescens 2112가 생산하는 항진균 항생물질의 항균범위를 조사해 본 결과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에 방제력을 가지는 광범위 항생물질임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Fusarium 속에 대해서는 큰 활성을 볼 수 있었다. 이 항진균 항생물질을 이용해 저해기작을 고추역병균 P. capsici의 포자를 대상으로 radioisotope labelling precursor [$^{3}$ H] Leucine, [$^{14}$ H] Glucose, [$^{3}$ H] Adenine 등으로 조사한 결과, 그 길항기작이 RNA 합성 저해로 추정되었다.

  • PDF

항진균물질을 생합성하는 Pseudomonas aeruginosa의 배양생리적 특성 연구 (Fermentation Studies on Pseudomonas aeruginosa Producing Antifungal Secondary Metabolite, PAFS.)

  • 송성기;윤권상;정용섭;전계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2-59
    • /
    • 2004
  • Fructose와 galactose를 배지에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catabolite repression에 의한 PAFS생산성 저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탄소원의 공급량과 유속을 달리하는 유가식 배양으로 PAFS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성공률이 매우 높다고 밝혀진 실험방법에 의해 모균주로부터 고생산변이주를 선별하여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AP-20 균주를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회분식 배양 및 유가식 배양 실험에 이용하였다. 생물반응기에서의 유가식 배양이 회분식 배양에서보다 PAFS생산성이 약 4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산균주의 배양생리학적 특성으로서 Pseudomonas aeruginosa는 galactose를 이용해서 세포성장과 이차대사산물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하고 fructose를 이용하여 PAFS를 생합성하는 것으로 추론되며, 너무 느린 탄소원의 공급은 세포성장에 제한요소로 작용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유가식 배양일지라도 배양 조건에 따라 그 생산성이 뚜렷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galactos의 초기량이 20g/L이고 fructose 30g/L를 0.032 mL/min의 속도로 공급했을 경우의 PAFS생산량을 100%로 정의했을 때, 초기부터 40 g/L의 galactose가 존재하고 20 g/L의 fructose를 0.032 mL/min의 속도로 공급한 경우에 PAFS생산성이 약 580%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Aspergillus terreus로부터 항진균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 from Aspergillus terreus)

  • 김근기;박기훈;문석식;강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93-596
    • /
    • 1997
  • 시설내 토양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활성을 갖는 길항균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요 식물 병원균인 Phytophthora capsici,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및 Fusarium oxysporum에 활성을 갖는 4종류의 길항균(AF1, AE2, AE3, AF4)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AE2균을 동정한 결과, 생육한 균은 짙은 오렌지색과 황갈색을 띄었으며, 현미경의 morphology는 column형의 conidial head와 foot cell로 부터 곧게 뻗은 분생자와 2중층의 포자낭병을 형성했다. 그리고 MY20 agar 배지에서 투명한 둥근세포의 형성등이 Aspergillus terreus의 형태와 일치 하였다. Pot에서 병원균과 A. terreus를 동시에 처리하여 오이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토양중량당 A. terreus의 균체를 1% 처리에 40%, 5% 처리에 57%, 10% 처리에는 75% 병발생율을 억제시켰다. 그리고 A. terreus의 배양여액으로부터 activity-guided fractionation을 실시하여 항진균성 물질인 화합물 I 을 얻었다. $^1H$, $^{13}C\;NMR$, DEPT, $^1H-^1H\;COSY$, HMQC, HMBC 및 질량스텍트럼을 분석한 결과 화합물 I 은 butyrolactone I (${\alpha}$-oxo-${\beta}$-(p-hydroxyphenyl)-${\gamma}$-(p-hydroxy-m-3,3-dimethyl-allylbenzyl)-${\gamma}$-methoxycarbonyl-${\gamma}$-butyrolactone, $C_{24}H_{24}O_7$, M.W. = 424)로 동정되었다.

  • PDF

퇴비로부터 분리된 Burkholderia cepacia No.15-2의 특성과 항균 효과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ovel Burkholderia cepacia No. 15-2 Isolated from Compost)

  • Yun, Soon-I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1-428
    • /
    • 2003
  •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항곰팡이성 퇴비의 개발을 목적으로 공시 식물로써 Spinacia oleracea L과 식물 병원균 Rhizoctonia solani Kuhn O-28을 모델로 사용하여 수행 되었다. 다양한 음식쓰레기를 일년동안 숙성시킨 퇴비로부터 80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No.15-2 균주가 R. solani Kuhn O-28에 대해 가장 높은 항곰팡이 활성을 보였다. 16S rDNA sequencing과 primer pair PCR에 의해 표현형과 분류학적으로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Burkholderia cepacia genomoval V로 분류되었다. 이 B. cepacia No. 15-2가 퇴비화 중에 우점하였으며 그 균수는 15일 동안 거의 $10^{13}$ cfu/g을 유지하였다. S. oleracea L을 배양 했을 경우 R. solani Kuhn O-28에 의한 발병율은 B. cepacia No.15-2를 첨가함으로써 40%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B. cepacia No.15-2는 다양한 식물의 곰팡이 유래의 병을 방제하는 데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myces sp. LAM-593이 생산하는 수용성 항진균성 항생물질 (Solumycin : A water-soluble antifungal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LAM-593)

  • 이동희;박승림;권태종;정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80-186
    • /
    • 1991
  • 토양에서 분리한, 수용성 항진균성물질(solumycin)을 생산하는 Streptomyces sp. LAM-593의 배양액으로부터 butanol 추출, alumina와 2회의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등의 방법으로 물질을 정제하고 여러가지 성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물질은 silica gel TLC에서 단일 spot를 나타내었으며 ethanol-ammonia water-water (8:1:1). butanol-ethanol-water (5:1:4 및 5:2:2), 50% methanol계에서의 Rf치는 각각 0.24, 0.46, 0.57, 0.84였고, 물 methanol, acidic aq. butanol 등에 잘 용해하였으며 Fehling과 Molish 반응에서 양성인 342, 361. 380, 404nm에서 peak를 나타내는 heptaene계 물질이었다. 그리고 Candida, Cryptococcus, Saccharomyces, Trichophyton, Trichosporon 등의 진균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컸으나 여러가지 세균에 대해서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

  • PDF

Urease gene의 전이에 의한 길항세균 Bacillus sp. SH14의 길항능력 증가 (Improvement in Antagonistic Ablil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p. SH14 by Transfer of the Urease Gene.)

  • 최종규;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2-129
    • /
    • 1998
  • 최근 생물방제균으로 주목받고 있는 Enterobacter cloacae의 방제기작이 이 균에 의해 토양내에서 생산된 휘발성 ammonia이며 ammonia의 생산에는urease가 관계한다는 보고를 근거로 하여, 항생물질 생산성 균주로 선발된 우수한 길항균주에 암모니아 생성능, 즉 urease 유전자를 유전적으로 부가함으로써 항진균성 길항물질 생산과 암모니아 생산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새로운 다기능의 생물방제균을 유전적으로 육종하고자 하였다. 저병해 인삼경작지로부터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의 생육을 강하게 억제하는 길항세균 한 균주 SH14균주를 분리, 선발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이거나 그 근연종으로 추정되었다. 억제기작 실험을 통해 길항균주 B. subtilis SH14에 의해 생산되는 항진균성 길항물질은 외막가수분해효소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아니라 열에 안정한 저분자의 항생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mmonia 생산을 위한 urease의 유전자는 urease 생산력이 강력한 호알칼리성 Bacillus pasteurii의 urease 생산유전자를 E. coli-Bacillus shuttle vector인 pEB203에 subcloning하였고, 이어서 pGU 366으로 명명된 이 recombinant plasmid를 선발된 항진균성 길항균주 B. subtilis SH14에 PEG-induced protoplast transformation 방법으로 도입, 발현시켰으며, 최적조건을 조사하여 90분간의 lysozyme 처리과정 후 1.5 $\mu\textrm{g}$/$m\ell$의 DNA와 40% PEG4000의 첨가로 약 6.5$\times$$10^{-4}$의 형질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암모니아 생성능이 부가된 생물방제균 B. subtilis SH14(pGU366)에 의해 식물근부균 F. solani에 대한 생육억제력이 증가되는지 여부를 억제거리 측정법과 균체중량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urease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B. subtilis SH14(pGU366)의 근부균 생육억제능이 각각 36.7%, 44.0%정도로 숙주균주인 B. subtilis SH14에 비해 근부균 생육억제능을 보다 강하게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진균성 항생물질 생산성 생물방제균 B. subtilis SH14에 외부의 urease유전자를 도입하여 ammonia 생성능을 부가함으로써 생물방제력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 PDF

The Role of Curcuma Specie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Subarnas Anas;Apoteker Sidi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99-101
    • /
    • 2004
  • An important aspect of indigenous medicine is the ability of traditional societis to manipulate the environment for their own benefit, for example for their health care. In Indonesia, this indigenous medicine is called Jamu. Jamu mostly consists of a mixture of herbals of the genus Curcuma, Zingiberaceae. There are 19 species of curcuma grown in Indonesia. Eleven of them are popular in the jamu preparations. Ethnopharma-cological surveys have shown that 50% of these species are used for post partum protection, dismenorrhea, 30%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stomache and as cosmetics, 20%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fever, worms, asthma, etc. Chemical studies show that they contain curcuminoids, volatile oils, flavonoids, starch, and resinous substance. Pharmacological studies of extracts and isolated bioactive compounds have shown that they have a broad pharmac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inflammatory, choleretic, antihepatotoxic, antitumor, antioxidant, and antihyperlipidemic activity.

  • PDF

Enhancement of Biocontrol Activity of Serratia plymuthica A21 -4 Toward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Amendment of Nutritional Condition

  • Shen, Shun-Shan;Kim, Chang-Guk;Park, Chang-Se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6.1-96
    • /
    • 2003
  • Serratia plymuthim A21-4 strongly inhibits the mycelial growth, zoospore formation, and cystospore germination of Phytophthor spp and Pythium species. The bacterial isolate produced antifungal substance and chitinase. The bacteria also enhanced to plant growth remarkably in low nutritional condition. The application of cell suspension of A21-4 to pepper seedlings in greenhouse experiments and soil drenching in farmer's field was proved successfully to control the phythophthora blight of pepper. For the effective control, however, relatively high density of cell number(10$\^$9/cfu/$m\ell$) is required. Density effect was similar in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A21-4. Though this investigation we improved the problem with changes of culture condition of bacteria and some nutritional amendment.

  • PDF

Purific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20(29)-lupen-3-one from Daedaleopsis tricolor(Bull.ex Fr.)Bond.et Sing.

  • 김은미;정해룡;민태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1호
    • /
    • pp.59-62
    • /
    • 2001
  • The dried fruit-body of Daedaleopsis tricolor was extracted by the petroleum ether. The extracts were purifi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The purified compound was a colorless orthorhombic crystal form. Its melting point, molecular weight and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varepsilon)$ were estimated $168-170^{\circ}C$, 424 and 3,935 at 208 nm, respectively. Its structure was elucidated to be 20(29)-lupen-3-one by UV-Vis, FT-IR, NMR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It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icrosporum gypseum,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pyocyanea,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ddition, this compound showed an antioxidative activity on lipid-peroxidation by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