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body engineering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4초

IgY (Immunoglobulin Yolk) 분리를 위한 3-영역 SMB (Simulated Moving Bed)와 4-영역 SMB 비교전산모사 (Comparative Simulation of 3-zone SMB (Simulated Moving Bed) and 4-zone SMB for IgY (Immunoglobulin Yolk) Purification)

  • 윤상희;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866-873
    • /
    • 2012
  • 난황에 포함된 IgY는 포유동물에 있는 바이러스나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난황을 전처리한 후 3-zone와 4-zone SMB를 이용하여 지질단백질들로 부터 IgY를 분리하는 전산모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회분식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전산모사 매개변수와 흡착 등온식 SMB 전산모사 변수를 얻었다. Aspen simulator를 이용하여 전산모사를 수행하여 IgY를 분리할 수 있는 3-zone과 4-zone SMB 운전조건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gY와 다른 단백질의 농도와 순도를 모두 고려할 때, 꼭지점인 좌표($m_2$, $m_3$=0.1, 1.1)에서 3-zone SMB가 최적의 조건으로 생각된다. IgY 만을 고려하면 4-zone SMB가 좌표($m_2$, $m_3$=0.06, 0.5)에서 가장 높게 IgY를 분리할 수 있었다. recycle이 없는 3-zone SMB는 꼭지점 좌표에서 좌표이동이 extract의 지질 단백질 농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를 이용한 정량적 알파태아단백 검출 (Quantitative Alpha Fetoprotein Detection with a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Mass Sensor)

  • 이상규;조종윤;이열호;전상민;차형준;문원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7-493
    • /
    • 2011
  • 비표지 방식의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를 이용하여 간세포암의 혈청표지물질인 알파태아단백(alpha fetoprotein, AFP)을 정상 농도인 10 ng/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하였다.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는 캔틸레버의 질량변화에 의하여 센서의 공진주파수가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센서에 붙은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며, 센서의 공진주파수는 컨덕턴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측정한다. 제작된 센서는 공진 주파수가 약 1.34 MHz, 질량 민감도가 약 175 Hz/pg이며 단백질이 붙을 때 캔틸레버의 표면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센서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질량센서로써 신뢰도를 높였다. 'Dip and dry' 방법으로 캔틸레버의 프로브 영역을 시약과 반응시켜서 AFP 항체를 고정화하고 AFP 항원을 검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0 ng/ml과 50 ng/ml농도의 항원에서 10분간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시켰을 때 센서에 검출된 항원의 질량이 각각 6.02 pg과 10.67 pg이다.

Protein Tyrosine Kinases, $p56^{lck}\;and\;p59^{fyn}$, MAP Kinase JNK1 Provide an Early Signal Required for Upregulation of Fas Ligand Expression in Aburatubolactam C-Induced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 BAE MYUNG AE;JUN DO YOUN;KIM KYUNG MIN;KIM SANG KOOK;CHUN JANG SOO;TAUB DENNIS;PARK WAN;MOON BYUNG-JO;KIM YOUNG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56-766
    • /
    • 2005
  • The signaling mechanism underlying aburatubolactam C-induced FasL upregulation was investigated in human Jurkat T cells. After treatment with aburatubolactam C, the src-family PTKs $p56^{lck}\;and\;p59^{fyn}$, and MAP kinases ERK2 and JNK1, were activated prior to FasL upregulation; Both $p56^{lck}\;and\;p59^{fyn}$ were directly activated 2.4- and 2.2-fold, respectively, in vitro by aburatubolactam C. The aburatubolactam C-induced cellular changes, including the activation of ERK2 and INK1, and FasL upregulation, were completely prevented by the PTK inhibitor genistein.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PKC$\delta,\;\epsilon\;and\;\mu$ was also induced following aburatubolactam C treatment. Although the activation of $p56^{lck}$ an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the cellular proteins were not blocked by the PKC inhibitor GFl09203X, the activation of ERK2 was completely abrogated, along with a detectably enhanced JNK1 activation; FasL upregulation, and apoptosis. However, the FasL upregulation and apoptosi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KC activator PMA, with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ERK2 activation. The cytotoxic effect of aburatubolactam C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the anti-Fas neutralizing antibody ZB-4. Although ectopic expression of Bcl-2 failed to completely block the cytotoxicity of aburatubolactam C, it was clearly suppressed. The c-Fos mRNA expression was upregulated in a biphasic manner, where the second phasic expression overlapped with the FasL upregulation. According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buratubolactam C-induced apoptosis is exerted, at least in part, by FasL upregulation dictated by activation of the PTK ($p56^{lck}\;and\;p59^{fyn}$) /JNKI pathway, which is negatively affected by the concurrent activation of the PKC/ERK2 pathway proximal to PTK activation.

Effects of stale maize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stinal morphology and antioxidant capacity in broilers

  • Liu, J.B.;Yan, H.L.;Zhang, Y.;Hu, Y.D.;Zhang, H.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605-61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ale maize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intestinal morphology, and antioxidant capacity in broilers. Methods: A total of 800 one-day-old male Arbor Acres broilers (45.4±0.5 g) were blocked based on body weight, and then allocated randomly to 2 treatments with 20 cages per treatment and 20 broilers per cage in this 6-week experiment.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basal diet and diets with 100% of control maize replaced by stale maize. Results: The content of fat acidity value was higher (p<0.05) while the starch, activities of catalase and peroxidase were lower (p<0.05) than the control maize. Feeding stale maize diets reduced (p<0.05)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throughout the experiment, feed conversion ratio (FCR) during d 0 to 21 and the whole experiment as well as relative weight of liver, spleen, bursa of Fabricius and thymus (p<0.05) on d 21. Feeding stale maize diets decreased jejunum villus height (VH) and VH/crypt depth (CD) (p<0.05) on d 21 and 42 as well as ileum VH/CD on d 42. The levels of immunoglobulin G, acid α-naphthylacetate esterase positive ratios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on d 21 and 42 as well as lysozyme activity and avian influenza antibody H5N1 titer on d 21 decreased (p<0.05) by the stale maize. Feeding stale maize diets reduced (p<0.05) serum interferon-γ,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2 on d 21 and interleukin-6 on d 21 and 42. Broilers fed stale maize diets had lower levels of (p<0.05) total antioxidative capacity on d 42,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on d 21 and 42, but higher (p<0.05) levels of malondialdehyde on d 21 and 42. Conclusion: Feeding 100% stale maize decreased ADFI and FCR, caused adverse effects on immunity and antioxidant function and altere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이용한 바이오센서 칩 연구와 그 응용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Polyhydroxyalkanoates in Biosensor Chip)

  • 박태정;이상엽
    • KSBB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371-377
    • /
    • 2007
  •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의 융합연구에 의해 나노바이오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나노바이오기술의 중요한 응용연구 중의 하나로서, 진단이나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단백질-단백질 및 단백질-바이오물질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단백질 센서 칩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의 선택적 고정화를 위한 새로운 생체고분자 기질로 PHA를 이용하는 첫 번째 예로서, 단백질-단백질 및 항원-항체 반응의 구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PHA 표면 위에서 PHA depolymerase의 SBD와의 선택적 결합에 기반한 것으로, PHA depolymerase의 SBD와 융합된 단백질이 PHA가 코팅된 표면 위에 spotting 될 수 있고 미세접촉인쇄방법에 의해 PHA 위에 미세패턴이 제조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52, 53). 이러한 새로운 전략이 PHA depolymerase의 SBD와 다른 단백질을 융합함으로서 미세 spotting과 미세패터닝이 가능하게 되었고 항원-항체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많은 바이오센서 칩 연구에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HA 마이크로 비드에도 PHA depolymerase의 SBD와 융합된 단백질을 고정시킴으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54). PHA의 구조를 변경하여 PHA 기판, PHA 필름, PHA 미세패턴, PHA 마이크로 비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multiplex assay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융합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성공적으로 개발된 PHA를 이용한 새로운 플랫폼 기술이 PHA depolymerase의 SBD를 이용함으로서 특이적이고 선택적인 단백질의 고정화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전략이 다양한 단백질-단백질 및 단백질-바이오물질 반응을 이용한 바이오칩 및 바이오센서의 응용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효모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세포분화 억제 (Inhibition of Melanoma Differentiation by Melanogenesis Inhibitor Isolated from Yeast)

  • 최태부;이승선;정호권;오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분리한 melanoston이라고 명명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alpha$-MSH를 처리한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oston은 tyrosinase mRNA 발현양을 $10\%$ 정도 저해되는데 그쳤으며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생성 억제를 보였다. 그러나 B16 세포 배양액에 melanoston을 첨가할 경우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이 $3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melanoston이 tyrosinase inhibitor는 아니지만 세포내 tyrosinase 활성화(activation)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morphology 관찰에서 $\alpha$-MSH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많은 dentrite가 형성되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는 반면 melanoston를 처리한 경우에는 dendrite가 감소하면서 세포형태가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FITC-anti-tyrosinase-Ab를 이용한 형광염색을 통해서는 $\alpha$-MSH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tyrosinase의 분포가 dendrite를 포함한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alpha$-MSH와 melanoston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tyrosinase가 핵 주변에서만 관찰되어 melanoston이 B16 melanoma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elanoston은 $\alpha$-MSH에 의해 진행되는 B16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결과적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Galacto-mannan-oligosaccharides or Chitosan Supplementation on Cytoimmunity and Humoral Immunity in Early-weaned Piglets

  • Yin, Y.-L.;Tang, Z.R.;Sun, Z.H.;Liu, Z.Q.;Li, T.J.;Huang, R.L.;Ruan, Z.;Deng, Z.Y.;Gao, B.;Chen, L.X.;Wu, G.Y.;Kim, S.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723-731
    • /
    • 2008
  • Immunomodulatory feed additives might offer alternatives to antimicrobial growth promoters in pig production.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galacto-mannan-oligosaccharide (GMOS) and chitosan oligosaccharide (COS) supplementation on the immune response in early-weaned piglets. Forty 15-day-old piglet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average live body weight of $5.6{\pm}0.51kg$ were weaned and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 groups that were fed maize-soybean meal diets containing either basal, 110 mg/kg of lincomycin, 250 mg/kg of COS or 0.2% GMOS, respectively, over a 2-week period. Another six piglets of the same age were sacrificed on the same day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for sampling, in order to obtain baseline values. Interleukin (IL)-1${\beta}$gene expression in peripheral blood monocytes, jejunal mucosa and lymph nodes, as well as serum levels of IL-1${\beta}$ IL-2 and IL-6, IgA, IgG, and IgM, were evaluated for 5 pigs from each group at 15 and 28 days of 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weaning stress resulted in decreases in serum antibody and cytokine levels.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MOS or COS enhanced (p<0.05) IL-1${\beta}$gene expression in jejunal mucosa and lymph nodes, as well as serum levels of IL-1${\beta}$ IL-2, IL-6, IgA, IgG and IgM compared to supplementation with lincomyci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MOS or COS may enhance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in early-weaned piglets by modulating the production of cytokines and antibodies, which shows that GMOS or COS have different effects than the antibiotic on animal growth and health.

Reversibility and safety of KISS1 metastasis suppressor gene vaccine in immunocastration of ram lambs

  • Han, Yan-Guo;Liu, Gui-Qiong;Jiang, Xun-Ping;Xiang, Xing-Long;Huang, Yong-Fu;Nie, Bin;Zhao, Jia-Yu;Nabeel, Ijaz;Tesema, Birhan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835-841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versibility and safety of KISS1 metastasis suppressor (KISS1) gene vaccine in immunocastration. Methods: Six eight-week old ram lambs were randomly divided into vaccinated and control groups. The vaccine (1 mg/ram lamb) was injected at weeks 0, 3, and 6 of the stud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before primary immunization and at weeks 2, 4, 6, 10, 14, 22, and 30 after primary immunization. All ram lambs were slaughtered at 38 weeks of age, and sampl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specific anti-KISS1 antibody titers in vaccinated anim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serum testo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from week 4 to 14 after primary immunization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t weeks 22 and 30 after the primary immunization. Similar results were also found for scrotal circumference, testicular weight, length, breadth, and spermatogenesis in seminiferous tubules in week 30 after primary immunization. KS (KISS1-hepatitis B surface antigen S) fusion fragment of KISS1 gene vaccine was not detected in host cell genomic DNA of 9 tissues of the vaccinated ram lamb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Conclusion: The effects of KISS1 gene vaccine in immunocastration were reversible and no integration events were recorded.

Bacillus subtilis BB-1으로부터 나토키나아제 유전자 크로닝 및 대량발현 (Cloning and High Expression of Nattokinase Gene from Bacillus subtilis BB-1)

  • 이영훈;이성호;박기훈;최영주;정영기;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4-281
    • /
    • 2006
  • 흑두청국으로부터 분리된 혈전용해력이 우수한 Bacillus subtilis BB-1(KFCC 11344P)으로부터 혈전용해효소 유전자를 PCR법에 의해 크로닝하였고 이를 BCF-1으로 명명하였다. BCF-1의 DNA 염기서열결정 결과 1,145 bp 크기의 혈전용해 효소로, 일본의 natto로부터 분리된 nattokinase 유전자와 99%의 상동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혈전용해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위하여 Bacillus 발현계인 Bacillus-E. coli의 shuttle vector인 pEB vector에 크로닝 하고 host로서 B. subtilis 168에 형질전환시켜 대량 발현시켰다. 생산된 혈전용해효소의 최 적활성 pH와 온도는 7.0과 $35^{\circ}C$로 확인되었다, 기질에 대한 분해양상을 조사한 결과 fibrin에서만 특이적으로 강한 분해가 일어났으며, skim milk에서 아주 약한 분해능을 보였으나 blood agar, gelatin, casein에서는 전혀 분해능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blood agar plate에서 분해능이 없는 것으로 보아 혈액 내에서의 적혈구 파괴현상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위험을 배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CF-1에 의해 생산된 혈전용해효소는 fibrin 특이적으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임상적이나 산업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부작용에 대한 위험적인 문제는 배제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효모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Melanoston Isolated from Yeast)

  • 이승선;정호권;오철;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8-1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분리한 melanoston이라고 명명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alpha$-MSH를 처리한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oston은 tyrosinase mRNA 발현양을 10% 정도 저해되는데 그쳤으며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생성 억제를 보였다. 그러나 B16 세포 배양액에 melanoston을 첨가할 경우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이 33% 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metanoston이 tyrosinase inhibitor는 아니지만 세포내 tyrosinase 활성화 (activation)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morphology 관찰에서 $\alpha$-MSH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많은 dentrite가 형성되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는 반면 melanoston를 처리한 경우에는 dendrite가 감소하면서 세포형태가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FITC-anti-tyrosinase-Ab를 이용한 형광 염색을 통해서는 $\alpha$-MSH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tyrosinase의 분포가 dendrite를 포함한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pha$-MSH와 melanoston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tyrosinase가 핵 주변에서만 관찰되어 melanoston이 B16 melanoma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elanoston은 $\alpha$-MSH에 진행되는 B16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결과적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