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dipogenic activi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Inhibitory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Coix Seed)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Lee, Mi-Kyeong;Shin, Eun-Jin;Liu, Qing;Hwang, Bang-Yeon;Lee, Jung-Bok;Kim, Sun-Yeou;Lee, Jae-Ha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91-294
    • /
    • 2010
  • In obesity, adipocytes undergo abnormal growth characterized by increased cell numbers and differentiation. Thus, inhibition of mitogenesis of preadipocytes and thei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and progression of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antiadipogenic activity of adlay (Coix seed, the seed of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employing preadipocytes cell line, 3T3-L1 as an in vitro assay system. Because several varieties of adlay are in use in Korea, anti-adipogenic activity of three varieties of adlay such as Sang-Gang, Jo-Hyun and Yulmu-Ilho was evaluated. All the three varieties of adlay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using Oil Red O staining. Adlay, however, showed little effects on adipocyte proliferation. Further studies with interval treatment demonstrated that adlay exerted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acting on early stage of adipogenesis. Taken together, adlay might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obesity.

Analysis of Anti-adipogenic Constituents of Cordyceps militari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ion in Different Samples: Comparison with Anti-adipogenic Activity

  • Liu, Qing;Hong, In-Pyo;Han, Sang-Bae;Hwang, Bang-Yeon;Lee, Mi-Kye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171-176
    • /
    • 2012
  • We previously isolated cordycepin, guanosine and tryptophan from Cordyceps militaris as antiadipogenic constituents. For the quality control of C. militaris for anti-adipogenic activity,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diode array detection (DA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Quantitation of these compounds in various Cordyceps samples from different sources and various extraction methods were conducted using developed method. Our study shows that natural Cordyceps and host insect possess higher content than cultured ones and fruiting bodi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ordycepin showed great difference in different C. militaris samples whereas trytophan content was similar in tested samples. Addition of water to extraction solvent greatly increased the yield of guanosine and tryptophan. High temperature and longer extraction time increased yield of guanosine, whereas the content of trytophan was decreased in high temperature during extraction with water. Extraction using ultrasonic apparatus slightly increased extraction efficiency. Cordycepin, however, has little variation in different extraction method tested. Strong anti-adipogenic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samples that contain all the three constituents. Taken together, quantitation of these compounds using developed analytical method might provide basic requirement for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C. militaris.

Fermented ginseng extract, BST204, disturbs adipogenesis of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inhibition of S6 kinase 1 signaling

  • Yi, Sang Ah;Lee, Jieun;Park, Sun Kyu;Kim, Jeom Yong;Park, Jong Woo;Lee, Min Gyu;Nam, Ki Hong;Park, Jee Hun;Oh, Hwamok;Kim, Saetbyul;Han, Jihoon;Kim, Bo Kyung;Jo, Dong-Gyu;Han, Jeung-Wh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58-66
    • /
    • 2020
  • Background: The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BST204, a fermented ginseng extract,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disease conditions. However, its molecular action in metabolic disease remains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BST204 resulting from its inhibition of the S6 kinase 1 (S6K1) signaling pathway. Methods: The inhibitory effects of BST204 on S6K1 signaling were investigated by immunoblot, nuclear fractionation, immunoprecipitation analyses.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BST204 was evaluated by measuring mRNA levels of adipogenic genes and by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Results: Treatment with BST204 inhibited activ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S6K1, further decreasing the interaction between S6K1 and histone H2B in 10T1/2 mesenchymal stem cells. Subsequently, phosphorylation of H2B at serine 36 (H2BS36p) by S6K1 was reduced by BST204, inducing an in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Wnt6, Wnt10a, and Wnt10b, which disturbed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promoted myogenic and early osteogenic gene expression. Consistently, BST204 treatment during adipogenic commitmen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 genes and lipid drop formatio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BST204 blocks adipogenesis of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S6K1-mediated histone phosphory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using BST204 to combat obesity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Activity of Chrysanthemum zawadskii Methanol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6
    • /
    • 2015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항산 화,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CZM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Z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구절초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에서 생성된 지방의 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억제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inor Phenolic Constituents of the Anemarrhenae Rhizoma

  • Youn, Ui-Joung;Lee, Ye-Seul;Jeong, Ha-Na;Nam, Joo-Won;Lee, Yoo-Jin;Son, Young-Min;Hwang, Eun-Sook;Seo, Eun-K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03-207
    • /
    • 2009
  • A homoisoflavanone, 7,4'-dihydroxyhomoisoflavanone (1) and a flavanone, (2S)-7,4'-dihydroxy-5-methoxyflavanone (2), were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together with 4,4'-dihydroxychalcon (3), 2'-O-methylphlorethin (4), 1,3-bis-di-p-hydroxyphenyl-4-penten-1-one (5), and 2,4'-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6)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d physicochemical analyses including 1Dand 2D- NMR technique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Compounds 1 -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ource. Among isolates, compound 2 exhibited moderate inhibitor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cells.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천춘진;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24-1230
    • /
    • 2014
  •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갯질경이 용매분획물의 3T3-L1전지방세포에서의 지방생성억제 효과 (Antiadipogenic Activity of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Limonium tetragonum in 3T3-L1 Preadipocytes)

  • 권명숙;김정애;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이정임;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68
    • /
    • 2019
  • 갯질경이(Limonium tetragonum)는 질경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며, 항산화, 항종양 및 간보호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갯질경이 추출물로부터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한 분획물($H_2O$, n-BuOH, 85% aq. MeOH 및 n-Hexane)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마우스 유래 지방전구세포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염색법으로 지방 세포 분화정도를 확인한 결과, 갯질경이 분획물에 의해 지방세포의 형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생성조절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PPAR{\gamma}$, $C/EBP{\alpha}$ 및 SREBP-1c의 발현을 m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갯질경이 분획물 처리시 지방세포 분화 인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갯질경이 분획물 처리군에서 p38, ERK 및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용매 분획물중에서 $H_2O$ 및 n-Hexan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지방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분획물 중 페놀 또는 지방 유도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갯질경이 분획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머루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비만 활성 (Antiadipogenic Effect of Vitis amurensis Root M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3T3-L1 Preadipocytes)

  • 박정애;진경숙;오유나;현숙경;최영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8
    • /
    • 2013
  • 왕머루(Vitis amurensis Rupreche)는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포도의 한 종류로서 항산화, 항염증, 뇌신경보호, 신생혈관 억제능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왕머루의 뿌리는 한국에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어왔으나 그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루근 MeOH 추출물(VARM)과 그 용매 분획물이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VARM은 3T3-L1 preadipocyte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지방 축적, 중성 지방 생성량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억제시켰다. 활성 물질의 규명을 위해 VARM으로부터 dichloromethane ($CH_2Cl_2$),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그리고 물($H_2O$) 층의 순서로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H_2O$ 층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지방 생성 억제능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CH_2Cl_2$ 층 분획물이 가장 강력한 항비만 활성을 보였고 이는 주요 지방 생성 전사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조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머루근의 항비만 활성을 보유한 활성 물질을 분리한 결과 oleanolic acid가 주요 물질 중의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머루근의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주요 활성 물질의 하나로 oleanolic acid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