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inflammation

검색결과 2,767건 처리시간 0.029초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발된 흉선 T세포사멸에 대한 그렐린의 세포사멸억제효과 (Ghrelin Attenuates Dexamethasone-induced T-cell Apoptosis by Suppress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 이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56-1363
    • /
    • 2014
  •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Ghrelin은 위 기저부의 X/A-유사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주로 합성 분비되는 물질로 음식의 섭취나 비만, 에너지 항상성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Ghrelin 활성화는 수용체인 G-protein coupled growth hormone secretagogue receptor-1a (GHS-R1a)와 결합을 통해 일어난다. 최근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ghrelin과 수용체는 위나 시상하부, 뇌하수체 등뿐만 아니라 T 세포나 단핵구 및 대식세포 등 면역 세포에서도 생성되며,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흉선의 퇴화 등 면역기관에 있어서도 중요한 호르몬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그 기전이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흉선에서 T 세포의 성숙이나 세포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으로 세포사멸을 유도시킨 흉선세포에 ghrelin을 처리하여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Ghrelin은 세포사멸에 중요 단백질인 Caspase-3와 PARP 및 Bim의 활성화가 in vivo 및 in vitro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세포사멸의 억제효과는 ghrelin을 처리할 경우 DEX에 의해 활성화된 Glucocorticoid 수용체(GR)의 인산화의 억제와 HSP90 등과 복합체를 이루고 있는 GR이 활성화되면서 분해되는 과정을 억제시켜 결과적으로 핵 안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등을 통해 볼 때, ghrelin은 약물이나 체내 생리적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흉선 내 면역세포들의 세포사멸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이로 인한 흉선위축을 보호할 수 있는 치료 후보물질로서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KCl Mediates $K^+$ Channel-Activa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ignaling in Wound Healing

  • Shim, Jung Hee;Lim, Jong Woo;Kim, Byeong Kyu;Park, Soo Jin;Kim, Suk Wha;Choi, Tae Hyu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1-19
    • /
    • 2015
  • Background Wound healing is an interaction of a complex signaling cascade of cellular events, including inflammation, proliferation, and maturation. $K^+$ channels modulate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K^+$ channel-activated MAPK signaling directs collagen synthesis and angiogenesis in wound healing. Methods The human skin fibroblast HS27 cell line was used to examine cell viability and collagen synthesis after potassium chloride (KCl) treatment by Cell Counting Kit-8 (CCK-8) and western blotting. To investigate whether $K^+$ ion channels function upstream of MAPK signaling, thus affecting collagen synthesis and angiogenesis, we examined alteration of MAPK expression after treatment with KCl (channel inhibitor), NS1619 (channel activator), or kinase inhibitors. To research the effect of KCl on angiogenesis, angiogenesis-related proteins such as thrombospondin 1 (TSP1), anti-angiogenic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ro-angiogenic factor were assayed by western blot. Results The viability of HS27 cells was not affected by 25 mM KCl. Collagen synthesis increased dependent on time and concentration of KCl exposure. The phosphorylations of MAPK proteins such as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p38 increased about 2.5-3 fold in the KCl treatment cells and were inhibited by treatment of NS1619. TSP1 expression increased by 100%, bFGF expression decreased by 40%,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EGF level by KCl treatment, TSP1 was inhibited by NS1619 or kinase inhibitor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KCl may function as a therapeutic agent for wound healing in the skin through MAPK signaling mediated by the $K^+$ ion channel.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 급여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CIB 001 on Lipid Metabolism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 차상도;유지원;김태운;조호성;이동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4-330
    • /
    • 2012
  • 김치유산균인 L. plantarum CIB 001(KCTC 11717 bp)을 고콜레스테롤을 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게 급여하여 혈청 지질 성상 및 간 조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4주간의 실험식이로 고콜레스테롤 유도한 후, 6주간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CIB 001 유산균을 $5.0-7.5{\times}10^9$ CFU/day 수준으로 급여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을 HCD군에 비해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중성지방을 약 32%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HDL-콜레스테롤에 있어서는 HCD군에 비해 CIB 001를 급여한 군(HCDL)이 약 40%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표준편차가 커서 유의성이 없었다. 동맥경화지수(AI)와 심장위험인자(CRF)를 비교하였을 때, HCD군에 비하여 HCDL군에서 AI가 약 6배 유의하게 낮아졌고 CRF도 약 1.9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또한, 간 조직을 관찰한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유발된 지방 변성과 손상의 경우 HCDL군에서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정상 모양의 재생과 지방 변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CIB 001의 투여가 콜레스테롤 과잉혈증 상태에서 높아진 혈장 지질을 저하시키고 간 기능을 개선시켰으며 동맥경화와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냈다.

Essential Oils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작용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of Essential Oils)

  • 임혜원;김주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5-271
    • /
    • 2005
  • Citrus essential oil (bergamot, grapefruit, lemon, mandarin, petigrain)이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RBL 2H3 비만세포에서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5 종류의 citrus essential oil은 DPPH 라디칼 소거와 세포 증식 및 독성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를 일으키질 않았다. 정제한 tyrosinase 활성에 있어서 mandarin과 petigrain essential oil은 유의하게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으나 bergamot은 전혀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mandarin과 petigrain essential oil이 tyrosinase 효소 억제 기전은 설명하지 못하지만 tyrosinase 효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B16 melanoma 세포에서 MSH에 의한 melanin 생성이 5 종류의 citrus essential oil에 의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Bergamot essential oil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지는 못했지만 melanoma 세포에서 MSH에 의한 melanin 생성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4종류의 citrus essential oil도 모두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MSH에 의한 melanin 생성도 억제하였다. 한편 DCF-DA를 이용한 ROS 생성에 있어서는 madarin essential oil은 ROS 생성에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다른 4개의 essential oil (Bergamot, Grapefruit, Lemon, Petigrain)은 농도 의존적으로 ROS 생성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itrus essential oil은 MSH에 의한 melanin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미백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동의보감 충부약재 14 종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4 Chung-bu Medicinal Materials Described in the Dongui Bogam on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 HaCaT Keratinocytes)

  • 박건혁;문병철;임혜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5-20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동의보감에 기록된 14 종의 충부약재에 대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멀티플렉스 사이토카인 분석으로 17 종에 대한 사이토카인을 스크리닝 하였다. 충부약재 14 종 중, 제조 및 전갈 추출물은 IL-5 생성을 억제하였고, 제조, 상표초 및 수질 추출물은 IL-6 생성을, 제조, 상표초, 지룡, 수질 및 문합 추출물은 IL-8 생성에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합개, 잠사, 선퇴 및 문합 추출물은 IL-13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귀판, 잠사 및 지룡 추출물은 MIP-1β 생성에 유의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충부약재는 피부염증 억제를 위한 항염증제 활용 가능성에 의미를 둘 수 있지만, 그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피부개선을 위한 기전연구를 포함하여 인체피부모사판 모델에서 추가 실험을 통한 검증이 선행 되어야 한다.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nd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 Kang, Keon-Wook;Kim, Yoon-Gyoon;Kim, Choon-Won;Kim, Sang-Ge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55-663
    • /
    • 2002
  • Liver fibrosis is a prepathological state wherein damaged liver tissues in chronic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are not repaired to normal tissues, but converted to fibrous tissue. 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is effective against a wide variety of chemical carcinogens. Recently, we reported that oltipraz inhibits liver fibrogenesis (Kang et al., 2002).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oltipraz in combination with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on 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liver fibrogenesis were assessed in rats. Oltipraz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was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s in plasma ALT, AST and bilirubin by DMN, whereas DDB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attenuated the increases in the plasma ALT and bilirubin. The lowered plasma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in DMN-treated rats were completely restored by oltipraz, but not by DDB. DDB decreases liver cell injury and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B. DMN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ver collagen,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4-hydroxyproline content in liver homogenates, which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oltipraz, but not by DDB. Given the differential effect between oltipraz and DDB,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antifibrotic efficacy by the drugs was assessed in the animal model. Despite the minimal effect of DDB on DMN-induced fibrogenesis, DDB (5-25 mg/kg), administered together with oltipraz (25-5 mg/kg), showed an additive protective effect against hepatotoxicity and fibrosis induced by DMN, which was shown by the blood chemistry parameter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adequate composition ratio of oltipraz to DDB was 5:1.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f oltipraz and DDB as the active component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과당음료 투여가 최대운동부하시 운동수행력, 심폐기능, 젖산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ose-containing Drinks on Cardiopulmonary Function, Lactate Levels, and Inflammatory Markers during Maximal Exercise Testing)

  • 박성모;김병우;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19-825
    • /
    • 2015
  • 본 연구는 과당 위주의 스포츠음료 투여가 최대운동부하시 심폐기능과 젖산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 대학교 체육학과 학생 8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시기를 2차로 나누어 스포츠 음료 투여 전과 투여 후 시기에 심폐기능과 젖산 및 염증반응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스포츠 음료 섭취 전과 섭취후 운동시간과 V02max, AT HRmax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스포츠 음료 투여 후 회복기 20분에서 젖산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따라서 고강도 최대운동 전 과당위주의 스포츠 음료 투여는 운동지속시간을 늘려주고 VO2max를 높여주며, 운동 후 피로물질인 젖산축적의 빠른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록 본 연구에서 염증 반응에 대한 효과를 완벽하게 규명하지는 못했지만 스포츠 음료 투여시 CRP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염증반응 개선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추후 과당위주의 스포츠 음료투여시 염증 반응에 대한 다양한 운동 강도와 상황에서의 기전적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발효 콩의 NF-κB 활성 억제를 통한 cyclooxgenase-2 활성과 prostaglandin E2 생성 억제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Activity and Prostaglandin E2 Produc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NF-κB Activity by the Extracts of Fermented Beans)

  • 이혜현;박철;김민정;서민정;최성현;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8-3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콩 발효 산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PMA에 의해 유도되는 COX-2의 발현 및 $PGE_2$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이들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3가지 콩 발효 산물은 PMA에 의한 COX-2의 발현 증가를 매우 유의적으로 차단하였으며, 이는 $PGE_2$의 생성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아울러 PMA에 의한 NF-${\kappa}B$ 활성 증가 또한 콩 발효 산물들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콩 발효 산물에 의한 NF-${\kappa}B$ 활성의 억제가 COX-2의 발현을 저하시켰으며, 이로 인한 $PGE_2$의 생성이 억제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이러한 콩 발효 산물의 항염증 효과는 대두 추출물보다 아가콩 추출물에서 더욱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아가콩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 예방/치료를 위한 적용 가능성이 매우 우수함을 제시하여 주는 결과이다.

반하(Pinellia ternata)에서의 [6]-gingerol 함량과 멜라닌 저해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 판별 마커로의 활용 (Utilization of [6]-gingerol as an origin discriminant marker influencing melanin inhibitory activity relative to its content in Pinellia ternata)

  • 안주현;원효준;서수경;김두영;구창섭;오세량;류형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23-330
    • /
    • 2016
  •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는 천남성과(Araceae)의 약용 식물로 동아시아 일대가 원산지이며, 유럽과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는 식물이다. 반하의 괴경(tuber)은 약재로 사용되어 구토, 염증, 외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고된 약리학적 작용으로는 항경련, 항종양, 살충, 세포독성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하는 약리학적으로 유용한 약용식물로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고 표준화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한국산과 중국산 반하를 판별할 수 있는 유의적인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해 UPLC-PDA와 QTof-MS에 기반을 둔 대사체 표지법을 이용하였다. 한국산으로부터 원산지 판별 화합물로 예상되는 화합물을 반복적인 역상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기반을 둔 활성유도 분획법을 통해 분리하였다. 그리고, NMR과 MS를 포함한 물리화학적, 분광학적 정보의 결과를 토대로 [6]-gingerol이라는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6]-gingerol은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과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을 지닌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짐에 따라 유효성분 원산지 판별 화합물로 Fingerprint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더욱이, 한국산과 중국산 반하 유래 [6]-gingerol의 함량 비교를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검량곡선을 작성하여 그 함량을 비교하였다. 이것은 한국산 반하판별을 위한 화합물 선정과 성공적인 유효성 검증을 다룬 최초의 보고이다.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y of Fermented Turmeric by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

  • 김성범;강병화;권혁상;강재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6-273
    • /
    • 2011
  • 인도산 울금 분말을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를 포함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발효한 시료들의 소염활성 정도를 세포 내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양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중 L.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시료의 소염 활성이 가장 뛰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울금 분말을 포함한 본배양 배지에서 L. johnsonii IDCC 9203으로 21시간 동안 배양 후 얻은 상등액으로 발효 울금 원료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발효 울금 원료에 대한 소염활성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하고 COX-2와 iNOS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발효 울금 원료 250 ${\mu}g$/m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COX-2와 iNOS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그 저해 활성은 동일 농도의 비발효 울금 원료보다 강하였다. NC/Nga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과 PCA 동물모델에서 발효 울금 원료의 효능 확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의 초기 증상 개선효과와 급작형 과민반응에 대한 예방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했을 때 커큐민의 함량은 비발효 울금 원료에 비해 2.5배 증가했으며, 수용성 커큐민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이나 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도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 커큐미노이드 중에서 이들 유도체의 비중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들을 종합하면, 울금 분말을 L. johnsonii IDCC 9203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유효성분인 커큐미노이드들의 성분비가 변화하고 수용성 커큐미노이드의 증가에 의한 생체 이용율 증가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활성이 증가된다. 본 연구를 통해 L.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 원료는 급성기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