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cancer

검색결과 3,336건 처리시간 0.051초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nd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 Kang, Keon-Wook;Kim, Yoon-Gyoon;Kim, Choon-Won;Kim, Sang-Ge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55-663
    • /
    • 2002
  • Liver fibrosis is a prepathological state wherein damaged liver tissues in chronic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are not repaired to normal tissues, but converted to fibrous tissue. 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is effective against a wide variety of chemical carcinogens. Recently, we reported that oltipraz inhibits liver fibrogenesis (Kang et al., 2002).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oltipraz in combination with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on 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liver fibrogenesis were assessed in rats. Oltipraz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was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s in plasma ALT, AST and bilirubin by DMN, whereas DDB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attenuated the increases in the plasma ALT and bilirubin. The lowered plasma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in DMN-treated rats were completely restored by oltipraz, but not by DDB. DDB decreases liver cell injury and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B. DMN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ver collagen,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4-hydroxyproline content in liver homogenates, which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oltipraz, but not by DDB. Given the differential effect between oltipraz and DDB,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antifibrotic efficacy by the drugs was assessed in the animal model. Despite the minimal effect of DDB on DMN-induced fibrogenesis, DDB (5-25 mg/kg), administered together with oltipraz (25-5 mg/kg), showed an additive protective effect against hepatotoxicity and fibrosis induced by DMN, which was shown by the blood chemistry parameter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adequate composition ratio of oltipraz to DDB was 5:1.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f oltipraz and DDB as the active component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콜라비의 저장 중 품질 및 이차대사산물의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kohlrabi during storage)

  • 박미희;서정민;김선주;김원배;이정수;최지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01-608
    • /
    • 2014
  • 콜라비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이 유지되는 적정 유통기간 설정을 위해, 2차대사산물 및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콜라비를 상온에 저장할 경우, 저장 2주후부터 부패가 발생하기 시작함과 더불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저온저장의 경우, 저장 2개월간 품질의 변화가 거의 없고 기능성 성분도 초기값을 유지하거나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콜라비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저장으로 증가하였고, 상온저장 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또한 포장처리에 관하여, 콜라비의 페놀함량은 저장기간동안 포장처리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05 mm PE 필름 밀봉시 이들 성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콜라비를 포장하여 저장하는 것이 플라보이드 함량 보존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성분으로 알려진 glucosinolate는 저장 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콜라비가 장기 저온저장동안 이들 유용한 성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콜라비의 저장기간 동안 2차대사산물과 외관 품질변화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페놀화합물과 같은 2차대사물질이 콜라비의 저장수명 구명을 위한 품질 지표로서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한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서 Akkermansia muciniphila의 지방축적 감소 효과 (Effect of Reduction in the Adipose Accumulation of Akkermansia muciniphila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심혜윤;임수경;신주현;이도경;서재구;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6-112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duction of lipid accumulation by treatment with Akkermansia muciniphila extract on 3T3-L1 adipocytes. Methods: After treating pasteurized Akk. muciniphila strains in HT-29 colorectal cancer cell, the relativ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8, tumor necrosis factor-α, IL-6, and IL-1β mRNA was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27 strains of Akk. muciniphila which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selected.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for 24 hr and then measured the toxicity using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4 days and then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using the medium including adipogenic reagents for 10 days. The Akk. muciniphila was treated when the medium was exchanged for differentiation medium at 4th day and insulin medium at 6th day. To observe the lipid accumulatio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dye and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Results: In the cytotoxicity test, the cell viability of 3T3-L1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untreated with Akk. muciniphila,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of Akk. muciniphila at 1×107 CFU/mL. The results on Oil red O staining and absorbance measurements we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pid accumulation in the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In our results, Akk. muciniphila has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This suggests that Akk. muciniphila could be help to improve obesity.

용규(Solanum nigrum)에서 HT29 세포에 대한 신규 항암 활성 단일 물질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Anticancer Compound from Solanum nigrum)

  • 윤희정;정종헌;현숙경;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241
    • /
    • 2014
  • 용규(Solanum nigrum)에 함유된 여러 성분 중 항암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및 규명하고자 용규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CH_2Cl_2$, EtOAc, n-BuOH, $H_2O$로 유기용매 계통분획 하였다. 이 분획물 중 $H_2O$ 획분이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다시 용매별($H_2O$, 40% MeOH, 60% MeOH, MeOH)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4개의 fraction으로 나누었다. 이 fraction 중 $H_2O$ fraction에서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효과를 보였으며 몇 차례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얻어진 활성 획분을 GC-MS 및 FAB-MS 분석하였다. 분자량이 416이었으며 GC-Mass를 통하여 library search를 행한 결과 분자식 $C_{28}H_{48}O_2$인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으로 확인되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tomatine과 tomatidine의 HT2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결과, tomatine보다는 활성이 낮았으나 tomatidine 보다는 4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물질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용규에서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을 분리하였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고하였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의 정상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작용 기전 등의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 생리 활성 물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 일 고려인삼 심포지움 (Studies on Selective Modulators and Anti-anorexigenic Agents in Korean Red Ginseng)

  • Hiromichi Okuda;Keizo Sekiya;Hiroshi Masuno;Takeshi Takaku;Kenji Kamed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45-252
    • /
    • 1987
  • Isolated rat adipocytes are well known to possess opposite pathways of lipid metabolism: lipolysis and ipogenesis. Both of the metabolism respond to various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epinephrine, ACTH and insulin. Epinephrine and ACTH stimulate lipolysis and insulin accelerates lipogenesis. Recently, Korean red ginseng powder was found to contain adenosine and an acidic poptide which inhibited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and sl imulated insulin-mediated lipogenesis from added glucose. The acidic peptide is consisted mainly of glutamic acid and glucose. Ginsenosides Rb1 and Re inhibited ACTH-induced lipolysis in isolated rat adipocytes, while they did not affect insulinstimulated lipogenesis, Thus, all these substances extracted from Korean red ginseng exhibited selective modulations toward the opposite metabolic pathways in rat adipocyte; They inhibited the lipolysis but not the lipogenesis. We call these substances"selective modulators". Recently, we isolated a toxic substance named "toxohormone-L " from ascites fluid of patients with various malignant tumors. The toxohormone-L stimulated lipolysis in rat adipocytes and induced anorexia in rats. Both the lipolytic and the anorexigenic actions of toxohormone-L were found to be inhibited by ginsenoside Rb2 in Korean red ginseng. Based on these results,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these substances in Korean red ginseng were discussed. Pan ax ginseng is a medicinal plant long used in treatment of various pathological states including general complaints such as head ache, shoulder ache, chilly constitution and anorexia in cancer patients, There have been many pharmacological studies on Panax ginseng roots. Petkovllrepor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n aqueous alcoholic extract of ginseng roots decreased the blood sugar levtl of rabbits. Saito2lreported that Panax ginseng suppressed hyperglycemia induced by epinephrine and high carbohydrate die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ax ginseng roots contain insulin-like substances. Previously, we demonstrated that gin¬seng roots contain an insulin-like peptide which inhibits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and stimulated insulin-mediated lipogenesis. In 1984, we suggested that such an insulin-like substance should be called a selective modulator4). Present investigation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selective modulators in ginseng roots. During progressive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various neoplastic disease, depletion of fat stores have been observed. The depletion of body fat during growth of neoplasms i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plasma free fatty acids. Recently, we found that the ascites fluid from patients with hepatoma or ovarian tumor and the pleural fluid from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elicited fatty acid release in slices of rat adipose tissue in vitro. The lipolytic factor, named"toxohormone-L". was purifed from the ascites fluid of patients with hepatoma. The isolated preparation gave a single band on both disc gel electrophoresis and sodium dodecyl sulfate(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the presence of ${\beta}$-mercaptoethanol. Its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70,000-75,000 and 65,000 by 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analytical ultracentrifugation, respectively. Injection of toxohormone-L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rats significantly suppressed food and water intakes. There was at least 5 hr delay between its injection and appearance of its suppressive effect. In the present study, we also tried to find a inhibitory substance toward toxohormone-L from root powder of ginseng.

  • PDF

전암성 폐병변 및 편평상피세포폐암 조직에서 CBP(c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전사 공동 활성인자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양상의 비교 (Comparison o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CBP(cAMP-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Transcriptional Co-activator between Premalignant Lesions and Squamous Cell Carcinomas in the Lungs)

  • 신종욱;김진수;김미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65-172
    • /
    • 2007
  • 폐암의 발생은 여러 많은 유전자의 변화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한다. 세포 내 전사 조절 인자의 하나인 CBP는 폐를 포함한 인체 내 여러 조직에서 상피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유전자들에서 전사조절인자로서 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며 발암 과정에서도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아직까지 폐암에서 CBP에 대한 연구가 확정된 바가 없어, 폐의 전암성 병변(상피 화생 20예, 이형성증 40예) 및 편평상피세포폐암 60예를 대상으로 하여 CBP의 발현정도를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화생성 병변(7예; 35%)에 비해 이형성 병변(26례; 65%)이나 편평세포암종(42례; 70%)에서 CBP의 발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이형성 병변의 경우, 경도의 이형성 병변(20예 중 10예; 50%)보다 고도의 이형성 병변(20예 중 16예; 80%)에서 높은 CBP의 발현율을 보였다(p<0.01). 3) 편평세포암의 분화도별로 살펴보았을 때, 고분화암에서 95%(20예 중 19예), 중등도 분화암에서 85%(20예 중 17예), 저분화 암에서는 30%(20예 중 6예)의 발현율을 보였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CBP는 폐 조직에서 정상 기관지 상피 세포가 전암성 병변으로 변하거나 전암성 병변이 암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세포가 암으로의 발전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늠하는 표지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Yuza(Citrus junos) Extracts and Ascorbic Acid on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9-654
    • /
    • 2006
  •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97.87{\mu}g/mg$$121.17{\mu}g/mg$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0.28{\mu}g/mg$$0.59{\mu}g/mg$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비타민 C를 첨가할 경우가 상승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농도($30{\mu}g/mL$) 시료보다는 고농도($300{\mu}g/mL$)에서 전자공여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과피 추출물 $1,000{\mu}g$에 비타민 C $500{\mu}g$를 혼합한 경우의 비타민 C $500{\mu}g$ 단독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20분 반응에서 2.6배, 40분 1.5배, 60분에는 1.2배가 높았다. 환원능은 유자 과피 추출물의 $30{\mu}g/mL$$50{\mu}g/mL$ 저 농도에서 고농도에서와 비슷하게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자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서 다른 암 세포주에 비하여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mL$에서는 각각 63.8%와 73%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는 모든 시험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추출물이 과육 추출물보다 항암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은 함유되어 있는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세포주기조절인자 발현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향 (Mod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by Sulforaphane in Human Mepatocarcinoma HepG2 Cells)

  • 배송자;김기영;유영현;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35-1242
    • /
    • 2006
  • 브로콜리를 포함한 십자화과 식물에서 glucoraphanin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isothiocyanate의 일종인 sulforaphane은 역학적 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강력한 암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암효과에 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sulforaphane은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정확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sulforaphane의 항암작용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HepG2 인체간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sulforaphane의 영 향을 조사하였다. Sulforaphane의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 변형은 세포주기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T-PCR 및 Western blot 분석 결과, sulforaphane 처리에 의하여 cyclin A 및 cyclin B1, Cdc2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선택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은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sulforaphan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Sulforaphane의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들에 의하면 sulforaphane은 강력한 인체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항암작용이 있을 것을 시사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노화 분자마커로서 노화기전에 관여하는 타켓 단백질 (Target Proteins Involved in Aging Mechanism as an Aging Molecular Marker)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83-989
    • /
    • 2016
  • 체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들의 주위환경에 좌우되어 분화, 괴사, 세포자살, 세포노화와 같은 운명을 경험한다. 이러한 세포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수가 암, 염증, 노화 및 질병과 같은 표현형에서의 여러가지 이상을 발생시킨다.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항 노화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과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타켓 단백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s)는 노화마커로 암전이, 만성염증 및 피부노화에 관여한다. 특히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DACs)는 모델동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려고 노력하는 노화연구원들에게 큰 관심의 대상이다. 뿐만 아니라, 여기서 p53, IGF-1 및 SIRT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노화와 관련된 신호경로에 대하여 기술한다. 더욱이, 자가포식과정이 노화와 관련한 신호경로에도 관여하고 있다. 세포노화의 신호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가지 새로운 화합물도 본 총설논문에서 소개된다. 여기서 우리는 노화기전에 대한 분자기반 및 노화마커 개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소개되는 화합물은 노화와 관련 있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의학적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Cdk inhibitors의 발현 증가 및 pRB 인산화 저해에 의한 HDAC inhibitor인 sodium butyrate에 의한 인체백혈병세포의 G1 arrest유발 (G1 Arrest of U937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s by Sodium Butyrate, an HDAC Inhibitor, Via Induction of Cdk Inhibitors and Down-regulation of pRB Phosphorylation)

  • 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71-877
    • /
    • 2009
  • 대표적인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저해제의 일종일 sodium butyrate에 의한 인체백혈병 U937세포의 증식 억제에 관한 기전 연구를 세포주기 조절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MTT assay 및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sodium butyrate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른 U937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G1 arrest 및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RT-PCR및 Western blotting 결과에서 sodium butrate에 의한 G1 arrest는 세포주기 G1기에서 S기로의 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yclin D1, E, A, cyclin-dependent kinase (Cdk) 4 및 Cdk6발현의 저해와 p21 및 p27과 같은 Cdk inhibitor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Sodium butyrate는 또한 retinoblastoma protein (pRB)및 p130 단백질의 인산화를 저해시켰으나, S기 진행에 중요한 전사조절인자인 E2F-1 및 E2F-4의 의 발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sodium butyrate에 의한 pRB 및 p130단백질의 인산화 저해는 pRB와 E2F-1및 p130과 E2F-4와의 결합력을 증사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U937세포의 증식억제에 pRB/p130 인산화 억제 및 Cdk inhibitors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sodium butyrate의 항암기전 이해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