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ropometric chang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Profile of Non-Communicable Disease Risk Factors Among Employees at a Saudi University

  • Amin, Tarek Tawfik;Al Sultan, Ali Ibrahim;Mostafa, Ola Abdelmoniem;Darwish, Amr Ahmed;Al-Naboli, Mohamed Rash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897-7907
    • /
    • 2014
  • Background: There is paucity of studies defining the prevalence of non-communicable disease (NCD) risk factors in Saudi Arabia despite the surging epidemic of obesity, change in dietary habits and sedentary lifestyle. Objectives: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NCDs risk factors among employees at King Faisal University in Al Hassa, Saudi Arabia and to determine the possible correlates for clustering of NCDs risk factors amo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Al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TEPwise approach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which consisted of a personal interview to collec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CD history, tobacco use, vegetables and fruit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PA), followed by anthropometric measurements namely weight,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s, subjects were finally subjected to biochemical tests with determin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s. Results: Of the surveyed employees (n=691), daily current smokers accounted for 22.7%. 94.9%, 95.1% and 86% consumed < 5 servings per day of vegetables, fruits and both fruits and vegetables respectively, 73% were physically inactive, 64% were overweight or obese, 22.1% had hypertension, and 21.5% were diabetics. Elevated cholesterol levels were found in 36.6%, low high density lipoproteins in 36.8%, and elevated triglycerides in 36.1%. Only 3% had no NCD risk factors, and 57.6% had ${\geq}3$ factor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gender (being male, adjusted odds ratio 'aOR'=1.51), aged ${\geq}50$ years (aOR=3.06), < college education (aOR=1.75), current smokers (aOR=2.37), being obese (aOR=6.96) and having a low PA level (aOR=4.59) were the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s for clustering of NCD risk factors. Conclusions: Over fifty percent of the studied university's employees had multiple (${\geq}3$) NCD risk factors. Screening and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should be launched at least targeting the modifiable factors to avert the excessive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mellitus and several types of cancers.

Individualized Medical Nutrition Therapy Improved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 Ryowon Choue;Yoo, So-Young;Lee, Tae-Wo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75-83
    • /
    • 2002
  • A case-controlled, 12 week follow-up,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ician-delivered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Subjects were recruited at Kyung-Hee Medical Center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 the control and the MNT group. The MNT group received individualized MNT for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s of the control (n = 20) and MNT (n = 24) groups were 50.6 $\pm$ 14.8 and 45.7 $\pm$ 14.0 years, and the mean durations of dialysis were 2.3 $\pm$ 2.3 and 1.7 $\pm$ 1.9 years, respectively. The interdialysis weight gain of the subjects was higher than that recommended. 2) The indicators of the subjects nutritional status showed that S to 25% of the subjects had some degree of malnutrition, with most of them in the mild malnutrition category. 3) After 12 weeks of the experiment, the percentage of the ideal body weight (% IBW)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ut that of the MNT group increased. Changes in other anthropometric parameters in both group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54% of the MNT group consumed more than 28 kcal/kg body weight/day and 50% consumed more than 1.0g protein/kg body weight/day. However, these percentages rose to 71% and 75%, respectively, after 12 weeks of the individualized MNT. 5) The serum albumin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rtier 12 weeks of the experiment, while those of the MNT group did not change. 6) After 12 weeks of individualized MNT, the mean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and total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QL) of the M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ulcorner control group. Body pain and social functioning scores of the M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effect of individualized MNT on the hemodialysis patients consisted of their improved nutritional status,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ividualized MNT continuously performed by a dietitian can be helpful for hemodialysis patients. However, larger and longer term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positive effects of MN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MNT is needed to increase the positive impact of MNT.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and Menopausal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 곽정현;김지영;김혜진;신동혁;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23-131
    • /
    • 2010
  •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군 전투조종사 비행복 착용특성 및 만족도 조사 (Research on Actual Usage and Satisfaction of ROKAF Fighter Pilot's Flight Duty Uniform)

  • 이아람;남윤자;홍유화;임소정;임채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69-68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fighter pilot's usage and satisfaction of a flight duty uniform (FD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s. FGI collected qualitative data about duty and requirements; sub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bout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with FDU. The results of the FGI and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ype of pilot du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light duty and ground du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uti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urvival when developing FDU.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and wearing size, the basic size for apparel gr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ctual size, 'M95XL' to 'M100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hole sizing system. Further studies about body form changes in pilot's m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mobility because the respondent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at several body parts in movement with the coverall uniform. Summer FDU ha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vent hole function and appearance. Furthermore, protection problems in the vent hole were also an issue. Making a seasonal classification of FDU fabric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vent hole to increase a pilot's thermal satisfaction. Respondents had a passive stance towards FDU reform (including pocket change); therefore, a new FDU design strategy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current FDU functions like mobility (or comfort) rather than dramatic changes. Pilots complained about the quality stability of FDU; therefore, quality control by military administration as well as concrete and clear design instructions by the developer should be attain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DU.

의복설계를 위한 MZ세대(2030대) 여성의 체형 변화 연구 - 제 7차, 제 8차 사이즈코리아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Body Shape of MZ Generation (2030s) Women for Cloth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7th and 8th Size Korea's Anthropometric Data -)

  • 김은경;김지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1-125
    • /
    • 2022
  • Recently, the MZ generation has been leading overall fashion trends, and fashion companies focus on design, marketing, and new product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a fit problem may occur if the M and Z generations are combined when producing cloth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comparing the body siz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M and Z gener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body shape of the MZ generation is different from the past generations and analyzes major changes in body size for clothing manufacturing through graphical visualiz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Generation M was defined as those who are 27-39 years old, and Generation Z was defined as those who are 20-26 years ol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body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year, the 7th Size Korea and 8th Size Korea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visual chang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year and age group, major measurements of clothing constru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eneration M had a significantly higher height item than Generation Z. Also, in terms of circumference, width, and thickness, Generation M was larger than Generation Z. But the size of the bra cup was larger in Generation Z than Generation 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dy size changes, in the height item, the 8th Size Korea measurem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shoulder height and navel level waist height. In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items, the 8th Size Korea measurements were larger than the 7th. In the width, thickness, and other items, the 8th measurements were larger than the 7th.

Study on the Changes in the Blood Lipid Profile Levels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hile Receiving Oriental Medicine Treatments for Various Diseases

  • Kim, Dong-Wo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2-519
    • /
    • 2009
  • Among patients who visited each clinical department for oriental medical treatm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nd blood lipid profile level were measured at their first initial visit. 55 subject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metabolic syndrome and 150 mg/dL or more of triglyceride were selected as subjects whose fasting blood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were measured after fasting. According to each patient's disease, the subject received treatments such as herb medicine, 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erapy from each clinical department, and after an average of 4.10${\pm}$0.31 weeks, another test was performed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Serum triglyceride was 243.72${\pm}$13.05 mg/dL b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188.11${\pm}$12.17 mg/dL after the treatment where although it continued to show an abnormal value even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Serum total cholesterol was 207.50${\pm}$5.89 mg/dL b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192.37${\pm}$5.53 mg/dL after the treatment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Serum HDL cholesterol was 51.19${\pm}$3.95 mg/dL b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increased to 52.53${\pm}$1.49 mg/dL after the treatment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Serum LDL cholesterol was 110.66${\pm}$5.86 mg/dL b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decreased to 106.12${\pm}$4.82 mg/dL after the treatment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In regards to the change of triglyceride for each sex, it was 221.84${\pm}$14.01 mg/dL before the treatment and 187.00${\pm}$15.47 mg/dL after the treatment for men, and it was 271.50${\pm}$22.78 mg/dL and 189.53${\pm}$19.76 mg/dL respectively for women where even though men and women showed the decrease of 34.84${\pm}$12.79 mg/dL and 81.96${\pm}$20.01 mg/dL respectively, both men and women continue to show abnormal values after the treatments.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In regards to the change of total cholesterol for each sex, with 198.24${\pm}$7.60 mg/dL for men before the treatment and 188.93${\pm}$7.45 mg/dL after the treatment, values for both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where the change value was 9.30${\pm}$5.86 mg/dL a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For women, it was 219.26${\pm}$8.87 mg/dL and 196.73${\pm}$8.43 mg/dL respectively for women where with 22.53${\pm}$7.60 mg/dL, it decreased to the normal level after the treatmen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pre treatment(P<0.05). With such results, ser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of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metabolic syndrome were observed to decrease after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Especially, for both men and women, abnormally high triglyceride level decreased while the effect of lipid profile improvement for women was more significant compared to men.

폐결핵 환자의 입원기간동안 영양상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유현재;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7호
    • /
    • pp.615-621
    • /
    • 2009
  • 본 연구는 폐결핵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기간 동안의 영양상태 변화를 평가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7.3세였으며, 폐결핵 유병기간은 평균 11.2개월로 대상자의 58.5%가 유병기간 3개월 이하의 초기발병환자였고, 대상의 73.1%가 처음 입원한 환자였다. 입원기간은 평균 112.4일로 약 4개월 정도의 입원치료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입원 시점의 영양 상태는 평균 신장 168.9 cm, 체중 52.6 kg으로 한국인 성인남성의 표준 키, 체중과 비교하여 키는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성인 남성 표준치의 약 76%에 불과하였으며, 체질량지수 역시 평균 18.4 kg/$m^2$로 전체 대상의 53.8%가 저체중 상태였다. 생화학적 지표로 혈중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은 각각 12.3 g/dL, 35.4%로 정상 수치보다 낮았고, 혈청알부민 수치는 3.5 g/dL로 경계치 수준이었으며, 총 단백질 수치는 7.2 g/dL로 정상범위였다. 3) 평균 체중은 입원 시 52.6 kg에서 입원 3개월 후 56.5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체질량지수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01). 혈중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알부민, 총 단백질의 수치 역시 모두 입원 시점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p < 0.001)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4) 입원기간 중 체중 및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량을 각 요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량은 감소하여, 특히 60세 이상 연령의 환자들의 증가량은 29세 이하와 30대 환자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고, 입원 시의 체질량지수가 18.5 kg/$m^2$ 미만인 저체중그룹의 증가량이 정상체중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입원기간 동안 식이섭취 정도가 보통 또는 양호한 그룹에서의 증가량이 섭취불량 환자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5) 연령이 낮은 그룹에서는 식사섭취가 양호한 환자의 비율이 높았고, 연령이 높은 그룹에서는 식사섭취가 불량한 환자의 비율이 높아 저 연령의 환자일수록 제공식사 섭취량이 높았다. 입원기간 동안의 식사섭취가 불량한 그룹은 식사섭취가 보통이거나 양호한 그룹과 비교하여 평균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유병기간은 짧았으며 입원기간이 긴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폐결핵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의 입원시점의 영양 상태는 일반적으로 취약한 상태로 영양적 중재가 필요하며, 입원기간 동안의 영양상태의 변화는 환자의 연령과, 입원시점의 체질량지수, 입원기간 동안의 식이섭취 등과 관련이 있었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영양섭취 및 혈당에 웹기반 영양상담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Nutrient Intake and Blood Glucose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 박선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98-1406
    • /
    • 2005
  • 웹기반 영양상담 프로그램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영양상담 프로그램에 환자들의 추후관리를 위해 추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삽입하였다. 개발된 추후관리 프로그램은 혈당수첩, 식품섭취빈도 조사, 식습관 평가 및 대화방으로 구성되었다. 8주간의 인터넷을 이용한 영양상담 후 체질량지수는 비합병증군과 합병증군 모두에서 약간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상담 후 공복혈당은 비합병증군(p<0.05)과 합병증군(p<0.01)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당화혈색소는 비합병증군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는데 반하여 합병증군(p<0.01)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 지질은 비 합병증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영양상담후 감소하여 유의(p<0.05)한 차이를 보인 반면에 HDL-콜레스테롤은 약간 증가하고, 중성지방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합병증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 지방은 영양상담 후 각각 유의 (p<0.05)하게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영양소 섭취의 변화는 두 군 모두에서 영양상담 후 열량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당질 및 지방의 섭취수준은 감소한 반면에 단백질의 섭취는 증가하여 환자들의 열량영양소의 섭취비가 권장되는 비율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0 kcal 당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여 보면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C, 엽산, 칼슘, 아연의 섭취량은 영양상담 후 오히려 높아져 영양상담 후 두 군 모두에서 환자들은 열량은 낮으면서 영양소 밀도가 높은 식품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웹기반을 이용한 영양상담이 당뇨병 환자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개선하고 혈당 및 혈청지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정보화 시대에 맞는 새로운 상담매체로서의 인터넷의 가능성과 영양상담의 추후관리를 위한 대안이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상자의 연령이나 학력 등에 따라 웹기반 영양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기에, 이러한 개인별 차이점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상담 프로그램의 형태로 좀 더 다양화된 상담 프로그램 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양상담 기간이 8주간의 단기였기에 그 효과를 나타내는데 미흡한 점이 있었으므로 추후 장기간의 영양상담에 따른 추가 연구도 필요할 것 같다.

APo E3 Genotype 고지혈증 환자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의학영양치료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Plasma Lipid Levels of Apo E3 genotype hyperlipidemic Pati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 문보경;조미란;이혜옥;송일병;조여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0-71
    • /
    • 2003
  • 본 연구는 고지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apo 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사상체질의 분포양상을 살펴보고 apo E3 타입 고지혈증 환자에서 사상체질에 따른 의학영양 치료가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고지혈증 환자 33명으로 남자의 평균 연령은 $47.8{\pm}6.2$세였고, 여자의 평균 연령은 $50.5{\pm}5.7$세였다. apo E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apo E2는 6.1%(2명), apo E3는 78.8%(26명), apo E4는 15.2%(5명)였고, 사상체질의 분포는 태양인이 0%(0명), 태음인이 60.6%(20명), 소양인이 21.2%(7명), 소음인이 18.2%(6명)였다. (2) 신체 계측 결과는 apo E3 타입 고지혈증 환자 중 남자의 경우는 신장, 체중, 체지방, 제지방, TBW,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율 모두에서 MNT 실시 전과 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는 소양인에서 체중, BMI가 MNT 전과 비교하여 후에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고, 태음인과 소음인에서는 MNT 실시 전과 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영양소 섭취 상태는 남자의 경우 태음인에서 총열량, 지방,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섬유소,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소양인에서는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으며, 소음인에서는 인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자의 경우 태음인에서 칼슘, 인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소양인과 소음인에서는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다. MNT 실시 전과 후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총열량의 섭취량이 처방열량에 적절하게 개선되었고, MNT 후에 태음인에서는 칼슘, 철분, 비타민 A의 섭취가 개선되었으며, 소음인에서는 단백질, 비타민 A의 섭취가 개선되었다. 식사 전반의 질은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모두에서 잘 유지되었으나 식품 섭취 패턴을 조사한 결과는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 단음식, 튀긴 음식의 섭취 빈도에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는 태음인에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소양이네서 HDL-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음인에서는 혈중 지질 농도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 PDF

강화지역 청소년의 4년간 혈청 지질의 변화와 지속성 (Four-year change and track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 이강희;서일;지선하;남정모;김성순;심원흠;하종원;김석일;강형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45-59
    • /
    • 1997
  • 소아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혈청 지질의 지속성(tracking)은 서구에서 행해진 연구들에 의해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혈청 지질치의 변화를 조사하고 지속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화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강화 아동 혈압 코호트(719명)의 청소년들로 12세, 14세, 16세 세 번에 걸쳐서 공복 후 혈액검사(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을 포함)와 신체계측을 시행하였다. 이 중 3번의 혈액 검사에서 10시간 이상의 공복이 확인된 청소년 309명 (남자 162명, 여자 14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청소년들과 연구대상에서 제외한 청소년들의 12세때 초기 검사치들을 t 검정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방법은 우선 혈청 지질치의 변화양상을 보기 위하여 각 검사 년도간에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혈청지질의 지속성을 보기 위해서는 첫께, 초기값을 바탕으로 사분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사분위 집단의 혈청지질치가 매 검사 연도마다 어떻게 변하는 지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혈청지질치의 검사 시기사이의 스피어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검사 년도의 혈청지질치를 사분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초기검사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4년간 세 번의 검사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초기검사에서 $160.7{\pm}25.3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50.0{\pm}27.8mg/dl$, 여자가 초기검사에서 $168.8{\pm}29.7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68.8{\pm}29.7mg/dl$, 중성지방은 남자가 $98.0{\pm}45.7mg/dl$에서, $114.1{\pm}67.9/mg/dl$로, 여자가 $109.9\geq37.1mg/dl$에서, $104.9{\pm}47.6mg/dl$로, L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93.6{\pm}21.2mg/dl$에서, $83.0{\pm}25.0mg/dl$로 여자가 $83.0{\pm}25.0mg/dl$에서, $94.7{\pm}24.4mg/dl$로, H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47.6{\pm}9.1mg/dl$에서, $44.2{\pm}9.4mg/dl$로, 여자가 $48.8{\pm}10.0mg/dl$에서, $47.8{\pm}11.3mg/dl$ 변화하였다. 반복 측정한 분산분석 결과 남녀 모두 4년 동안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남자 LDL 콜레스테롤은 두 번의 추적검사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은 남자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연령에서 남녀간의 각 혈청지질치를 비교해보면 중성지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더 컸다. 혈청 지질의 초기 검사와 최종 검사간의 스피어맨 상관분석과 각 혈청 지질치의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집단에 잔류하는 백분율을 보면 지속성이 존재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에서 각 시기의 검사치들의 상관계수는 남자가 0.6 이상, 여자가 약 0.7 이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첫 번께 검사에서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사람 중 두 번째 검사에서도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42.9%)을 제외하고는 모두 50%이상이었다. 이들이 세 번째 검사에서도 같은 사분위 집단에 잔류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25.7%)을 제외하고 모두 35%이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의 혈청 지질치는 지속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4년 동안의 변화이고 성인까지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