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r-year change and track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강화지역 청소년의 4년간 혈청 지질의 변화와 지속성

  • Lee, Kang-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Suh, I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Jee, Sun-Ha (Department of Epidemi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
  • Nam, Chung-M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Kim, Su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Shim, Won-He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Ha, Jo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Kim, Suk-I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Kang, Hyung-G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이강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지선하 (존스홉킨스 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과) ;
  • 남정모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성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원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하종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석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형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there is a tracking phenomenon in the level of serum lipids. However, no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 and track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from 12 to 16 years of age,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tracking phenomenon in serum lipids level during the period. In 1992 serum lipids(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LDL cholesterol(LDL-C), HDL cholesterol(HDL-C)) were measured in 318 males, 365 females who were 12 years of age in Kangwha county, Korea. These participants have been followed up to 1996 and serum lipids level were examined in 1994 and 1996. Among the participants 162 males and 147 females completed all three examinations in fasting state. To examine the effect of eliminating adolescents with incomplete data, we compared serum lipids, blood pressure and anthropometric measures at baseline between adolescents with complete follow-up and adolescents who were withdrawn. To examine the change of serum lipids we compared mean values of serum lipids according to age in males and females.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test the change according to age. We used three method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tracking. First, we analyzed the trends in serum lipids over 4-year period within quartile groups formed on the basis of the first-year serum lipids level to see whether or not the relative ranking of the mean serum lipids among the quartile groups remained in the same group for 4-year period. Second, we quantified the degree of tracking by calculat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very tests. Third, the persistence extreme quartile method was used. This method divides the population into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the initial level of blood lipids and then calculates the percent of the subjects who stayed in the same group at follow-up measurement. The decreases in levels were noted during 4 years for TC, LDL-C, primarily for boys. The level of HDL-C decreased between baseline and first follow-up for both sexes. Tracking, as measured by bot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ersistence extreme quartiles, was evident for all of the lipi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C between baseline and 4 years later in boys and girls were 0.55 and 0.68,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HDL-C were 0.58 and 0.69. More than 50% of adolescents who belonged to the highest quartile group in TC, HDL-C and LDL-C at the baseline were remained at the same group at the examination performed 2 years later for both sexes. The probabilities of remaining at the same group were more than 35% when examined 4 years later. The tracking phenomenon of TG was less evident compared with the other lipids. Percents of girls who stayed at the same group 2 years later and 4 years later were 42.9% and 25.7%, respectively. It was evident that serum lipid levels tracked in Korean adolescents. Researches with longer follow-up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 of lipids from adolescents to adults.

소아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혈청 지질의 지속성(tracking)은 서구에서 행해진 연구들에 의해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혈청 지질치의 변화를 조사하고 지속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화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강화 아동 혈압 코호트(719명)의 청소년들로 12세, 14세, 16세 세 번에 걸쳐서 공복 후 혈액검사(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을 포함)와 신체계측을 시행하였다. 이 중 3번의 혈액 검사에서 10시간 이상의 공복이 확인된 청소년 309명 (남자 162명, 여자 14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청소년들과 연구대상에서 제외한 청소년들의 12세때 초기 검사치들을 t 검정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방법은 우선 혈청 지질치의 변화양상을 보기 위하여 각 검사 년도간에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혈청지질의 지속성을 보기 위해서는 첫께, 초기값을 바탕으로 사분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사분위 집단의 혈청지질치가 매 검사 연도마다 어떻게 변하는 지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혈청지질치의 검사 시기사이의 스피어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검사 년도의 혈청지질치를 사분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초기검사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4년간 세 번의 검사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초기검사에서 $160.7{\pm}25.3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50.0{\pm}27.8mg/dl$, 여자가 초기검사에서 $168.8{\pm}29.7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68.8{\pm}29.7mg/dl$, 중성지방은 남자가 $98.0{\pm}45.7mg/dl$에서, $114.1{\pm}67.9/mg/dl$로, 여자가 $109.9\geq37.1mg/dl$에서, $104.9{\pm}47.6mg/dl$로, L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93.6{\pm}21.2mg/dl$에서, $83.0{\pm}25.0mg/dl$로 여자가 $83.0{\pm}25.0mg/dl$에서, $94.7{\pm}24.4mg/dl$로, H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47.6{\pm}9.1mg/dl$에서, $44.2{\pm}9.4mg/dl$로, 여자가 $48.8{\pm}10.0mg/dl$에서, $47.8{\pm}11.3mg/dl$ 변화하였다. 반복 측정한 분산분석 결과 남녀 모두 4년 동안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남자 LDL 콜레스테롤은 두 번의 추적검사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은 남자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연령에서 남녀간의 각 혈청지질치를 비교해보면 중성지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더 컸다. 혈청 지질의 초기 검사와 최종 검사간의 스피어맨 상관분석과 각 혈청 지질치의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집단에 잔류하는 백분율을 보면 지속성이 존재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에서 각 시기의 검사치들의 상관계수는 남자가 0.6 이상, 여자가 약 0.7 이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첫 번께 검사에서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사람 중 두 번째 검사에서도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42.9%)을 제외하고는 모두 50%이상이었다. 이들이 세 번째 검사에서도 같은 사분위 집단에 잔류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25.7%)을 제외하고 모두 35%이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의 혈청 지질치는 지속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4년 동안의 변화이고 성인까지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