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ocyanin content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3초

Anthocyanin Stability and Silage Fermentation Quality of Colored Barley

  • Song, Tae Hwa;Han, Ouk kyu;Park, Tae Il;Kim, Dae Wook;Yoon, Chang;Kim, Kee Jong;Park, Ki H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5-34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anthocyanin content in whole crop colored barley silage during storage periods and anthocyanin stability in in vitro ruminal fluid. Silages of colored barley cultivar "Boanchalbori" and normal barley cultivar "Yuyeonbori" were stored during 0, 2, 4, 6, and 12 months. The in vitro ruminal fluid was fermented for 0, 6, 12, 24, and 48 hrs. For the feed value, crude protein of colored barley silage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silage compared to that of normal barley silage, and being increased up to 2 months after ensiling and thereafter maintained at the similar level.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s of both the barley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olonged storage of 2 months (p<0.05), but they were maintained at the constant level after 2 months of storing silage. Whereas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contents of them were decreased by the prolonged storage of 2 months (p<0.05), then maintained at the constant levels.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pH values in both the barley silages were slightly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time. Lactic acid and acet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during prolonged storage period,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Butyric acid was not detected. In the colored barley silage, pH value showed sligh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barley silage but not significant, and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barley silage (p<0.05).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the whole crop colored barley silage decreased to 42% after 2 months of ensilage, however maintained at the constant level until 12 months of ensilage. In the case of anthocyanin stability on in vitro ruminal fluid digestion, the pH value of the ruminal fluid was slightly lower at 6, 12, 24, 48h incubation time and the content of anthocyanin was at similar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lored barley showed higher fermentation quality,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maintained stable at 42% level of the first value in storing silage. As the anthocyanin had higher stability in the ruminal fluid, the colored barley has a potential as functional feeds for Ruminants.

제주산 자색고구마의 분자압축탈수 중 말토덱스트린 Dextrose Equivalent의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the Dextrose Equivalent of Maltodextr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Purpl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during Molecular Press Dehydration)

  • 조만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44-750
    • /
    • 2015
  • Purple sweet potatoes were dehydrated with maltodextrin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DE) values of 4-7, 13-17, 16.5-19.5, and 17-20. Maltodextrin was used as a molecular press dehydrating agent. The molecular dehydration rate of the purple sweet potatoes increased over time. As the DE of maltodextrin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after 12 h of dehydration decreased from 65.7% to 40.8, 36.1, 34.9, and 28.6% for DE values of 4-7, 13-17, 16.5-17.5, and 17-20, respectively. Additionally, total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ecreased as the DE value of maltodextrin increased. While maltodextrins with DE values of 16.5-19.5 and 17-20 effectively dehydrated the purple sweet potatoes, total phenolic, anthocyani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lowered during dehydra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rrelated to bo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r^2=0.96$) and anthocyanin contents ($r^2=0.95$) of the purple sweet potato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urple sweet potatoes were effectively dehydrated with maltodextrin whose DE values ranged 16.5-20, although there were losses in the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s.

컬러감자 안토시아닌 색소발현에 관여하는 재배환경 조건 (Growing Environment Influence the Anthocyanin Content in Purple- and Red-Fleshed Potatoes During Tuber Development)

  • 정진철;김수정;홍수영;남정환;손황배;김율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31-238
    • /
    • 2015
  • 본 시험은 컬러감자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컬러감자 '홍영'과 '자영'을 전국 감자 주요 재배지역 14곳에 파종한 후 각 지역의 토양 화학성과 기상환경 조건을 분석하였고, 각 지역에서 생산된 감자 괴경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된 안토시아닌 함량과 토양 및 기상환경과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품종 간 비교에서는 시험이 수행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자주색 '자영'이 붉은색 '홍영'보다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랭지, 준고랭지 및 평난지로 구분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생산된 컬러감자의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았다. 수확된 컬러감자 괴경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토양의 화학적 성분과의 상관분석에서는 유일하게 토양산도와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안토시아닌 함량과 기상환경 조건들과의 상관분석에서는 파종후 80~100일 사이의 평균온도 및 최저온도와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계수를 보였다. 즉, 이 시기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컬러감자 괴경이 생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품질의 컬러감자를 생산하기 위한 적지선정이 필요한 생산자와 산업체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머루(Vitis amurnesis Ruprecht) Anthocya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머루 Anthocyanin의 분리(分離) 및 정량(定量) -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 (Part 1)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

  • 황인경;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183-187
    • /
    • 1975
  • 우리나라 산간지방(山間地方)에 야생(野生)하는 머루 중(中)의 총(總) anthocyanin의 함량(含量)과 개별(個別) anthocyanin의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하였다. 머루로 부터 색소(色素)를 0.1% HCl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파장(波長) 538nm $({\lambda}max.)$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을 구(求)하였다. 추출액중(抽出液中)의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은 paper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하고 0.1% HCl methanol로 용출(溶出)하였다. 분리(分離)된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용액(溶液)을 各己의 흡수극대(吸收極大) 파장(波長)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조성비(組成比)를 구(求)하였다. 머루 중의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은 신선물(新鮮物)의 g 당(當) 3.95mg이였다.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은 다음과 같다. delphinidin-3-monoglucoside 12.5%, petunidin-3-monoglucoside 3.5%, cyanidin-3-monoglucoside 2.1%, delphinidin-3,5-diglucoside 10.1%, malvidin-3-monoglucoside 4.3%, petunidin-3,5-diglucoside 8.3%, cyanidin-3,5-diglucoside like 4.1%, malvidin-3,5-diglucoside 55.1%. 머루 중의 주(主) 색소(色素)는 malvidin-3,5-diglucoside이였다.

  • PDF

냉동 블루베리 분말과 검정콩 안토시아닌 혼합 파운드 케이크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by using Frozen Blueberry Powder & Anthocyanin extracted from Black Beans)

  • 이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72-782
    • /
    • 2013
  • A study i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dditional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to quality attributes of pound cakes.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are being added to the flour at a ratio of 0.5, 1.5, 2.5, and 3.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of pound cakes, respectively (r=0.8423, p<0.001 r=0.9449, p<0.00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volum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substitution levels of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p<0.01). The l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of pound cakes' crusts and crumbs (p<0.01).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tend to reduce, while the cohesiveness increase in both powders.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0.5~3.5% of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black beans pound cakes ranked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according to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s. These results show that frozen blueberry powder and anthocyanin powder extracted from the black beans are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overall healthy.

오디에서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가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의 안전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 in Mulberry Fruits)

  • 방인수;유창연;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1-200
    • /
    • 2010
  • Anthocyanin and poly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fruits of mulberry (Morus alba L.) we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the anthocyanin-copigment complex were investigated. The copigmentation substance selected in non-anthocyanin fraction from mulberry for the study included: phenolic acid (hydroxybenzoic acid) and flavonoid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The copigmentation effect increased with the copigment content. UV irradiation had a stronger degradation effect on the copigmentation complex than heating at $80^{\circ}C$. The non-anthocyanin fraction of mulberry and isolated flavonoid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from mulberry fruit predominated over other copigment substances.

재배지역에 따른 검정콩 항산화 성분의 함량변이 (Variation in Antioxidant Components of Black Soybean as Affected by Variety and Cultivation Region)

  • 이은섭;이용선;윤성탁;이혁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0-87
    • /
    • 2009
  •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리활성성분(isoflavone, anthocyanin 및 tocopherol 함량, 항산화 활성)변이를 구명하여,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품종선발과 생리활성성분 축적에 유리한 재배지역을 발굴하여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립중은 품종간에는 차이 없었으나, 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현저하게 가벼웠다. 총 isoflavone 함량은 2004년에는 일품검정콩이 $1,064.9{\mu}g/g$으로 청자콩의 $801.3{\mu}g/g$에 비해 높았으나, 2005년에는 오히려 일품검정콩에 비해 청자콩이 높았다. 재배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두 품종 모두 화성지역에서 뚜렷하게 높았으나, 2005년에는 진주지역이 화성이나 나주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총 anthocyanin 함량은 품종 간에는 일품검정콩이 7.22 mg/g으로 청자콩의 6.83 mg/g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지역간에는 진주지역에서 9.16 mg/g으로 나주, 화성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품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간에는 화성, 진주지역이 각각 $217.2{\mu}g/g$, $216.3{\mu}g/g$으로 나주지역 $189.7{\mu}g/g$에 비해 높았다. tocopherol 성분비율은 $\gamma$-tocopherol이 $56.2{\sim}59.9%$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간에는 일품검정콩이 청자콩보다, 지역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EDA 값이 55.6%로 가장 높았다.

Vitis Hybrid 세포배양에 의한 Anthocyanin의 생산 (Production of Anthocyanins by Vitis Hybrid Cell Culture)

  • 박형환;강신권;이재호;최장윤;이윤수;권익부;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7-262
    • /
    • 1989
  • 착색용 포도품종(Vitis hybrid)의 조직으로부터 callus를 유도하고 액체 진탕배양을 행하여 세포 생육 및 anthocyanin의 생성에 미치는 각종 인자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광조사량 및 무기질소원 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조사량이 10,000lux 였을 때는 암소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anthocyanin 생성량은 약 2배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MS 배지의 무기질소원 농도를 20배로 감소시켜 배양했을 때 전체 anthocyanin 생성량은 약 5-6배, 건조 중량당 함량은 약 16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기질소원으로 nitrate만을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고농도의 Co$^{2+}$, Fe$^{2+}$와 Miller 배지, Gamborg 배지 등이 anthocyanin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S medium 및 modified MS medium을 이용한 2단계 배양을 시도하여 약 40mg/flask의 높은 anthocyanin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저온 저장 후지 사과의 과피와 과육 중 파이토케미컬 함량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phytochemical contents in peel and flesh of cold-stored Fuji apple)

  • 김장수;강상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125
    • /
    • 2024
  • 사과 과피의 total anthocyanin의 함량과 과육 중 총폴리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total proanthocyanidin 함량, 당도 등의 함량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과피의 total anthocyanin의 함량은 0.130±0.005 mg CE/g fw에서 0.262±0.028 mg CE/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평균 0.200±0.008 mg CE/g fw를 나타내었다. 사과 과육 중 총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4.283±0.141 mM GAE/g fw에서 8.207±0.234 mM GAE/g fw까지 함유되어 있었으며 평균 함량은 6.275±0.177 mM GAE/g fw 정도였다. 총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평균 함량은 3.586 mM QE/g fw 정도이며, 2.467±0.458 mM QE/g fw에서 4.510±0.080 mM QE/g fw 범위에 있었다. 과육 중 total proanthocyanidin의 함량은 3.475±0.577 mM EE/g fw에서 6.816±0.277 mM EE/g fw 정도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으며, 과육의 당도는 대부분 12 °Brix에서 14 °Brix 정도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개개의 사과 시료에서 66.36%에서 94.99%까지로 비교적 편차가 크며, ascorbate 상당량 0.482 mM에 해당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는 99.12%에서 99.9%까지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DPPH 라디칼 소거능보다 비교적 더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corbate 상당량은 0.486 mM였다. total anthocyanin과 총폴리페놀 화합물과의 상관관계는 y = 15.192x + 3.2169(R2=0.2748), 총플라보노이드와의 상관관계는 y = 15.18x + 0.555(R2=0.6226), total proanthocyanidin과의 상관관계는 y = 14.918x + 2.3422(R2=0.3372), 당도와의 상관관계는 y = 10.558x + 11.126(R2=0.1925)로 나타났으며, 이중 total anthocyanin과 총플라보노이드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당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무딸기 Anthocyanin 색소(色素)에 미치는 당류(糖類)의 영향 (Effect of Saccharides on Anthocyanin Pigments from Raspberries)

  • 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25
    • /
    • 1982
  • 나무딸기 과즙색소에 대한 당류의 안정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즙의 당도, pH,적정산도는 저온구, 냉동구에서 80일간 저장 기간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색소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과즙의 색조(色調)와 색소액(色素液)의 저장중 변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劣化)되었으며 색소액의 변화는 색조보다 적었다. 3. 당류 첨가에 의한 색소액의 농색화 효과는 육탄당(六炭糖)이 가장 좋았으며 이 중에서도 D-galactose가 우수하였다. 그 다음 이당류(二糖類)였고 오히러 색소를 파괴시키는 것은 D-xylose와 L-rhamnose 였다. 4. 당 첨가에 의해 농색화된 색소액은 저장중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저온구$(5^{\circ}C)$에서 거의 안정하게 보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