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Cultur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8초

고추의 소포자 배양 시 전처리 후 배지의 교환, 배지의 첨가 및 2층배양 시 하층고체 배지의 양이 배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um change after pretreating microspores, medium addition, and volume of under solid medium in double layer culture on the production of embryos in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박은준;이종숙;안동주;김문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94-5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소포자 배양 시 전처리 후 배지의 교환 여부, 배양 후 새 배지의 첨가 및 2층배지 사용시 하층고체배지의 양이 배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온 전처리 후 배양배지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것보다 사용한 전처리 배지를 새 배양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 하는 것이 배의 생산에 효과적 이었으며, 고온전처리 기간은 1일이나 2일에 비해 3일이 효과적 이었다. 배양 후 새 배지의 첨가는 약전처리 시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소포자 전처리 시에는 배의 유기와 발달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새 배지의 첨가 시기는 배양 4일 후가, 첨가 횟수는 1회가 배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2층배지 사용 시 첨가하는 새 배지의 양은 1.5 ml이 효과적이었으며 이보다 많은 양을 첨가하는 경우 배의 발생과 발달 모두 저하되었다. 액체배지 사용 시에 비해 2층배지 사용 시 배의 발달이 좋았다. 또 2층배지 사용 시 하층고체배지의 양이 3 ml 일 때 보다는 5 ml이나 7 ml일 때 배의 발생은 감소하였으나 배의 질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고추에서 다수의 정상자엽배를 생산 할 수 있는 소포자 배양시스템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벼의 원형질체 배양과 식물체 재분화 (Protoplast Culture and Plant Regeneration of Rice)

  • 이성호;이수인;김주현;코킹 에드워드 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6-316
    • /
    • 1997
  • 약배양을 통해 유도된 벼의 품종 Zhonghua 8의 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를 유기한 캘러스로부터 현탁배양을 실시하였다. 원형질체 분리 는 이러한 현탁배양된 캘러스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오래되고 미세한 현탁배양세포를 사용했을 때 어린 현탁배양세포보다 원형질체 나출율이 증가되었다. 원형질체는 feeder cell 없이 agarose embedding 방법에 의해 0.5 mg $l^{01}$ 2,4-D, 1.0mg $l^{-1}$ NAA와 0.5 mg $l^{-1}$zeatin이 첨가된 KPR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분열이 일어났으며 microcalli가 형성되었다. 원형질체의 plating 효율은 0.20~0.54% 범위로 나타났으며, 원형질체로부터 유도된 microcalli는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 2.0 mg $l^{-1}$ kinetin과 0.5 mg $l^{-1}$ NAA가 첨가된 MS 배지에 옮겨 주었다 실물체 재분화 빈도는 현탁배양의 line에 따라 2~l2%였다.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온실에서 종자를 맺었다었다

  • PDF

솔나리의 인편 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 효과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lblets Regeneration of Liliem cernum K.)

  • 서진나;김혜영;이수광;강호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6호
    • /
    • pp.29-33
    • /
    • 2009
  • 솔나리의 무병균주 획득과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인편의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인편은 캘러스가 유기된 2주 후 분화가 관찰되었고, 배양 4주 후에는 잎, 뿌리, 소인편이 생성되었다. TDZ 0.1 mg/L + NAA 0.01 mg/L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잎의 분화율이 87.5%로 가장 높았으며, 뿌리 분화율은 BA 0.2 mg/L 첨가구가 81.8%로 가장 높은 분화율을 보였다. 캘러스 형성률은 TDZ를 포함한 배지에서 형성 되었다. 한 인편당 생성된 잎과 인편의 수는 TDZ 0.1 mg/L가 5.7개로 가장 많은 수가 분화 되었으며 식물체의 전체 길이와 잎 길이 그리고 뿌리 길이는 Zeatin 1.0 mg/L + NAA 0.1 mg/L가 10.5 cm로 가장 길었고, 인편의 길이는 TDZ 0.1 mg/L 처리구에서 1.4 cm로 가장 길었다.

고추의 나출 소포자 배양시 전처리 기간, 2-Hydroxynicotinic Acid 및 약-공동전처리가 소포자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treatment Period, 2-Hydroxynicotinic Acid and Anther Co-pretreatment on Embryo Induction in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Capsicum annuum L.)

  • 박은준;김진애;이종숙;장인창;윤미정;정상호;김문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37-44
    • /
    • 2005
  • 고추의 나출 소포자로부터 배를 유기하는데 최적인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micro-blender를 사용하여 소포자들을 나출한 후 NLN 배지에 배양하였으며 $32^{\circ}C$의 고온처리 기간, 전처리 배지내 2-hydroxynicotinic acid의 첨가, 그리고 약과 소포자의 공동전처리가 소포자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출 소포자들을 기아배지에서 고온처리 한 후 NLN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다수의 배가 발생하였다. 배양 3주 후부터 구형 및 어뢰형배가 관찰되었는데 이때 배의 발생은 비동조적으로 일어났다. 배양4주가 되면 구형과 어뢰형배 이외에 자엽배들이 발생하였다. 발생한 배들 중자엽배늘은 $2\%$ sucrose가 첨가되고 생장조절물질은 첨가되지 않은 B5 고체배지로 옮겼을 때 정상인 유식물들로 발달하였다. 고온처리 기간이 $1\~2$일로 짧은 경우 소포자배의 발생은 높았으나 대부분이 발달초기의 구형 또는 심장형배이었으며 자엽배의 발생은 매우 드물었다. 고온처리 3일 이상에서는 배의 발생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자엽배가 다수 발생하였다. Inducer chemical로 알려진 2-hydroxynicotinic acid를 약전처리배지에 첨가하였을 때 배의 발생은 다소 높았으나 발달은 오히려 억제되어 대부분이 구형 또는 심장형이었다. 소포자 전처리시 약을 첨가한 경우 배의 발생이나 발달 모두 억제되었다. 본 연구결과 고추의 나출 소포자로부터 다수의 배를 획득하였고 식물체를 재분화 시키는데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이와 같은 소포자 배양시스템은 앞으로 더 많은 배를 생산할 수 있는 배양조건이 확립되어야 하지만 homozygous한 배가 반수체의 생산 뿐만아니라 형질 전환과 열성 또는 우성의 돌연변이체 선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해 $ 0.27\~0.79\;\cal{mg/g}$ F.W.가 높았으며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광도의 증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높은 광도에서 감소하였다. 환기횟수 $4.9 h^{-1}$$0.1 h^{-1}$에 비해 잎의 공변세포가 크고 주변 부세포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특히 PPF $99\;{\mu}mol\;m^{-2}s^{-1}$에서 환기횟수 $0.1 h^{-1}$는 부세포의 발달이 미흡하고 기공이 많이 열려 있는 상태인 반면 환기횟수 $4.9 h^{-1}$는 부세포가 잘 발달된 잎을 지니고 있었다.:PR30, KB50:PR50, PR100:KB0 처리구의 $1m^2$ 당 개체 수는 각각 16,600개, 6,700개, 4,900개, 3,300개, 12,400개였으며 총직립경 수는 각각 33,200개, 22,800개, 18,000개, 15,000개, 62,000개였다. 개체 수는 KB100:PR0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PR100:KB0처리구였으며 혼합처리구의 경우는 Kentucky bluegrass 혼합비 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총직립경 수는 PR100:KB0 처리구가 KB100:PR0 처리구보다 오히려 높았으며 혼합 처리구의 경우는 개체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합처리구의 경우 초종별 개체수의 비율은 KB80:PR20는 87:13, KB70:PR30는 78:22, KB50:PR50은 48:52의 비율로 나타났다. 조성시기의 기상과 피복율과의 상관관계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의 일일평균기온을 비교하여 보면 가을(9월, 10월, 11월) 3개월간의 일일평균기온은

벼 약(葯)으로부터 callus 형성(形成)과 분화(分化)에 대(對)하여 (Callus Induction and Differentiation from Rice (Oryza Sativa L.) Anthers)

  • 김달웅;배민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9
    • /
    • 1983
  • 벼 약(葯) 배양(培養)에 있어서 이삭내(內), 이삭당(當) callus의 형성량(形成量)의 차이(差異)와 형성(形成)된 callus의 처리과정(處理過程)의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한 callus 형성량(形成量)의 증가(增加)와, 분화(分化)에서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의 행장(生長)에는 고체배지(固體培地)가 액체배지(液體培地)보다 양호(良好)하였고, 특히 N-6배지(培地)가 19.8배(陪)의 생장율(生長率)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분화(分化)에서도 역시 N-6배지(培地)가 뿌리에서 37.50%의 분화율(分化率)로 가장 높았으며, P. E 배지(培地)는 callus생장(生長)에는 M-S배지(培地)보다 불량(不良)하였으나 분화율(分化率)은 5% 높았다. 한 이삭내(內)에서는 극히 제한(制限)된 수(數)의 약(葯)에서만 callus가 형성(形成)되었으나 그 분포(分布)는 넓은 편이었다.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 형성량(形成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특히 $7{\sim}8^{\circ}C$에 5일간(日開) 처리(處理)한것은 처리(處理)하지 않은것보다 38%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의 형성시기(形成時期)가 빨라지며 형성기간(形成期間)의 폭(幅)도 넓어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약(葯)에서 형성(形成)된 callus는 빨리 분화배지(分化培地)에 이식(移植)하는 것이 분화율(分化率)이 높으며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할수록 분화율(分化率)이 감소(減少)하였다. 고농도(高濃度)의 2, 4-D는 Callus의 생장과정(生長過程)에서 분화능력(分化能力)을 유지(維持)시켜 주는것으로 추정(推定)되며 분화중(分化中)의 callus는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뿌리에는 급격(急激)한 분화율(分化率)의 감소(減少)를 야기(惹起)시키나 줄기에는 $15{\sim}18^{\circ}C$에 5일간(日間) 처리(處理)한 것이 유효(有效)하였다.

  • PDF

Mapping of grain alkali digestion trait using a Cheongcheong/Nagdong doubled haploid population in rice

  • Kim, Hak Yoon;Kim, Kyung-M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76-81
    • /
    • 2016
  • We performed a molecular marker-based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trait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appearance of grains using 120 doubled haploid lines developed by anther culture from the F1 cross between 'Cheongcheong' (Oryza sativa L. ssp. Indica) and 'Nagdong' (Oryza sativa L. ssp. Japonica). We therefore calculated the alkali digestion value (ADV), used to indirectly measure gelatinization temperature,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oked rice in 2013 and 2014. The ADV score of frequency distribution was higher milled rice than brown rice. In total, nine different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were found on 5 chromosomes in 2013 and 2014. Also, chromosome 5, 8 were detected over two years. We conclude that selected molecular markers from this QTL analysis could be exploited in future rice quality. In conclusion, we investigated ADV of brown and milled rice in CNDH population. This study found nine QTLs related to the ADV of brown and milled rice. The detected one marker can be used to select lines with desirable eating-quality traits because ADV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ating quality of cooked rice. Therefore, it will be useful to collect resources and distinguishable in many varieties for rice breeding program.

Identification of RAPD Markers Associated with Grain Weight in Rice

  • Lee, Hyung-Gyu;Kim, Kyung-Min;Sohn, Jae-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61-26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associated with grain weight of a large-grain mutant, Hyacp 39-26-1, derived from anther culture of a rice cultivar, 'Hwayeongbyeo'. The segregation mode for grain weight in an F$_2$ population from a cross, 'Hwayeongbyeo/Hyacp 39-26-1', showed a nearly normal distribution. One hundred and ninety-one F$_2$plants ranged from 21.8 g to 34.7 g in 1,000-grain weight with a mean of 26.8 g. Five hundred and twenty primers were used to detect the RAPD markers associated with the grain weight of the large-grain mutant. Of these primers, 54 primers showed polymorphism between 'Hwayeongbyeo' and 'Hyacp 39-26-1'. Four RAPD markers (OPB18, OPH07, OPT20, and OPX20)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rain weight of twenty one F$_3$ lines derived from the cross, 'Hwayeongbyeo/Hyacp 39-26-1'. This RAPD marker could facilitate the early and efficient selection of high-yield lines through improvement of grain weight in rice.

  • PDF

Tropane alkaloid의 생합성과 분자육종 (Metabolic Engineering of Medicinal Plants tov Tropane Alkaloid Production)

  • 윤대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99-207
    • /
    • 2002
  • The tropane alkaloids hyoscyamine (its racemic form being atropine) and scopolamine are used medicinally as anticholinergic agents that act on the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Because they differ in their action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urrently there is a 10-fold higher commercial demand for scopolamine, in the N-butylbromide form, than there is for hyoscyamine and atropine combined. Several solanaceous species have been used as the commercial sources of these alkaloids, but the scopolamine contents in these plants often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hyoscyamine.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long-standing interest in increasing the scopolamine contents of cultivated medicinal plants. Naturally occurring and artificial interspecific hybrids of Duboisia have high scopolamine contents and are cultivated as a commercial source of scopolamine in Australia and other countries. Anther culture combined with conventional interspecific hybridization also has been used to breed high scopolamine-containing plants in the genera Datura and Hyoscyamus, but without much success. The use of recombinant DNA technology for the manipulation of metabolic processes in cells promises to provi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basic science, agriculture, and medicine. In this review, I introduce on the enzymes and genes involved in tropane alkaloid biosynthesis and current progress in metabolic engineering approaches for tropane alkaloid, especially scopolamine, production.

Effects of Cold Pretreatment and Medium Composition on Anther Culture Initiation in Strawberry

  • Na, Hae-Young;Kim, Dae-Young;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88-493
    • /
    • 2011
  • Callus culture initiation of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 Duch.)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trengths, types and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incorporating a cold pretreatment period to determine the optimal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No high quality callus was induced on MS media without auxin regardless of medium strength. When 6-benzylaminopurine (BA) was combined with indole acetic acid (IAA), 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high quality callus were highly induced compared to medium supplemented with auxin alone. When $0.5mg{\cdot}L^{-1}$ BA was combined with IAA, NAA, and 2,4-D, high quality callus ind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the other BA concentrations. The best combination of auxin and cytokinin for high quality callus induction was $1.0mg{\cdot}L^{-1}$ NAA and $0.5mg{\cdot}L^{-1}$ BA. Although the differences in callus induction were not significant, high quality callus induction at half strength MS medium was more effective than at full strength medium. When $30g{\cdot}L^{-1}$ sucrose was added to the half strength MS medium, the rate of high quality callus induction increased. The optimum cold pretreatment temperature and period for high quality callus induction were $4^{\circ}C$ and 72 h, respectively. Regeneration rate of high quality callus increas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hidiazuron.

연초(Nicotiana tabacum cv BY4) 이배체 및 반수체 식물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생 관련 효소의 변화 (Enzyme Activity in Plant Regeneration from Diploid and Haploid Calli of Nicotiana tabacum cv BY4)

  • 오승철;소웅영;조덕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33-339
    • /
    • 1994
  • 연초의 약배양에 의해서 반수체를 유기하고 형성된 반수체와 이배체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효소의 활성도와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반수체의 형성은 화아가 중간정도된 크기를 이용하여 IAA가 1.0 mg/L kietin이 0.5mg/L 조합 처리되고 활성탄이 3 mg/L 함유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캘러스의 유도는 이배체 및 반수체 공히 2,4-D의 농도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양호하였으며,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는 BAP 농도 2.0 mg/L에서 효과적이었다. 재분화시 변화되는 효소의 활성도와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처리된 BAP의 농도와 사용한 식물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eroxidase의 활성도는 이배체 및 반수체 공히 BAP 농도가 2.0 mg/L일때 가장 높았으며, catalase의 활성도는 BAP의 농도가 1 mg/L일때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IAA 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도는 이배체에 비해 반수체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peroxidase의 활성도는 이배체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